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0 Download: 0

강경애 소설의 돌봄 윤리 연구

Title
강경애 소설의 돌봄 윤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are Ethics in Kang Kyoung-Ae’s Novels
Authors
신현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강경애 소설의 돌봄관계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맥락에서 가지는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당대의 지배담론은 가부장제·자본주의·식민주의의 영향 아래에서 복합적으로 구축되었으며 그러한 지배담론 아래에서 타인을 향한 돌봄이나 타인과의 관계는 억압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소설에 나타난 돌봄과 관계를 살피는 일은 폭력적인 체제 아래에서 이루어졌던 전복의 가능성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 강경애 소설에서는 관계를 부인하는 당대의 현실이 비판적으로 재현되고, 단절을 부정하는 인물을 소설 전면에 배치된다. 이는 구조적 폭력에 반하는 비폭력 관계를 구상하도록 한다. 이때 폭력에 대한 비판과 단절에 대한 부인은 대상이 부재한다는 사실관계에 의해 이루어진다기보다 대상의 상실을 애도하고 상실된 대상을 향한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인물의 심상과 행위 가운데 이루어진다. 본고는 돌봄관계의 양상을 다음의 세 장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Ⅱ장 ‘사랑노동의 대체불가능성과 모성의 수행성’에서는 부모-자식 관계를 원형으로 하는 일차적 돌봄관계를 중심으로 한다. 일차적 돌봄관계에서 돌봄 수행자로서 등장하는 것은 주로 여성들이다. 식민지 자본주의의 개입은 돌봄관계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나타나며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된 모성의 개념은 여성들의 순응을 강요한다. 여성들은 남성 사이의 거래 품목으로서 인간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거나, 그로 인해 자신이 돌보던 어린이와의 관계를 이어 나갈 수 없게 된다. 돌봄관계에서 남성의 의도적·비의도적 부재는 여성과 어린이들이 겪게 되는 빈곤의 주요 원인이 된다. 남성의 부재로 촉발된 빈곤은 여성이나 어린이의 죽음으로 연결된다. 강경애 소설은 하층민 여성이 수행하는 돌봄을 살펴봄으로써 빈곤의 젠더화된 모습과 여성들을 억압하는 제도로서의 모성이 가지는 한계를 비판한다. 동시에 모성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확장할 방법을 고민한다. 이때 주목되는 것은 돌봄으로 맺어진 관계가 자본의 질서로 그 가치가 매겨질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과 어머니와 딸의 관계가 딸의 각성으로 인해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돌봄은 자본의 질서 밖을 상상할 수 있는 기제가 되고 딸은 어머니의 유언을 수행하며 제도에 가려진 어머니와의 관계를 회복한다. Ⅲ장 ‘일반적 돌봄노동의 윤리적 불안감과 환대의 가능성’에서는 이웃의 환대로 이루어지는 이차적 돌봄관계를 살핀다. 더욱 심화된 일제의 식민지배 정책과 자본주의의 개입은 이차적 돌봄관계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한다. 소설은 돌봄관계가 부재하게 된 상황이나 유명무실해진 상황을 조명하며 비판을 이어간다. 이웃의 환대는 절대적 환대로 향한다기보다 조건부 환대로 향하는 양상을 보인다. 프레카리티의 영역으로 밀려난 인물들을 돌본다는 것은 자신 또한 위험해질 수 있는 상황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이웃의 냉대와 더불어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이분법적 분리 또한 문제시된다. 공적 영역에서 고용주-고용인 간의 협상이 성공하더라도 사적 영역에서의 돌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소외된 영역의 인물이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암울한 상황 속에서도 돌봄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인물들의 자리는 마련되어 있었다. 여성 지식인의 글쓰기는 타자의 고통에 민감하게 반응한 결과로 나타나며 이는 고통에 응답함으로써 체제의 폭력에 저항하는 비폭력 행위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나르시시즘적인 자아를 바탕으로 하여 또 다른 폭력을 불러올 수 있는 행위와는 다르다. 지식인 여성들의 고투와 더불어 민족주의 밖에서 수행되는 돌봄관계 또한 주목해볼 수 있다. 일제의 식민지 정책은 중국인, 조선인, 일본인 모두의 삶을 파괴하는 국면을 보인다. 강경애 소설은 그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지는 이웃 간의 돌봄이 폭력에 반하는 행위임을 역설한다. Ⅳ장 ‘연대노동의 실천과 책임의 지속성’에서는 공동체적 노력으로 유지되는 삼차적 돌봄관계에 주목한다. 강경애 소설에 나타나는 연대는 사회주의적 이념을 기치로 하는 결사체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초기 소설에서 결사체는 구성원의 희생을 정당화는 모습을 보인다. 단체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면 실패하기와 패배하기, 그 과정에서 당하는 부상이나 죽음은 옳은 것으로 치부되는 경향을 보인다. 단체 안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폭력도 문제가 된다. 사회주의자 남성이 사회주의자 여성에게 부과하는 비난은 당시의 여성혐오와 공명하고 있었다. 남성에게 복종하지 않는 여성들은 그의 의지와 무관하게 연대노동에 소홀한 사람으로 평가되었고 생존을 위협받기도 했다. 후기 소설에서 결사체의 모습은 형질전환의 국면을 맞이한다. 죽음에 대한 주변인들의 슬픔은 더는 죽음을 정당화할 수 없는 경계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출옥한 운동가들은 이전의 연대를 그리워하나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수용해야 했다. 이에 공동체는 되돌릴 수 없는 모습으로, 회상의 대상으로 묘사된다. 공동체가 파열되었더라도 연대노동의 의미 자체가 부정되지는 않았다. 인물들은 학교와 같은 사회적 인프라를 유지하고 보수하는 등의 노력으로 사회에 대한 책임을 지속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의 노력은 파열 이전의 연대노동과의 연속성 아래에서 이루어졌다. 강경애 소설은 연대가 이념적 완벽성을 가진 영웅적인 개인의 지도 아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적 자아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모습을 서술한다. 이들은 식민지 상황에서 일어나는 신화적 폭력을 전복하는 자들로서 취약성의 배제를 상상하는 법에 동일시되지 않고 외려 그러한 취약성 속에서도 발현될 수 있는 윤리적 가능성을 희구하였다. 강경애 소설의 돌봄은 당대의 지배적인 정치성과 윤리성을 상대화할 수 있는 요소로 나타난다. 하층민 여성들은 제도적 맥락에서 폭력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었던 모성 담론에 난잡하게 복종하면서 구조의 부정의를 문제 삼았다. 지식인 여성들과 단일한 민족으로 환원할 수 없는 이웃들은 감당할 수 없을지도 모를 책임의 무게를 가져오는 타자에게 반응하며 윤리의 방향을 실험하였다. 취약한 자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연대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변화하며 실천을 지속하였다. 이에 강경애 소설에 나타난 돌봄관계의 양상을 살펴보는 일은 폭력과 파열 이후에도 가능할 수 있는 윤리적 삶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htico-political meanings of care relations found in Kang Kyoung-Ae’s novels in the context of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times was established in complex ways under the influence of patriarchy, capitalism, and colonialism. Under the dominant discourse, it was inevitable that caring for others or relations with them was suppressed. Examining care and relations in novels this enables a focus on the possibilities of subversion under a violent system. Kang’s novels critically represent the reality of the times that deny relations and put characters denying severance in the front, leading to the conception of non-violent relations against structural violence. Here, the criticism of violence and the denial of severance happen in the images and acts of characters trying to mourn the loss of an object and restore their relations with the lost object rather than the actual relevance of the object’s absence. The study offers explanations about the patterns of care relations in three chapters. First, Chapter Ⅱ, “Irreplaceability of Love Labour and the Performativity of Motherhood” centers around primary care relations whose archetype is parent-child relations. Women usually appear as careers in primary care relations. The intervention of colonial capitalism is a threatening factor for care relations and the male-centric concept of maternal instinct forces women to conform. Women became trade items between men and lost their human status, or as a result, they were unable to continu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they were caring for. The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absence of men in care relations has become a major cause of poverty that women and children suffer. Poverty caused by the absence of men leads to the death of women or children. Kang’s novels criticize the gendered aspects of poverty and the limitations of motherhood as an institution to suppress women by looking into care performed by women in the lower class and, at the same time, have contemplation over how to expand the possible meanings of motherhood. Here it is noteworthy that relations established via care cannot have their value assessed by the order of capital and that mother-daughter relations can be repaired by the daughter’s awakening. Caring becomes a mechanism to imagine what is outside the order of capital, and the daughter performs her mother’s will, repairing her relations with the mother covered by the institution. Chapter Ⅲ, “Ethical Anxiety of General Care Work and the Possibilities of Hospitality” examines secondary care relations made possible by the hospitality of neighbors. Japan’s more intensified policies of the colonial rule of Joseon and the intervention of capital prevented secondary care relations. Kan’s novels continue their criticism by shedding light on the situations in which care relations are no longer or become nominal. There is a pattern of neighbors’ hospitality moving toward conditional hospitality rather than absolute hospitality, since taking care of people pushed into the area of precarity can put oneself in a risky situation, as well. In addition to cold treatments by neighbors, the dichotomous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te spheres has also become an issue. If there is no care in the private spheres despite a successful negotiation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employee, characters in an alienated area will face death. There were places for people trying to keep their care relations, even in dismal situations. Feminist intellectuals react to the pain of others in a sensitive way by writing, and it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ir non-viloent acts to resist the violence of the system by responding to the pain. This is not based on their narcissistic ego and it is different from an act that may lead to another form of violence. A focus can also be put on care relations outside nationalism in addition to the bitter struggle of feminist intellectuals. Japan’s colonial policies destroy all the lives of Chinese, Josen, and Japanese people. Kang’s novels stress that caring for neighbors despite the policies is an act against violence. Lastly, Chapter Ⅳ, “Practice of Solidary Work and the Continuity of Responsibility” focuses on tertiary care relations maintained by community efforts. Solidarity in Kang’s novels takes the form of an association under the banner of socialist ideology. In her early novels, solidarity justifies the sacrifice of its members. There is a tendency for an organization to regard failure, defeat, and injuries or death in the process as the right thing as long as they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its existence. Violence inflicted on women within solidarity is also a problem. Socialist men’s criticism of socialist women resonates with the misogyny of the times. When women refused to obey men, they were considered to have neglected the necessity for solidary work regardless of their will and had their survival threatened. In Kang’s later novels, the aspects of an association face a state of transformation, which means that they have reached a boundary where the sorrow of people around a member that was killed can no longer justify his or her death. Activists released from prison miss their old solidarity but they have to accept the reality that they can never go back to the past. As a result, their solidarity is described in its old irreversible aspects or as an object of reminiscence. Even if solidarity bursts, it does not deny the meaning itself of solidary work. Characters continue to act of their responsibility to society by making efforts to maintain and repair social infrastructure, such as schools. Their efforts are made under their continuity with the old solidary work before the burst. Kang’s novels depict solidarity is formed by the collecting of relational egos rather than under the guidance of a heroic individual with ideological perfection. They overthrew mythical violence happening in a colonial situation and had a desire for ethical possibilities that could be manifested even in vulnerability, instead of identifying with the law to imagine the exclusion of vulnerability. In Kang’s novels, caring is an element to relativize the dominant political and ethical at that time. Lower-class women took issue with the denial of structure by promiscuous obeying the maternal discourse that could have been used as a means of violence in an institutional context. Feminist intellectuals, and the neighbors that could not be reduced into a homogeneous nation reacted to others that brought them the weight of responsibility that they might not endure, conducting an experiment with the direction of ethics. The solidarity of the vulnerable that collected together changed and continued to practice in social contexts.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care relations in Kang’s novels enables a focus on ethical life that can be possible even after violence and rupture,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