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0 Download: 0

조지 투커(George Clair Tooker, Jr.)의 회화에 대한 재인식

Title
조지 투커(George Clair Tooker, Jr.)의 회화에 대한 재인식
Other Titles
A Re-recognition of the Paintings on George Clair Tooker, Jr.: From ‘Magic Realism’ to ‘Symbolic Realism’
Authors
김해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철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paintings by George Clair Tooker, Jr.(1920-2011) and an art historical attempt to construe and reinterpret Tooker’s work as a part of ‘Symbolic Realism’ instead of ‘Magic Realism’. Born in 1920 to an immigrant family in Brooklyn, New York, with a French-American father and Cuban-American mother, Tooker form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society as he experienced the injustice of American society while he grew up as an artist. Tooker’s critical perception of the society and its reality led him to serve as a member of the Communist Party while he attended Harvard University. Also, when the Civil Rights movement met its apex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60s, Tooker participated in the Montgomery March of 1965 led by Martin Luther King Jr.(1929-1968), and raised his voice for the underprivileged communities. As the artist’s own participation in the protest implies, Tooker actively took part in social reform movements and his works were largely inspired by his interest in, and personal experience of the sociopolitical injustice in American society which he encountered throughout his life. Utilizing visual means to express interest in the realities of the outside world and respond to the ‘now’, Tooker mainly produced religious-themed works after he converted to Catholicism in 1976, and created his unique oeuvre based on his ideal attitude toward social reality. Tooker is generally recognized as a quintessential artist of Magic Realism, an artistic branch of American surrealism. Defining Tooker’s oeuvre within the boundaries of Magic Realism is an approach which limits the interpretation of his works to the formal and technical similarities shared with the dream-like, fantastic images of European Surrealism that proliferated in the American art world during the 1930-1940s. It is my contention that the conventional art historical approach which interprets Tooker’s work as Magic Realism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his oeuvre. This study will thus incorporate a new reading of Tooker’s work by approaching it as Symbolic Realism, an artistic trend associated with American Realism, rather than making connections with the technical and formal similarities shared with Surrealism. The term “Symbolic Realism” was first used in 1950 by curator Lincoln Kirstein(1907-1996) in the exhibition 《Symbolic Realism in American painting 1940-1950》(1950) organized by the Edward Hewitt Gallery in New York. Centering his study around the postwar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Unites States, Kirsten defines and conceptualizes “Symbolic Realism” through an insightful analysis and categorization of American Realism and its status. Using Kirsten’s concept as the fundamental framework, I will reevaluate Tooker as a “Symbolic Realist” and reinterprate his entire oeuvre. In order to discuss Tooker’s work as Symbolic Realism,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merican Realist art movement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a multifaceted perspective, incorporating the complicated socio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contemporary New York art scene. To this end, the reinterpretation and redefinition of Tooker’s oeuvre as Symbolic Realism is predicated on a synthetic analysis of multiple primary sources which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xhibitions of Tooker’s paintings and artist interviews. Based on this contextual background, this paper combines postwar American circumstances and Tooker’s personal background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the artist’s works in which the symbolic expression and meanings faced significant changes as his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world transformed. Accordingly, Tooker’s oevure is thematized and presented progressively throughout the paper. Through this methodology,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ooker’s work as part of ‘Symbolic Realism’ to align it with American Realism and perceive it as a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s pertaining to the Realist art movement. Following the end of World War II, the American art scene pushed for Formalist Modernism, advocating for an ‘art for art’s sake’, which culminated into an aesthetic justification of pure abstraction and the positioning of Abstract Expressionism at the heart of the New York art world. Realist art was pushed to the periphery in this process, its importance significantly undermined. Regardless of such predominant artistic movements, several artists continued the tradition of the American Realist movement and chose to depict the real world, which led to the visual portrayal, confrontation, and expression of their conception on contemporary social issues. This paper holds ar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rediscovered “Symbolic Realism” of the 1940-1950s during an era when the American art world was dominated by Formalist Modernism and abstract art which met its apotheosis with Jackson Pollock(1912-1956) and the victory of American painting.;본 논문은 조지 투커(George Clair Tooker, Jr., 1920-2011)의 회화에 관한 연구로, 투커의 작품을 기존의 ‘마술적 리얼리즘(Magic Realism)’ 정의에서 벗어나 ‘상징적 리얼리즘(Symbolic Realism)’으로 재인식하고자 하는 미술사적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작가 조지 투커는 1920년 프랑스계 미국인(French-American) 아버지와 쿠바계 미국인(Cuban-American) 어머니 사이 뉴욕 브루클린(Brooklyn) 지역의 한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라틴아메리카계 미국인이다. 예술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투커는 미국 사회의 비합리적인 현실의 문제를 몸소 경험하며, 사회 비판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는 하버드대학(Harvard University) 재학시절 교내 공산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었다. 또한 1960년대 미국에서 흑인들의 민권운동이 절정으로 일어났던 시기 1965년에 투커는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 목사가 이끄는 몽고메리 행진에 참여하며 소외된 사회 계층들을 위해 목소리를 냈다. 이처럼 투커는 그의 삶에서 발견되는 당대 미국 사회의 현실 문제에 천착하여 작품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회 변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외부 세계에 관심을 두고 시대와 호응했던 투커가 1976년 가톨릭으로 개종한 이후부터는 종교를 주제로 한 작품을 주로 제작했으며, 현실에 대한 이상적 태도를 근간으로 하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해 나갔다. 이러한 투커에 대한 미국 미술사에서의 평가는 그를 미국 초현실주의의 한 경향인 마술적 리얼리즘(Magic Realism)을 대표하는 작가로 위치시키고 있다. 투커의 작품을 초현실주의의 일환인 마술적 리얼리즘으로 정의하는 것은 1930-1940년대 미국 미술계에서 부상했던 유럽 초현실주의 미술의 꿈과 환상적 이미지의 기법 및 형식적 유사성 측면에서만 분석한 단편적인 해석이다. 본 연구자는 투커의 전 작품의 내용과 의미를 읽어내기 위한 마술적 리얼리즘(Magic Realism)의 관점은 그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데 불충분한 시각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커의 작품을 초현실주의 미술의 기법과 형식적 유사성의 특징으로 해석되어 온 기존의 마술적 리얼리즘 논의가 아닌, 미국 리얼리즘 미술의 한 경향인 ‘상징적 리얼리즘(Symbolic Realism)’으로 접근하여 미국 리얼리즘 미술사의 계보 안에서 새롭게 정의하고자 한다. ‘상징적 리얼리즘(Symbolic Realism)’이라는 용어는 1950년 큐레이터 링컨 커스틴(Lincholn Kirstein, 1907-1996)이 뉴욕의 에드워드 휴이트 갤러리(Edward Hewitt Gallery)에서 기획했던 《미국 회화의 상징적 리얼리즘 1940-1950 Symbolic Realism in American Painting 1940-4950》(1950) 전시에서 처음 사용한 것이다. 본 연구자는 커스틴이 1940-1950년대 미국 리얼리즘 미술의 경향을 세분화하여 정의하기 위해 최초로 사용했던 ‘상징적 리얼리즘(Symbolic Realism)’의 개념이 전후 정치 · 사회적 맥락을 통찰하여 미국 미술계 동향 및 리얼리즘 미술의 경향을 분석하고 진술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개념을 채택하여 투커를 ‘상징적 리얼리스트’로서 재평가하고 이를 해석의 틀로 삼아 투커의 전 시기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투커의 작품을 상징적 리얼리즘으로 새로운 논의를 펼치기 위해서 20세기 전반 미국 리얼리즘 미술사의 흐름을 당대 미국의 정치 · 사회적 상황과 더불어 문화 및 뉴욕 미술계의 복합적인 맥락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당시 뉴욕에서 개최되었던 전시의 내용과 투커의 전시 및 인터뷰 자료 등 확인 가능한 1차 자료를 종합하여 투커의 작품을 상징적 리얼리즘(Symbolic Realism)으로 재정의하기 위한 논의의 근거와 토대를 다졌다. 투커의 작품 분석은 이러한 배경적 논의를 바탕으로, 그가 활동했던 전후 미국의 시대사적 배경과 개인사적 배경을 결부시켜 작품 속 그의 세계관의 변천에 따른 상징적 표현과 의미를 공통된 주제로 묶어 단계별로 살펴볼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평생 회화를 매체로 리얼리즘 경향의 작품만을 제작했던 투커가 상징적 리얼리스트로서 회화 작품을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예술관을 이해하여 궁극적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투커의 작품을 미국 리얼리즘 미술의 전통과 계보를 잇는 ‘상징적 리얼리즘(Symbolic Realism)’으로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후 미국 미술계는 ‘예술을 위한 예술(Art for art’s sake)’로써 형식주의 순수 추상이 그 미학적 정당성을 얻게 되어 뉴욕 화단에서는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가 절대적인 중심에 자리하며, 리얼리즘 미술은 변방으로 밀려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외부 세계를 묘사하는 것을 선택하여 현실을 기록하고 사회의 문제에 대해 발언하며 미국 리얼리즘 미술의 명맥을 이어갔던 작가들이 존재했었다. 본 논문은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1912-1956)에 의해 미국 회화의 승리로 끝이 났던 모더니즘 미술사에서 추상 미술이 지배했던 1940-1950년대에 ‘상징적 리얼리즘(Symbolic Realism)’을 재발견하여 상징적 리얼리스트로서 투커의 작품 세계를 규명한 연구라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