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4 Download: 0

퀴어 어드벤처 게임의 캐릭터 연구

Title
퀴어 어드벤처 게임의 캐릭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racters of Queer Adventure Game : Focused on the Series
Authors
최은빈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퀴어(queer)는 규범화된 현실의 담론들에 대항하는 실험적 시도를 포함하며, 보편적 가치의 추구 및 사회 현상을 가시화한다. 어드벤처 게임의 플레이어는 캐릭터의 조작을 통해 가상 세계를 탐험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단서를 찾는다. 이러한 플레이는 선형적인 스토리의 진행과 더불어 나타난다. 특히 퀴어 어드벤처 게임은 스토리가 제시하는 캐릭터와 이들을 조작하는 플레이를 통해 퀴어성(queerness)을 경험 가능한 대상으로 실현한다. 본 연구는 퀴어 어드벤처 게임의 플레이가 이루어지는 시간적, 공간적 영역에서 경험할 수 있는 퀴어성에 주목한다. 퀴어 어드벤처 게임에서 캐릭터의 조작이라는 플레이 행위가 경험 가능한 퀴어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보고 이를 기반으로 퀴어 이론에 입각한 분석을 진행한다. 플레이어는 캐릭터를 조작하는 플레이를 통해 고정된 범주와 이에 의존하고 있는 인식의 안정성을 뒤흔드는 퀴어성을 경험한다. 이에 따라 주디스 할버스탐, 제스퍼 주울, 데니스 와스컬의 논의를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으로 형성된 연대기적 분류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경험할 수 있는 퀴어성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퀴어 캐릭터의 조작이 발생하는 플레이에서 캐릭터를 통해 퀴어 시간이 드러나는 양상을 분석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인과적 선택의 플레이가 게임 시간의 의도적인 정지를 발생시킨다는 점에 집중한다. 인과적 선택의 순간은 인과성이 선택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단순 제시와 인과적 결과 수반으로 나뉜다. 인과적 선택에 직면한 플레이어는 현실과 게임의 연대기적 시간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되며, 현실과 가상이 갖는 시간성의 교차를 통해 퀴어 시간성이 나타난다. 두 번째 절에서는 단서 수집의 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시간의 지연을 살펴본다. 캐릭터를 통해 수집해야 하는 단서의 정보량과 탐색의 난이도는 의도적인 플레이 시간의 지연을 발생시킨다. 연대기적 플레이에서 필연적인 실패의 경험을 동반하는 시간의 지연은 규범적 시간에 귀속되어 있던 플레이어를 가상의 시간성에 의해 형성된 캐릭터의 욕망으로 옮겨온다. 3장에서는 퀴어 어드벤처 게임에 나타나는 퀴어 공간을 분석하고, 플레이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퀴어 공간성을 살펴본다. 첫 번째 절에서는 플레이어의 자율적인 선택을 용인하는 선택적 탐색의 플레이를 분석한다. 선택적 탐색은 게임 스토리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연대기적 시간에 대조적인 플레이로, 플레이어는 공간의 의미를 새롭게 재구성한다. 이어 두 번쨰 절에서는 플레이어의 의도적인 방황을 이끌어내는 공간을 살펴본다. 공간을 방황하는 플레이어는 공간의 관찰과 단서 수집을 통한 선형적 스토리의 진행이라는 목적성을 상실하게 된다. 공간- 방황자로서의 플레이어의 행동은 규범적 시간성에 의존하는 게임 공간을 전복시키는 퀴어성이다. 4장에서는 퀴어 어드벤처 게임에서 발생하는 정체성의 교차에 대해 주체와 객체의 인식 측면에서 분석한다. 플레이어는 캐릭터의 조작을 통해 게임 내부의 상호작용 가능한 대상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는다. 플레이어는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시간적, 공간적 의미의 프레임워크에 의해 규정되는 캐릭터의 자아를 경험한다. 캐릭터는 플레이어가 자기 인식을 통해 내면화하는 정체성이다. 퀴어 어드벤처 게임의 플레이어는 자신을 플레이의 주체이자 캐릭터를 통해 투영되는 객체로 인지한다. 플레이어는 퀴어 어드벤처 게임의 플레이를 통해 연대기적 시간성과 재생산적 시간성으로부터 벗어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퀴어 주체가 된다. 퀴어 어드벤처 게임의 플레이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퀴어 시간성과 퀴어 공간성은 문화적으로 규정된 현실의 시간과 공간 개념과는 상이한 구성물이다. 이처럼 퀴어 어드벤처 게임의 캐릭터와 이를 조작하는 플레이는 사회, 문화적으로 형성된 연대기적 분류에서 벗어난 퀴어성을 플레이어가 경험할 수 있는 대상으로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queer” in popular culture involves experimental attempts to counter the discourse of standardized reality, and visualizes the pursuit of universal values and social phenomena. In adventure games, the player explores the virtual world of the game and finds clues to solve problems by controlling the character, which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unfolding of the linear story. In particular, queer adventure games, through their characters and the game play, realize queerness as something experienceable.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able queerness in the temporal and spatial domain where the play of the queer adventure game takes place.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 play of controlling characters in queer adventure games effectively demonstrates the experienceable queerness, and conducts an analysis based on queer theory. Players experience queerness that subverts the stability of a fixed category and the perception that relies on it through the play of controlling the character.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experienceable queerness as a deviation from the socially and culturally formed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focusing on the discussions of Judith Halberstam, Jasper Juul, and Dennis Waskul. Chapter 2 analyzes the pattern in which the queer time is revealed through the character in the play. The first section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lay of causal choices causes an intentional suspension of game time. The moment of causal choice is divided into simple presentation and causal outcome accompanying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causality affects the outcome of the choice. Faced with causal choices, players are temporarily separated from the chronological time of reality and the game, and queer temporality appear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reality and virtual temporality. The second section examines the delay in time that occurs in the play of collecting clue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 clues to be collected through the character and the level of difficulty of searching cause an intentional delay in play time. In chronological play, the delay of time accompanied by the experience of inevitable failure shifts the player belonging to normative time to the character whose desire is formed by virtual temporality. Chapter 3 analyzes the queer space that appears in the queer adventure game and examines the queer spatiality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play. The first section analyzes the play of selective exploration that allows players to make autonomous choices. Selective exploration is a chronological time-contrast play that does not affect the progression of the game story, and the player reconstructs the meaning of the space anew.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space that leads to the player's intentional wandering. The wandering players lose the purpose of progressing a linear story through exploring space and collecting clues. The player's behavior as a space-wanderer is queer, subverting the game space that relies on normative temporality. Chapter 4 analyzes the intersection of identities occurring in queer adventure games in terms of subject and object recognition. Players constantly relate to interactive objects inside the game through controlling character. While playing the role of the character, the player experiences the character's ego defined by the framework of temporal and spatial meaning. The character is an identity that the player internalizes through self-awareness. The player in queer adventure games perceive themselves as both the subject of play and object projected through the character. The player becomes the queer subject by experiencing escape of chronological temporality and reproductive temporality through the play of the queer adventure game. Queer temporality and queer spatiality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play of queer adventure games differ from the culturally defined concept of time and space in reality. As such, the character of the queer adventure game and the play that controls it are meaningful in that it targets queerness, a deviation from the socially and culturally formed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as something that can be experienced by the players that participate in the ga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