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7 Download: 0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library e-Book Services : Focusing on the case of Gangdong District Library in Seoul
Authors
이윤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the unexpected pandemic have only highlighted the physical limits of the bookshelves and service space of the public libraries. As the age of the great transition era has ushered in, the debate about the digital competence of the libraries and their sustainable services has been spreading.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are no longer restrained by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conditions of the e-Book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Now,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have been expanded even at the level of the autonomous district, urging us to positively explore the ways to improve and explore the quality of the e-Book services. Nevertheless, our reality is that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are limited due to the poor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as well as the limited budget. Although the demands for the e-Book services have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the capacity of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is still po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problems involving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and suggest their solut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examined the conditions and then,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Specificall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that had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e-Book services so far.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to discuss the conditions of the e-Book services in comparison with the printed book services. In particular, in order to examine the e-Book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in Seoul, the researcher divided their e-Book services depending upon their operators and management systems into the independent e-Book services of the libraries operated directly by the autonomous local administrations, the integrated e-Book services operated by the libraries commissioned by the autonomous local administrations, and those operated by the Education Board library. In addition, in order to search for the operations of the e-Book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managed by the local autonomous district, the researcher searched for their operational conditions. Moreover, in an effort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the e-Book service oper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managed by the local autonomous districts, the researcher sampled Gangdong district library in Seoul, and thereby, analyzed its e-Library web site data, and thereupon,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sectors and 25 questions: 4 questions about citizens’ uses of the library, 11 questions about their uses of e-Book services, 7 questions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Book services and 3 questions about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3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Gangdong District office for the period from October 20 to October 30, 2022. The researcher personally visited the libraries to distribute 100 copies of questionnaire to the library users. 1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ach library users on October 20 and would be collected on October 30. 28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the return rate was 94.3%. Excluding the four copies inadequate for the analysis, a total of 279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collected thus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pacity of the e-Books served by the public libraries was poor, while their diversity and up-to-dateness were not sufficient. While the number of the e-Library web site users and their uses of the site increase steadily, the users tend to use the e-Books more than the paper books. Nevertheless, the capacity of the e-Book services is still poor at the public libraries. Secondly, access to the e-Library and support for its uses are still poor. The users should log in an e-Library first, while they could not well afford to locate its website address due to the poor information servic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e-Book support services is the lowest compared with other question items, and the users perceives that the P.R. and the information service are still poor. Thirdly, the statistics and data regarding the e-Books have yet to be analyzed sufficiently, while the system management is still poor. In other words, some clear criteria should be arrang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Books via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In addition, it is deemed necessary to reform the input system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e-Book uses. Besides, as the Internet environment changes, it is deemed necessary to arrange the management system preemptively to provide effective e-Book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of the Internet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inferred three-fold reform measures useful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e-Book services by the public librarie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tents of the e-Book. To this end, it is deemed essential for the users to perceive the e-Books as the normal paper books. In order to manage the e-Books as the paper on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id- and long-term e-Book development policies and thereupon, secure the necessary budget urgently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s of e-Book services. Moreover, in order to respond to users’ demands for up-to-dateness and speed of the e-Book services,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both the subscription and collection services for the e-Books. Then, the public libraries could well manage the e-Books in equilibrium with their paper books, while the sign-outs of the e-Book would be activa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ser-support services. Since the users were found least satisfied with these service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t is urgent to promote the P.R. and information services about the e-Book operation system. Since the e-Library is approached through separate platforms, it could not well be exposed to the users. In order to help the users to gain access freely to the e-Library, it is essential to guide them to its website, while informing them of the link to the e-Library on SNS. In addition, it is deemed necessary to arrange a prompt communication window for the users by operating a bulletin board within the e-Library.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arrange such typical bulletin boards as ‘Application for Desired e-Book’, Q&A and FAQ, and thereby, appoint the personnel in charge who will periodically check the bulletin boards. Since it was foun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at personnel’s guide would affect users’ satisfaction with the e-Book services highly, it is deemed necessary to reform the information service, manual lay-out, librarian’s book recommendation service, e-Book-related programs, etc. Thirdly, it is essential to reform the e-Book system management for a stable and sustainable e-Book system. An integrated web viewer may well be operated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to the e-Books as well as the conveniences of using them. Besides, it is also necessary to maintain a technological neutrality and an inter-device compatibility, and thereby, allow the users to freely use the e-Book services regardless of the types of their Internet environments or devices. Moreover, since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re provided like those of e-Library, an e-Book service professional should be employed to support the users in terms of uses of the system and contents. The more important the digital capacity of the library is, its e-Book services would be more important core service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conditions of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the autonomous district administrations and thereby, address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some realistic reform measure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despite various limits of the e-Book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the services would have a great potential. The e-Book system may well serve its users by providing them with the information services immediately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while being an alternative for the lack of the space of the public libraries. Besides, the e-Book services would be important sustainable resources of th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e-Libraries in terms of their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 well as the benefits for the information disadvantaged people. The e-Book services provided on-line might create a blind spot of the information services, but if they should be supported by policies, budget and systematic management, they would well be reborn into the digital knowledge culture platform led by the libraries.;기술의 발달과 예고 없이 찾아온 팬데믹은 물리적인 장서와 공간의 한계를 체감하게 하였으며, 대전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도서관의 디지털 역량과 지속가능한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중요한 역할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정보서비스 확대가 강조되는 가운데, 전자책 서비스 운영현황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는 도입 단계를 지나 자치구 단위까지 확대되어,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와있다. 그러나 전자책 서비스는 제한된 전자책 출판 및 유통구조, 한정된 예산 등 열악한 여건 속에 운영되고 있다. 도서관 전자책 이용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전자책 보유량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운영에 있어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현황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와 관련하여 전자책 도입 초기부터 근래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현황조사에서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의 인쇄장서 대비 전자책 소장 현황을 살펴보고, 서울시 공공도서관 전자책 운영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서관 운영 주체 및 관리 방법에 따라 지자체 직영 도서관의 독립적인 전자책 서비스, 지자체 위탁 도서관의 통합 전자책 서비스, 교육청 도서관의 통합 전자책 서비스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전자책을 서비스하는 자치구 단위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서울시 강동구립 도서관을 사례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전자도서관 웹사이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도서관 이용에 관한 문항 4개, 전자책 서비스 이용에 관한 문항 11개, 전자책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문항 7개, 응답자의 일반 사항에 관한 문항 3개로 총 4부문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강동구립 도서관 중 3개 관에서 진행하였으며, 10월 20일에 방문하여 설문지를 100부씩 배포하였고 10월 30일에 회수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300부 중 283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4.3%로 나타났는데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분석에 부적합한 4부를 제외하고 총 279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파악한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책 보유량 및 다양성, 최신성이 부족하다. 전자도서관 웹사이트 회원 수와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이책보다 전자책의 이용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전자책 보유량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전자도서관의 접근성과 이용 지원 서비스가 부족하다. 전자도서관 접속은 로그인을 거쳐야만 가능하고 웹사이트 주소가 안내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전자책 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평균 점수는 다른 항목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은 홍보와 안내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전자책 관련 통계 및 데이터 분석, 시스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국가도서관통계 입력 시 전자책 보유량 입력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고 전자책 이용률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입력 항목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인터넷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자책 서비스에 지장이 없도록 선제적인 관리체계 정비가 필요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운영에 있어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자책 콘텐츠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책을 온전한 장서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전자책을 장서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전자책 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해야 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이용률 증가에 부합하는 현실적인 전자책 예산의 확보가 시급하다. 최신성과 신속성을 중시하는 이용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구독형과 소장형 전자책을 병행 운영한다면 균형 있는 장서구성과 대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용자 지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인 부분이기 때문에 전자책 서비스에 있어 홍보와 안내에 대한 빠른 개선이 요구된다. 전자도서관은 별도의 플랫폼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라서 이용자에게 노출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자유로운 전자도서관 접근을 위해 전자도서관 웹사이트 주소를 안내하고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SNS에 전자도서관 바로가기 링크를 안내함으로써 홍보와 유입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도서관 내 게시판 운영을 통해 이용자와의 신속한 소통창구를 마련해야 한다. 희망도서신청 게시판, QnA(질의응답), FAQ(자주하는 질문) 등 목적에 맞는 유형별 게시판을 마련해 담당자가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직원의 안내가 전자책 서비스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므로 적극적인 안내와 이용 매뉴얼, 사서 추천도서 제공 및 전자책 연계 프로그램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자책 시스템 관리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전자책 서비스 운영을 위해서는 전자책 시스템 관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통합 웹뷰어 운영으로 전자책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전자책 서비스에는 기술적 중립성과 기기 호환성을 유지하여 어떤 인터넷 환경이나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제약 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자체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는 통합 전자도서관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일관된 관리를 위해 시스템, 콘텐츠, 이용 지원 전반을 관할하는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 도서관의 디지털 역량이 중요해질수록 전자책 서비스 관련 업무는 도서관의 핵심 직무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자치구 단위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는 여러 가지 한계에 부딪혀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자책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즉각적인 정보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고 도서관 공간 부족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측면과 함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등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다. 온라인상에서 운영되는 전자책 서비스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사각지대가 될 수도 있지만, 정책과 예산,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수반된다면 도서관이 주도하는 디지털 지식문화 플랫폼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충분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