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9 Download: 0

조선시대 부장(副葬) 도자(陶磁) 연구

Title
조선시대 부장(副葬) 도자(陶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urial (副葬) Ceramics (陶磁) in the Joseon Dynasty
Authors
장지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burial rituals in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 the character of ceramics buried according to the Confucian rituals and how they were conducted. The study is made in the way of investigating the concepts and origins of ’Myeong-gi (明器)’, small vessels for rituals, and ‘Yong-gi (用器)’, daily vessels including jerky baskets (苞), grains jars (筲), and liquid vessels (甖), by taking note of them, examining the character, rules, and methods of the rituals accepted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sidering the changes in how they were conducted and their factors. Myeong-gi and Yong-gi can collectively be defined Myeong-gi based on Confucianism of the Han(漢) dynasty. However, this thesis tries to use the term, ‘burial ceramics’ to remove the terminological confusion of Myeong-gi, the small vessels for rituals accepted in the Joseon Dynasty. Burial goods are that those who remain express their mind to send the dead well away. Accordingly, they began to put all kinds of daily necessities in their tombs so that they can continue with life even after death. Among these burial goo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ceramics for their ritual aspect of significant meaning. Burial of ceramics has been found since the Neolithic Era when earthenware already began to be produced. It has assumed that grains necessary for eating and drinking (食飮) were put in this earthenware together. In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there were increasingly more types of burial goods with tombs of the ruling class as the center. Earthenware has been found to be buried as the additional concept with bronze ritual vessels. Especially in the tombs of men in power, all kinds of dishes and vessels with sacrificed servants and Soldiers were buried to reproduce their lifetime. Confucius criticized this based on Confucian thought. And he argued that burial good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ings of the live thing and in this perspective burial goods were called them Myeong-gi (明器) as a meaning of the articles to be used by dead spiritual beings (神明). This idea of Confucius was continued to the Han(漢) dynastyand in the late Han, it was established as the rituals with Confucianism. At this time, all the burial goods were recognized as Myeong-gi. also the types and composition of the articles to be buried were specifically defined. The method of producing Myeong-gi was like the ancestors had made the carriages of clay (塗車) and the figures of straw (芻靈). And those were intended to be made by the shapes and materials which cannot actually be used. However, in the Mausoleum of the First Qin (秦) Emperor, the carriages of clay and the figures of straw like this has been changed to terracotta figure(陶俑) of the same shapes as life-size things. This was inherited to the Northern Dynasty (北朝) and after that, terracotta figure got to be central to Myeong-gi. In the Tang age (唐代), colorful glazed ceramics, that is, Tang Tri-color Glazed Ceramics (唐三彩) were manufactured as Myeong-gi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o that the terracotta figure (陶俑) was recognized as Myeong-gi, it is started to be distinguished from daily vessels. In the Song Dynasty (宋代), Use of Myeong-gi (冥器) made from bills based on Buddhist afterlife views was in fashion. Confucian scholars criticized the using bills in the funeral as luxury and the concept of Myeong-gi according to Confucian rituals got to receive attention again. Accordingly, in Song(宋) small figures and imitated objects made from wood based on the Tang Dynasty’s awareness of Myeong-gi were made and buried. And burinal daily vessels distinguished from those small Myeong-gi have been called with the names of individual types like, called as jerky baskets, grains jars, and paste vessels. It has been found that these Confucian ritual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ere accepted by the late Goryeo Dynasty. Through the records of 《Goryeosa (高麗史)》, they show that the articles buried in the royal tombs included the Confucian concept with Buddhism. It could be thought that the burial goods were recognized as clothes and jewels based on tradition of the Goryeo(高麗) Dynasty in the records related to burial rituals when the nation was founded Since then, this was inherited to the Joseon Dynasty and new types of burial goods such as horses and vehicles (車馬) which accorded with the concept of Confucian burial rituals appeared. After that, 《Orye (Five Rites)》 which applied the ritual system of the Han and Tang (漢唐) Dynasties and the concept of Myeong-gi in the Song Dynasty (宋代) to Rites of the State by accepting them was compiled and 《GukjoOryeeui (Five Rites of the State)》 which supplemented this became the core of rituals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However, 《GukjoOryeeui (Five Rites of the State)》 has caused to be problems that the omitted categories disappeared and changed types over time because it was designed to omit overlapping things among rituals. Accordingly, the ritual books which are realistic was required to be revised and based on this, GukjoSokOryeeui (Revised Edition of Five Rites of the State) and GukjoSangryeBopyeon (Rites of the State Funeral) were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After that, through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efforts to restore the original forms of Myeong-gi that disappeared in the meantime have been completed as 《ChunGwanTonggo (Comprehensive Study of the Ministry of Rites)》 and 《GukjoOryeTongpyeon (Comprehensive Edition of Five Rites of the State)》 Contrary to this, private elites followed the regulations of 《Garye (Family Ritual)》 when the nation was founded. Rituals of noble scholars were included in 《GukjoOryeeui (Five Rites of the State)》. And as the detailed regulations were based on 《Garye (Family Ritual)》, studies on 《Garye (Family Ritual)》were started to expand. At this time, many kinds of funeral ritual books of Han, Tang, and Song and Ming(明) Dynasties were imported from China. Among them, the way of burial customs of the Ming Dynasty (明代) began to influence to Korea. Based on this production of small ceramic Myeong-gi began to be in fashion in the 16th century.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the way to conduct the rituals caused confusion as the rituals of the different periods were simultaneously accepted. It can be assumed that the elites developed studies on ritual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fter that, the views on the stud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rituals in the Han Dynasties and the Song Dynasty and there have revealed differences in the concepts of Myeong-gi and burial methods depending on each view. And as noble scholars fundamentally understood 《Garye (Family Rituals)》 of Zhu Zi (朱子) who sought the practical character, the Joseon Dynasty got to recognize that the realistic rituals needed to be revised. Accordingly, ritual books such as 《Sangryebiyo (Funeral Ritual Preparation Book)》 and 《Garyejibram (Family Ritual Collection Book)》 were compiled. However, as Zhu Zi’s views that burial of Myeong-gi itself was recognized as unnecessary were central to the studies and Practical Learning which recognized it as luxury items appeared in the late 17th century, burial of Myeong-gi got to be changed to be negative. Reflecting this, it can be thought that the procedure of burial rituals was omitted in 《Sarepyeonram (Four Rites Hand book)》 compiled in the 19th century. Aspects of actual burial also show the dualistic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the royal family and the people such as the rules of the rituals. The royal family can be found that life-size containers were buried even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Because Myeong-gi has found to begin to be produced in the first half (the second quarter) of the 16th century based on the objects excavated in the areas of production, it is judged to be more possibility that Myeong-gi has been found before and after the first half (the second quarter) of the 16th century. After that, Myeong-gi of the royal family has been found to be gradually reduced. Accordingly, the tombs of the royal family in the 18th century can be found that burial of Bokwan(服玩) increased instead of Myeong-gi. And it can be found that burial of Myeong-gi wa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ritual of the former period through restoration work of the original form of the rituals to reassert the royal family’s authority in the reign of the Jeongjo(正祖) of Joseon in the late 18th century. In the 15th century, burial rituals of the noble scholars can be revealed to be dominated by burial of jars and bottles in addition to bowls, cups, plates as the tradition of the Goryeo Dynasty harmonized with the new Confucian concept. This has been found to have continued until the 16th century and can be thought to decrease rapidly in the 17th century. At this time, it can be found that Myeong-gi began to be buried instead of the containers. Myeong-gi began to be in fashion after the middle 16th century and it has been found to be most commonplace in the 17th century. However, it has been found to decrease gradually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almost disappear in the 18th century. In the meantime, burial ceramics have been studied by focusing on Myeong-gi, the small vessels for rituals. Especially based on excavated relics which can be estimated the age of production from the noble scholars’ tombs, the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grasping aspects of burying Myeong-g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ccordingly, specific discussions on the objects excavated from the royal family tombs have not been done because it has found to be the additional phenomena. Also, those studies were understood as the noble scholars’ burial rituals and methods were based on Rites of the State, or errors to define the entire Joseon Dynasty only with the noble scholars’ rituals are shown while there is lack of structural understanding of systems. Accordingly, the thesis tried to grasp the dualistic character of the rituals by studying the rituals of every class and all the periods in the Joseon Dynasty and comprehensively do the way burial rituals were conducted and aspects of the changes through all kinds of excavated relics based on this. Through this, it could be found that the rituals of the dualistic system applied to the royal family and the people were revealed as it is even in the actual application method.;본 연구는 조선시대 부장 의례의 연원을 탐구하고 유교 의례에 따라 부장된 도자의 성격과 시행 방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는 소형 의례기인‘명기(明器)’와 포(苞)․소(筲)․앵(甖)을 포함한 일상 기명류인 ‘용기(用器)’를 모두 주목하여 그 개념과 연원을 탐구하고, 조선에서 수용된 의례의 성격과 규정 방식을 검토한 뒤, 시행의 변화를 고찰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명기와 용기는 중국 한(漢)나라 유교식 부장 의례에 따라 광의의 개념인 명기로 통칭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수용된 협의의 개념인 소형 명기와의 용어적 혼선을 막고, 도자로 제작된 부장용 의례기만을 주목한다는 의미에서 ‘부장 도자’라는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무덤에 부장품을 넣어주는 행위는 남은 자들이 죽은 이를 떠나보내는 마음을 표현한 것으로, 죽은 이가 사후에도 삶을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무덤 안에 각종 생활 용품을 넣어주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에서의 도자 부장은 이미 토기의 생산이 시작된 신석기시대부터 확인되고 있다. 이 토기에는 식음(食飮)에 필요한 곡물 등을 함께 넣어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에는 지배층의 무덤을 중심으로 부장품의 종류가 더욱 많아진다. 토기는 청동제기와 함께 부수적 개념으로 부장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권력자들의 무덤에는 생전의 삶을 재현하기 위해 갖가지 실용기가 부장되었고, 이와 함께 순장이 시작되었다. 공자는 유가사상을 바탕으로 이를 비판하였으며, 부장품은 죽은 신명(神明)이 사용할 물품으로 명기(明器)라 부르며 산자의 것과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공자의 사상은 한대(漢代)로 이어져 유학과 함께 의례로 정립되었다. 이때 부장품을 모두 명기로 인식하여 부장할 물품의 종류와 구성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였다. 명기의 제작 방식은 예부터 사용되어온 도거(塗車)와 추령(芻靈)과 같은 것으로, 실제로는 사용할 수 없는 형태와 재질로 만들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진대(秦代)에는 이러한 도거와 추령이 실물과 동일한 형태의 도용(陶俑)으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북조(北朝)로 계승되었고, 이후 도용은 명기의 중심을 이루게 되었다. 당대(唐代)에는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명기를 화려한 색채를 가진 채유자기, 즉 당삼채(唐三彩)로 제작하였다. 이것이 명기로 인식되면서 식반으로 불리는 각종 실용기와 구분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송대(宋代)에는 불교적 내세관과 종이의 발달로 지폐로 만든 명기(冥器)의 사용이 유행하였다. 유학자들은 이를 사치로 규정하며 비판하였고, 본래 유교 의례에 따른 명기의 개념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당나라의 명기 인식을 바탕으로 나무로 만든 소형의 인형과 상형의 기물을 만들어 부장하였고, 실용기는 개별 기종의 명칭인 포․소․앵 등과 일상에 쓰인 다양한 기종들을 부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당송대 유교 의례는 고려시대 후기 우리나라에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기록을 통해 왕릉에 부장된 물품이 불교적 인식을 바탕으로 유교적 개념을 포함한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조선으로 계승되어 국초에 부장 의례와 관련된 기록에서는 고려적 전통에 바탕으로 부장품을 복완으로 인식하였으며 유교식 부장 의례의 개념에 부합하는 거마(車馬)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부장품이 등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후 한당(漢唐) 의례의 제도와 송대(宋代) 명기의 개념을 수용하여 국조례에 적용시킨 《오례》가 편찬되었고, 이를 보완한 《국조오례의》는 조선 중기 의례의 핵심이 되었다. 그러나 《국조오례의》는 의례 가운데 중복된 것을 생략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세월이 지남에 따라 생략된 기종이 사라지고 변형되는 문제를 드러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실에 맞는 전례서의 개정이 요구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18세기 《국조속오례의》와 《국조상례보편》의 편찬이 이루어졌다. 이후 18세기 말에서 19세기에는 왕실의 권위와 의례의 회복을 위해 전기 의례를 복원하고자 《춘관통고》와 《국조오례통편》이 편찬되어 그간 산실된 명기의 원형을 복구하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와는 달리 민간 사대부들은 국초부터 《가례》의 규정을 따르도록 하였다. 《국조오례의》에서 대부․사․서인의 의례가 포함되고, 세부 시행 규정은 《가례》에 의거하도록 하면서 《가례》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이때 각종 서적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가운데 한․당․송의 의례 외에도 명대(明代) 시속(時俗)이 함께 들어온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바탕으로 16세기에는 소형 도자 명기의 제작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러 시대의 의례가 동시에 수용됨에 따라 의례의 시행 방식에는 혼선이 야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대부들은 예학의 연구를 발전시켜 나갔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학계는 한당 의례와 송대 의례의 개념에 따라 학문적 견해가 분화되고, 각 견해에 따라 명기의 개념과 부장 방식에 차이가 나타내게 된다. 이후 학자들은 실용적 성격을 추구한 주자의 《가례》를 본질적으로 이해하게 되면서 조선에서도 현실에 맞는 의례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상례비요》와 《가례집람》 등과 같은 의례서가 편찬되었다. 그러나 17세기 후반 명기의 부장 자체를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했던 주자의 견해가 학문의 중심이 이루게 되었고, 명기를 사치품으로 인식한 실학이 등장함에 따라 명기의 부장은 부정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를 반영하듯 19세기에 편찬된 《사례편람》에서는 부장 의례의 절차가 생략된 것을 볼 수 있다. 실제 부장 양상 또한 의례의 규정과 같이 왕실과 민간으로 나누어진 이원적 구조가 나타난다. 왕실의 경우, 16세기 전반까지도 실물 크기의 용기 부장만 확인된다. 명기의 경우, 이미 15세기 후반 국조례를 통해 세부 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나, 왕족의 무덤 가운데 명기가 출토된 사례는 16세기 후반이 가장 이른 예로 확인된다. 하지만 생산지 출토품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백자 명기의 제작이 16세기 전반, 2/4분기에는 시작된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왕실에서 명기를 부장한 시기 역시 이와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왕실의 부장 명기는 《국조오례의》에 따라 일부 기종이 생략되거나 의례에 맞지 않는 물품이 포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내용은 현실에 맞게 개정된《국조상례보편》의 명기 도설을 통해 축소된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18세기 왕실의 무덤에는 명기를 대신하여 복완물의 부장이 증가하였고, 18세기 말 정조대에는 왕실 권위의 회복을 위한 의례의 원형 복원 작업을 통해 전기 의례에 따라 명기의 부장이 재현된 것으로 파악된다. 민간에서는 15세기 고려적 전통에 유교적 개념이 습합되어 식반류라 할 수 있는 발, 잔, 접시 외에 호와 병의 부장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16세기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파악되며, 《가례》의 연구와 함께 예학이 발달하면서 17세기 큰 폭의 감소를 나타낸다. 이때 용기를 대신하여 명기가 부장되기 시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명기는 《국조오례의》와 명대 시속의 영향으로 16세기 중반 이후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17세기 중반에 가장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17세기 후반 《가례》가 의례의 중심이 되면서 명기의 부장이 점차 줄어들고, 18세기에는 거의 사라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부장 도자는 소형의 의례기인 명기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특히 민간의 편년 유물을 기준으로 조선의 명기 부장 양상을 파악하는데 집중되어왔다. 이에 왕실 능원묘 출토품은 부차적인 현상으로 파악되어 구체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부장 의례의 인식에서도 조선시대 사상 체계에 대한 구조적 이해가 부재한 상태로 국조례를 근거로 민간의 부장 방식을 이해하거나, 민간의 의례만으로 조선시대 전체를 규정하는 오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전 계층, 모든 시대의 의례를 고찰하여 의례의 이원적 성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장 의례의 시행 방식과 변화 양상을 편년 유물과 발굴 유물을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왕실과 민간에게 적용된 이원적 체계의 의례가 실제 적용 방식에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