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3 Download: 0

신라 월지(月池) 출토 금동판불(金銅板佛) 연구

Title
신라 월지(月池) 출토 금동판불(金銅板佛)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ilt-bronze Buddha Plaques Excavated from Wolji Pond in Silla dynasty
Authors
김하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미
Abstract
1970년대 진행된 발굴조사를 계기로 月池에서 왕실 생활상을 드러내는 다량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때 존상이 부조 형태로 도드라지게 표현되고, 광배는 평평한 구조의 금동판불 10구가 출토되었다. 金銅三尊板佛(이하 삼존판불) 2구와 金銅菩薩板佛(이하 보살판불) 8구는 정교한 조형성과 적극적인 신체표현이 돋보여, 신라 통일기 불교미술의 새로운 흐름을 대표하는 유물로 인식되었다. 특히 전법륜인을 결한 삼존판불은 유사한 형식의 유물이 동시기 당과 일본에서도 확인되기에, 당시 불교미술의 국제성을 반영하는 사례로서 집중적으로 조명되었다. 본고는 삼존판불의 형식에 초점을 맞춘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실제 왕실 공간에서 이 10구의 판불이 어떻게 인식되고 기능하였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판불이 출토된 공간의 성격과 유물의 구조와 형식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판불의 기능에 대해 크게 두 가지 가능성을 고찰해보았다. 월지는 674년 조성된 신라 왕궁의 궁원지이다. 현재 발굴조사로 공간 일대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지만, 월지 서편 공간은 왕이 연회, 의례를 행할 수 있는 국왕 공간으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위치와 범위에 대한 논란이 있으나, 연못 인근에는 왕과 태자가 공유하는 성격의 동궁이 위치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왕실 생활 공간에 판불을 포함하여 다량의 불교 관련 유물이 발굴되었다. 본고에서는 축적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이들의 제작 시기와 용도를 파악하였으며, 발굴 당시의 야장 기록을 새롭게 활용하여 출토 현황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금동불 귀>의 출토로 내불당의 존재는 확인되었지만, 구체적인 위치를 규정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출토 유물과 문자 자료, 주변국 내불당의 기능을 고려하였을 때 궁원지에 불상이 출토되는 현상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그중에서 월지 인근 내불당과 관련된 뚜렷한 기록은 東宮의 僧房典이다. 승방전은 동궁 내 시행되었던 불교 행사를 담당하고, 승려들이 기거하는 방을 담당하는 관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판불이 불교 의식이 거행되는 내불당이나 승방에 봉안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앞에서 출토된 공간을 다루었다면, 본격적으로 판불의 현황에 집중하여 ‘형식과 구조’를 살펴보았다. 판불 일괄의 형식과 양식을 분석한 결과, 당에서도 7세기 후반부터 드러나는 요소들이 나타났다. 즉 삼존판불과 보살판불 속 寶髻 형식, <금동삼존판불(안 1454)> 본존불의 풍만한 양감과 조밀한 옷주름 처리는 당에서 7세기 후반에 등장하여 8세기까지 유행하였다. 또한 <금동삼존판불(안 1485)> 협시보살의 珞腋, 판불의 대좌와 광배 문양에서 8세기 초 신라의 유물과 유사성이 드러났다. 따라서 제작 연대의 하한은 8세기 초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706년경에 조성된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의 상호와 광배 문양이 판불보다 정교하고 입체적이라는 점에서, 유물의 제작 연대는 그보다 앞선 시기인 7세기 말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서 당의 새로운 형식을 신라가 빠르게 수용하였던 것은 제작 소비층이 왕실이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한편 판불의 형식은 세부 양식과 좌법 등을 기준으로 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차이는 두 유형 간 조성 연대, 상의 종류 차이가 아닌 여러 제작자들이 참여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이해하였다. 이것은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사리구 외함, 돈황 막고굴 172굴 남·북벽 <아미타정토변> 등 동시기에 조성되고, 동일한 구성이지만 세부 양식의 차이를 보이는 다른 사례를 검토한 결과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서로 다른 제작자가 쌍탑, 석굴 등 하나의 구현물을 조성하기 위해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다음으로 판불의 세부 구조와 제작기법을 파악하고, 이를 동아시아 내 유사한 형태를 가진 불상들과 비교·검토해보았다. 월지 판불은 蜜蠟鑄造法으로 제작되었기에, 비슷한 형태이나 押出法으로 제작된 중국, 일본의 유물과 성격이 다르다고 판단된다. 즉 압출불 제작의 목적이 대량 생산이라면, 월지 판불은 왕실 내 특정 공간에 활용되는 불상을 조성하기 위한 불사의 성격이 강하였다. 더불어 세부 구조에 있어 하단에 나타나는 촉은 다른 지역 판불과는 다른 특수한 지점이었다. 금동판불 일괄이 왕실 내 특정 공간에 기능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불상임을 확인한 후, 구현한 불보살의 ‘존명’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삼존판불과 보살판불 모두 존명을 확정할만한 근거가 부족하였기에, 그동안 주목되었던 판불의 手印을 중심으로 사례를 모으고 비교 검토하였다. 먼저 그동안 삼존판불은 특정 유물 및 도상에 근거하여 존명이 분석되었는데, 본고에서는 판불이 제작된 7~8세기 전법륜인상을 거시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법륜인 혹은 통견·전법륜인 형식을 다른 존상도 공유한 사례가 다수 확인되므로 수인이 존명 판별에 절대적인 지표가 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대신 전법륜인 불좌상·양협시보살입상의 ‘삼존 형식’이 같은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 아미타불에서 다수 나타난다는 점을 근거로 아미타불로 추정하였다. 합장인의 보살판불은 신라 합장인 보살좌상이 주로 본존을 공양하는 역할의 일반 권속으로 해석됨을 근거로, 특정 존명의 보살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은 적다고 판단하였다. 이때 보살판불의 도상 의미를 필자는 두 가지로 해석하였고, 이에 따라 삼존판불과의 관련 여부와 판불의 ‘용도’도 달라졌다. 이를 근거로 필자는 금동판불 일괄의 용도를 두 가지로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첫째로 삼존판불과 보살판불이 별도로 기능하였음을 전제하여 삼존판불은 주자에 봉안되고, 보살판불은 천개 등 건축물의 장엄 요소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앞서 살펴본 다른 지역 판불의 기능을 검토한 결과이다. 삼존판불은 형식, 구조 면에서 주자 봉안 불상과 유사한 점이 있었지만, 보살판불은 구조상 내부에 봉안되었다고 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별도의 기능으로 추정하였고, 이때 보살은 특정 도상 의미 없이 단순 장엄의 기능을 하였음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삼존판불과 보살판불이 함께 아미타정토를 구현하며 대칭으로 벽면을 장엄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이때 보살판불은 합장의 의미에 충실하여 삼존판불을 공양하는 의미를 내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삼존판불과 보살판불 그리고 월지에서 출토된 화불들은 돈황 아미타정토변 속 요소들과 유사한 지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들이 함께 유기적으로 아미타정토를 구현하였을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앞서 추정한 월지 판불의 제작 양상에 주목한 것이다. 삼존판불과 보살판불은 세부 형식·양식에 따라 두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판불은 동시기 다른 제작 집단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판불 간 세부 형식 차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구성을 각각 다른 집단이 조성한 경우는 주로 하나의 구현체를 조성하기 위한 경우임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제작 양상은 돈황 석굴 내 아미타정토변을 여러 벽면, 특히 대칭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와 유사하게 월지 인근 내불당의 일부 벽면을 두 유형의 판불로 장엄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금동판불 10구를 다각도로 조명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특정 유물과 도상에 한정되어 분석되었던 판불의 비교 대상을 확대하여 당시 판불의 형식과 구조가 가지는 의미를 검토해보았다. 더불어 유물들의 형식 분석을 넘어, 유물 간의 관계와 월지 인근 공간에서 어떻게 기능하였는지에 대한 여러 가능성을 고찰해보았다. ;With the excavation survey conducted in the 1970s, a large number of relics that reveal the life of royal court were found in Wolji Pond 月池. 10 Gilt-bronze Buddha Plaques 金銅板佛 with the buddhist image 尊像 expressed in the relievo type, and halo 光背 in the flat form were excavated. The plaques consisting of 2 Gilt-bronze Buddha triad plaques 金銅三尊板佛 and 8 Gilt-bronze Bodhisattva plaques 金銅菩薩板佛 were considered as representing the new trend of the construction of Buddha statu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due to their elaborate formability and active body expression. Especially, the Buddha triad plaque illuminated as an example reflecting the internationality of Buddhist art at the time, as similar types of Buddhist statues were also found in the Tang dynasty and Japan. This study intended to contemplate the whole Gilt-bronze Buddha Plaques focusing on the exclusive values of the sculpture while keeping the existing research accomplishments that concentrated on Buddha triad plaque. This study covers various possibilities on how Buddha Plaques were functioned and recognized in the actual royal court. Wolji Pond where Buddha Plaques were excavated was the garden pond of palace established in 674. While there is an active debate about nearby space due to the current excavation, the west side of Wolji Pond shows obvious characteristics of the king’s space where the king could hold banquets and ceremonies. In addition,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specific location and scope, but there was Donggung Palace 東宮 near the pond, which seems to have been a palace of king and the crown prince shared. A large number of Buddhist relics including Buddhist Plaques, were found in royal living space. This study identified the date and purpose of their production, focusing on the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the the excavation status was reviewed by utilizing the field record at the time of excavation. In that Gilt-bronze Ears of Buddha was excavated in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excavation situatio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Buddhsit temple in palace 內佛堂 existed nearby, but it is difficult to define specific building site. Among them, a clear record related to Buddhsit temple in palace near Wolji is the Seungbangjeon 僧房典 of the Donggung palace. It is presumed that Seungbangjeon was a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Buddhist events that were held in Donggung and in charge of rooms where monks lived. If so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Buddha Plaques was enshrined in the inner Buddha hall where the Buddhist ceremony was held or in Seungbang 僧房. This study also demonstrates‘form and structure’focusing on the current situations of Buddha Plaqu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whole styles and forms of Buddha Plaques show that there were elements that were not revealed until the late 7th century in Tang dynasty. For example, top knots of bodhisattva in Buddha triad plaques and bodhisattva plaques, rich volume and dense in Gilt-bronze Buddha triad plaque(An 1454) appeared in the late 7th century and were popular until the 8th century in Tang dynasty. In addition, bodhisattva ornament of Gilt-bronze Buddha triad plaque(An 1485), pedestal and halo patterns of the whole Buddha Plaques had similarity with statues made early 8th century in Silla, Therefore, the limit of Buddha Plaques might have been until the early 8th century. However, in that the appearance and halo patterns of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706) are more solid, Buddha Plaqu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at the late 7th century, which was earlier than that. The reason that Silla adopted new styles of Tang Dynasty quickly was probably the consumers were those in the royal court. The form of Buddha Plaqu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based on detailed styles and sitting methods. The high possibility of this difference can be different artisans. This is the result of reviewing other cases that were created at the same time, such as Sarira Reliquary from the East·West Pagoda of Gameunsa Temple 感恩寺址 東·西 三層石塔 and Illustration of the Amitayurdhyana Sutra 觀無量壽經變 of Dunhuang Cave 172 north wall and south wall, which is the same composition but shows differences in detailed styles. It is noticeable that different artisans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one work such as Twin Pagodas and Cave. Next the detaile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uddha Plaques are comprehended while comparing with Buddhist statues of similar forms in East Asia. These have been in the category of‘Buddha Plaques 板佛’based on the similarity of form. However, Buddha Plaques in Wolji Pond were made with the Lost-wax Casting Method 蜜蠟鑄造法, so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remains of China and Japan made with Repousse Method 押出法. In other words, Buddha Plaques in Wolji Pond had a strong characteristic of Buddhist sculpture used in a specific space of the royal court while the purpose of making Repousse Buddhist statues was mass-production. Regarding the detailed structures, Chok 鏃 at the bottom was a special point differentiated from Buddha Plaques of other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ames of the Buddhist plaques. There is not sufficient base to define names of the statues in both Buddha triad plaques and Bodhisattva plaques, so case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ased on mudra 手印 of Buddha Plaques. First, the names of the statues in Buddha triad plaque were analyzed based on specific remains and icons, but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macroscopic review of Buddha images with dharmacakra-mudra 轉法輪印 of 7~8th century when Buddha Plaques were made. As a result, this study emphasized that dharmacakra-mudra could not be an absolute indicator for determining title of the buddha. Many cases were confirmed that regardless of name Buddhas shared the form of dharmacakra-mudra or Tonggeyeon 通肩 and dharmacakra-mudra. Howev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triad form of Seated Buddha images with dharmacakra-mudra·two bodhisattva frequently appeared in Amitabha of the same period, it suggests it might be Amitabha 阿彌陀佛. Meanwhil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the Bodhisattva Seated of Anjali Mudra 合掌印 was interpreted as general public of role to take care of the principal icon, there is low possibility of being considered as a specific names. At this point, this study interprets the meanings of Bodhisattva plaque in two types. Therefore, the relation with Buddha triad plaques and the purpose of whole 10 Buddha Plaques were changed. In other words, this study classified the whole purpose of Gilt-bronze Buddha Plaques in two possibilities. First, this paper assumed that Buddha triad plaques was used for Buddhist shrine 廚子 and Bodhisattva plaques for decorating elements of architecture like Buddisit canopy 天蓋 with the premise that Buddha triad plaque and Bodhisattva plaque functioned separately. This i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functions of other regional printing. Although the Buddha Triad Plaques had similarities with Amitabha Buddha Plaque enshrined in Buddhist shrine in terms of form and structur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Bodhisattva Plaques were enshrined inside due to its structure. Therefore, this papper estimated as a separate function, and at this time, it was suggested that the Bodhisattva functioned without a specific iconographic meaning. Second,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Buddha triad plaques and Bodhisattva plaques together were decorated on the wall in symmetry while realizing Amitabha’s Pure land 阿彌陀淨土. The Bodhisattva plaque in this point was comprehended to contain the meaning of offering Buddha triad plaque by being faithful to the meaning of putting hands together. Buddha triad plaque, Bodhisattva plaque and small Buddha Plaquettes 化佛 excavated in Wolji Pond were similar with the elements appearing in Amitabha’s Pure land bianxiang 阿彌陀淨土變 of Dunhuang Cave. In addition this focuses on the manufacturing aspect of Buddha Plaques in Wolji Pond estimated abov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uddha Plaques were established by other makers in the same perio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etailed format differences between Plaques, it was noted that the case where different groups created the same composition was mainly to create one implementation. This production pattern is also confirm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Amitabha Pure land in Dunhuang Cave on various walls, especially symmetricall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relevance of decorating some walls of Buddhit temple in palace with two types of Buddha Plaq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