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숙정-
dc.contributor.author이소현-
dc.creator이소현-
dc.date.accessioned2023-02-24T16:30:43Z-
dc.date.available2023-02-24T16:30:43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OAK-00000020235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0235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42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산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온라인 커뮤니티 및 온라인 자조모임에 참여 중인 최근 2년 이내 유산을 경험한 여성 167명이며, 2022년 8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온라인상에서 편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회적 지지는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고, 대처전략은 Brief Coping Orientation to the Problems Experienced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다. 외상 후 성장은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점수는 평균 3.98±0.44점 (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대처전략 점수는 전체 평균이 2.66±0.32점 (4점 만점)으로 하위 척도를 살펴보면 수용(3.26±0.58)이 가장 높았고, 약물 사용(1.94±0.94)이 가장 낮았다. 외상 후 성장 점수는 평균 53.53±10.74점 (8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유산 시 연령(t=2.88, p=.034), 직업유무(t=2.68, p=.008), 유산 후 경과시간(F=4.04,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대처전략은 자녀가 있는 그룹이 없는 그룹에 비해 수용(t=2.74, p=.007), 계획(t=2.46, p=.015)이 유의하게 높았고, 행동철회(t=-3.04, p=.003), 약물사용(t=-3.22, p=.002)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종교 유무(t=2.09, p=.039), 자녀 유무(t=2.28, p=.024), 유산 후 경과시간(F=4.39, p=.01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 정도는 사회적 지지(r=.486, p<.001), 대처전략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재해석(r=.374, p<.001), 수용(r=.358, p<.001), 능동적 대처(r=.352, p<.001), 감정적 지지 추구(r=.266, p<.001), 계획(r=.26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38.8% (F=7.589, 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사회적 지지(β=.327, p<.001), 수용(β=.248, p=.001), 자녀 유무(β=.220, p=.002), 긍정적 재해석(β=.202, p=.01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와 수용(acceptance), 긍정적 재해석(positive reframing) 대처전략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는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간호 중재 과정에서 비슷한 경험 집단으로 구성된 자조 모임을 함께 제공하여 충분한 사회적 지지와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산을 경험한 여성이 수용(acceptance)과 긍정적 재해석(positive reframing) 대처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감사일기쓰기 및 명상요법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산 경험 이전 개인이 원래 갖고 있던 적응 수준을 넘어서는 성장을 경험하도록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정신적 건강과 성장에 도움을 주어 사회적 측면에서의 정신질환 관련 의료비용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ho have experienced miscarriage.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adopted.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67 women who miscarried their babies within the last 2 years through online web site.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coping strategies were measured by Brief Coping Orientation to the Problems Experienced (Brief COPE),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measured by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among participants was 3.98±0.44 (out of 5 points). The mean score of coping strategies was 2.66±0.32 (out of 4 points). Looking at the subscale, ‘acceptance’ was the highest (3.26±0.58), and ‘substance use’ was the lowest (1.94±0.94). And the mean score of post-traumatic growth was 53.53±10.74 (out of 80 points). 2. The social support of participant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aternal age (t=2.88, p=0.034), occupational status (t=2.68, p=.008), and time since last miscarriage (F=4.04, p=.019). As for coping strategies, acceptance (t=2.74, p=.007), planning (t=2.46, p=.015), behavioral disengagement (t=-3.04, p=.003) and substance use (t=-3.22, p=.002) coping of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children or not. The degree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religion (t=2.09, p=.039), with or without children (t=2.28, p=.024), and time since last miscarriage (F=4.39, p=.014). 3. Post-traumatic grow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486, p<.001), positive reframing (r=.374, p<.001), acceptance (r=.358, p<.001), active coping (r=.352, p<.001), use of emotional support (r=.266, p<.001) and planning (r=.263, p<.001). 4.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in predicting PTG. These explained 38.8% of PTG, social support (β=.327, p<.001) that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PTG, acceptance (β=.248, p=.001), with or without children (β=.220, p=.002), and positive reframing (β=.202, p=.011).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social support, ‘positive reframing’, ‘acceptance’ coping strategies and with or without children appeared to influence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pregnancy loss. Especiall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ost-traumatic growth, an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such as a self-help group. In addition,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writing gratitude journal and meditation therapy should be provided so that women who have experienced miscarriage can use coping strategies such as acceptance and positive reframing. These will improve the mental health and growth of women after miscarri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정의 5 Ⅱ. 연구방법 8 A. 연구설계 8 B. 연구대상 8 C. 연구도구 10 D. 자료 수집 방법 13 E. 자료 분석 방법 14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15 G. 연구의 제한점 16 Ⅲ. 연구결과 17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B. 연구 대상자의 유산관련 특성 19 C. 연구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 21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 차이 23 E. 유산 관련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의 차이 26 F.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및 외상 후 성장의 상관관계 28 G. 사회적 지지 및 대처전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30 Ⅳ. 논의 33 A.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 33 B. 일반적 특성 및 유산 관련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의 차이 19 C.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의 상관관계 39 D.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40 Ⅴ. 결론 및 제언 43 A. 결론 43 B. 제언 45 참고문헌 47 부록(설문지) 55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860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ho have experienced miscarriage.-
dc.creator.othernameLee, So Hyun-
dc.format.pagev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2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