View : 255 Download: 0

MZ세대 직장인의 진로소명추구가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MZ세대 직장인의 진로소명추구가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Z Generation Workers’Searching for Call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esence of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Authors
나하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최근 MZ세대 직장인의 이직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이러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MZ세대는 진로(career)를 통해 자아 실현을 추구하는 세대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고 일을 통해 가치를 추구하면서 삶의 만족과 행복을 추구한다. 따라서 이들의 이직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진로 변인 중 ‘진로소명(calling and vocation)’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진로소명은 보편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높은 진로소명의식이 오히려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혼재되어 나타나면서 소명을 소명 발달 과정에 따라 소명추구, 소명존재, 소명수행으로 구분하여 연구하는 것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MZ세대 직장인의 진로소명추구가 심리적 웰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명존재, 소명수행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직장을 다니고 있는 다양한 직군의 남녀 MZ세대 직장인(만18세 이상~ 42세 이하)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추구와 소명존재는 심리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했으며 소명수행만이 심리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소명추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소명존재와 소명수행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명추구가 심리적 안녕감을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셋째, 소명추구가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소명존재와 소명수행은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소명추구는 소명존재와 소명수행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명존재와 소명수행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소명수행만이 심리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인의 진로소명추구가 이직의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진로소명이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소명추구, 소명존재, 소명수행으로 구분하여 연구하는 것이 의미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진로소명을 추구하는 것이 삶과 진로 모두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소명을 추구하는 과정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MZ세대 직장인이 소명추구를 통해 소명존재와 소명수행의 과정으로 나아간다면, 소명추구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소명발달과정에 있는 MZ세대 직장인 내담자를 돕기 위해서는 상담사가 소명추구가 부정적인 자원고갈의 과정이 아닌, 향후 진로발달과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 꼭 필요한 긍정적인 과정임을 인지하고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소명을 발달 과정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소명추구가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를 확장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Recently, as the turnover phenomenon of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tensifies,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is social phenomenon. The MZ generation is a generation that pursues self-actualization in their career, values work-life balance and pursue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work.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turnover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Recently, the concept of 'calling' has emerged among career related variables that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Although calling is generally known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high sense of calling also nega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moted turnover intention. Sinc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re mixed, the need to study calling’s effects on life and career in detail by specifying it into ‘searching for a calling’, ‘presence of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according to the calling development process has been pointed ou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searching for call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presence of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i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18 to 42 years old) in various occupations, and data of 300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teste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using MPLUS 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arching for calling and the presence of calling did not directly and significantly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nly living a calling directly and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presence of calling and the living a calling were sequentially mediating the effect of searching for call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 the pursuit of calling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indirectly. Third, the searching for calling direct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turnover intention, but the presence of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the turnover intention. Conclusively, it was found that searching for calling indirectl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sequentially mediated by the presence of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and directly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f calling and the living of call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and only living a calling directl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effects of calling by dividing it into searching for calling, presence of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earching for calling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both life and career, and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pursuing a calling is not necessarily negative. This means that if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move towards to presence of calling and living a calling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calling, searching for calling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help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the process of calling development, it is necessary for counselors to keep in mind that searching for calling is not a negative, resource depletion process, but a positive process that is essential for career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future, and intervene with this knowledg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divided calling into specific state of calling development process, and expanded previous studies’ findings of the effect of searching for calling on wellbeing and turnover int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