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3 Download: 0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역경지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역경지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and adversity quoti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Authors
박지인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착근도, 역경지수, 조직몰입을 파악하여 직무착근도와 역경지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작성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무착근도는 Mitchell 등이 개발한 Job Embeddedness Questionnaire(JEQ)를 Reitz가 수정 및 보완하고 최수미와 이숙정이 번안한 도구를, 역경지수는 Stoltz가 개발한 Adversity Quotient Profile(AQP)를 안지연 등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조직몰입은 Mowday 등이 개발한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OCQ)를 장경화가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무착근도, 역경지수, 조직몰입 정도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직무착근도는 3.43±0.46점이었다. 하위영역별로 지역사회 적합성이 3.54±0.6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근무혜택이 3.51±0.58점, 조직적합성이 3.45±0.56점, 업무팀이 2.98±0.70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역경지수는 3.47±0.46점이었다. 하위영역별로 상황의 영향범위가 3.67±0.69점으로 가장 높았고, 개인의 주도성 3.51±0.57점, 개인의 통제력 3.45±0.56점, 상황의 지속성 3.27±0.67점 순이었다. 조직몰입은 3.45±0.51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자긍심이 3.55±0.58점로 가장 높았고, 사명감 3.40±0.63점, 재직욕구 3.31±0.70점 순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착근도, 역경지수, 조직몰입의 차이 직무착근도는 연령(F=3.29, p=.041), 결혼상태(t=3.93, p<.001), 학력(F=6.79, p=.002), 임상경력(F=4.56 p=.01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역경지수는 연령(F=3.52, p=.033), 결혼상태(t=2.49, p=.014), 학력(F=14.43, p<.001), 임상경력(F=5.70,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몰입은 연령(F=7.76, p=.001), 결혼상태(t=4.81, p<.001), 학력(F=10.23, p<.001), 임상경력(F=6.9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직무착근도, 역경지수,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직무착근도, 역경지수, 조직몰입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착근도와 조직몰입(r=.77, p<.001)이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착근도와 역경지수(r=.64, p<.001) 또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역경지수와 조직몰입(r=.63,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임상경력의 일반적 특성 중 기혼(β=.27, p=.010), 대학원 졸업(β=.23, p=.029)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2단계는 직무착근도와 역경지수가 추가되었으며 통제변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착근도(β=.58, p˂.001), 역경지수(β=.24, p=.002)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 직무착근도와 역경지수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았다. 따라서 간호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 조직관리를 위해서는 간호 조직 내에서 간호사가 조직에 남아있게 하고 개인의 역경을 잘 극복하게 하며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여 업무에 잘 적응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추후 간호조직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adversity quoti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nurses who have more than 3 months of experience working at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Seoul. A convenient sample of 126 participant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4, 2022 to October 31, 2022.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job embeddedness was 3.43±0.46(perfect score=5), and as for the sub-areas of job embeddedness, the mean was 3.54±0.69 for community match, 3.51±0.58 for employment benefits, 3.45±0.56 for organizational match, and 2.98±0.70 for work teams intimacy. The average score of the adversity quotient was 3.47±0.46(perfect score=5), and as for the sub-ares of the adversity quotient, the mean was 3.67±0.69 for the reach, 3.51±0.57 for the ownership, 3.45±0.56 for the control, and 3.27±0.67 for the endurance. The average scor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45±0.51(perfect score=5), and as for the sub-areas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an was 3.55±0.58 for the self-esteem, 3.40±0.63 for the sense of mission, and 3.31±0.70 for the desire to work. 2. The research showed differences in the job embeddedness, adversity quoti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subjects’general characteristics. Job embedded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3.29, p=.041), marital status(t=3.93, p<.001), education(F=6.79, p=.002), and clinical work experience(F=4.56 p=.012). Adversity quoti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3.52, p=.033), marital status(t=2.49, p=.014), education(F=14.43, p<.001), and clinical work experience(F=5.70, p=.004).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7.76, p=.001), marital status(t=4.81, p<.001), education(F=10.23, p<.001), and clinical work experience(F=6.97, p=.001). 3. Job embeddedness(r=.77, p<.001) and adversity quotient(r=.63, p<.00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embeddednes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adversity quotient(r=.64, p<.001). 4.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fist stag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 marital status-‘married’(β=.27, p=.010) and education-graduate school(β=.24, p=.029). At second stag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 job embeddedness(β=.58, p<.001), adversity quotient(β=.24, p=.002).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nurses to remain in the workforce and overcome adversities for them to adapt and become immersed in the work.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nform researchers to develop measure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