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9 Download: 0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 개발 실태 분석

Title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 개발 실태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Authors
이도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한업
Abstract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that analyzed the developm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using academic journals, degree papers, and research reports. This study took the approach that ‘intercultural competence’is one of the key aspects needed in Korea, considering its situation as an emerging multicultural society. In today's society, where meeting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is inevitable, if anyone finds it awkward to face each other's differences,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intercultural they are. This can be done by u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which had not been conducted in Korea yet.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contained in this study refer to assessment tools that can evaluate the ability to coexist harmoniously while acknowledging the fact that culture is just a matter of ‘different’ rather than ‘right or wrong.’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Korea and overseas. Second, it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Third, based on those findings, a very brief direction will be suggested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in Korea. To this end, all terms related to intercultural competence were used as keywords in the literature when collecting data as there are no agreed upon terms by researchers so far in relation to intercultural competence. The data collected in this way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after reconfirming that it was mentioned as an assessment tool for intercultural competence in other litera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cope and target of assessment tool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developer, there were four main categories in Korea : multicultural acceptance assessment tools, intercultural sensitivity assessment tools, and translation or revision assessment tools. On the other hand, various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already existed as study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overseas has a long history in multicultural societies. A large number of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were classified by their names because it was believed that the developer's intention could be well indicated in the tools’ name. Based on the terms related to culture, they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seven different tools’ names. They were intercultural, multicultural, cultural, cross-cultural, global, language / communicative, and others including international and overseas. Second, government-rel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Migrant Background Youth Support Foundation, and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the developers of domestic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which was a very different trait from that of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s tools. Although the components of the assessment tools we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each question had a considerable bias, such as viewing foreign migrants as objects in need of aid or including inappropriate vocabulary or expressions in the questions. This indicates that when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the components are important but what is more important are the actual questions. In many questions in the domestic assessment tools, foreign migrants were not regarded as respondents and were already discriminated against. Most of the domestic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only for use by residents (Koreans). Third, the foreig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volunteers who would go abroad when cultural exchanges were not common, and for missionaries. Over time,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changed and were developed to alleviate conflicts with residents in relation to the influx of migrants. Now, intercultural competence is regarded as a personal skill necessary for the 21st century, and research on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are being conducted. Some research are conducted in the form of collaboration not only between individual scholars, but also between scholars from related fields, and an online platform that aggregates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is operated. On the online platform, various users, such as individuals, groups, schools, and companies, can select appropriate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intercultural competence directly.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commercialized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s tools, including training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is a completely different feature compared to those found in Korea. Korea is now go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tage among countries that have emerged as a multicultural society. Most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aim at social integration without conflict in relation to the influx of migrants. However, no one tends to know how much intercultural competence they have. This suggests that an appropriate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 in Korea is needed. In addition, for proper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research on appropriate inter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s is necessary.;이 연구는 학술지,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활용하여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의 개발 실태분석을 하는 문헌 연구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에 진입하는 한국에서 현재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가 ‘상호문화역량’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문화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서로의 다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상호문화역량 평가를 통한다면, 스스로 자신이 얼마나 상호문화 적인 사람인가를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또 이것은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를 활용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아직 진행되지 않은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의 개발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포함하는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란 문화가 다른 사람들이 마주하였을 때 옳고 그름을 비교하기보다는 다름을 인정하면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일컫는다. 본 연구는 첫째, 국내⦁외 개발된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셋째, 위의 두 항목을 토대로 국내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 개발 시 방향 설정을 제시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자료를 수집할 때는 연구자들의 합의된 용어가 현재까지는 없으므로 문헌에서 상호문화역량과 관련되는 용어 모두를 키워드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다른 문헌에서 상호문화 역량 평가도구라고 언급된 것을 재확인 후 간추려 분석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는 개발자의 목적에 따라 평가하려는 범위나 대상이 상이하기는 하였지만, 다문화수용성 평가도구, 상호문화감수성 평가도구, 상호문화 역량 평가도구, 번역/번안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 4가지로 크게 분류 가능하였다. 한편 국외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는 다문화사회 역사가 긴 만큼 다양한 평가도구가 존재하였다. 많은 수의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를 우선 도구 명으로 분류하였는데, 그것은 도구 명에서 개발자의 의도가 파악 가능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문화를 나타내는 접두사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도구 명으로 크게 7가지로 분류하였다. 상호문화적(Intercultural), 다문화적(Multicultural), 문화적(Cultural), 문화횡단적(Cross-Cultural), 글로벌(Global), 언어/의사소통적인(Language, Communicative), 기타에는 국제적인(International), 해외의(Overseas) 등을 포함하였다. 둘째, 국내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는 여성가족부나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여성가족부 소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국무 총리실 산하 기관) 등 정부 관련 기관이 주체가 되어 개발되고 그것은 다른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보다 더 많이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국외의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와 상이하게 구분되는 특징이다. 그리고 국내 상호문화 역량 평가도구는 그 평가도구의 구성요소가 상호문화역량 구성요소(태도, 지식, 기술)와 유사할지라도 각각의 문항에서는 이주민을 원조의 대상으로 바라보거나, 문항 내 적절하지 못한 어휘를 포함하는 등 개발자의 편견이 상당히 내재하여 있었다. 이러한 점은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할 때는 구성요소도 중요하지만, 실제 문항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미 응답자에서 이주민을 배제하였고, 많은 문항에서 국내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는 정주민만을 대상으로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외 상호문화 역량 평가도구는 초창기에는 문화교류가 활발하지 않았던 시절에 해외에 나가게 될 봉사단이나, 선교사를 위해 평가도구 개발이 시작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주민 유입과 관련하여 정주민과의 갈등을 완화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그 성격 및 특징이 변화, 개발되었다. 그리고 현재에는 상호문화역량은 21세기에 필요한 하나의 개인적 역량으로 간주하여, 점점 다양한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개별 학자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의 학자들 간 협업의 형태로 연구가 진행되기도 하고 상호문화 역량 평가도구를 집대성한 온라인 플랫폼이 운영되기도 한다. 그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개인, 집단, 학교, 회사 등 다양한 사용자가 적합한 평가도구를 선택하여 직접 상호문화역량을 평가할 수 있고, 평가도구의 선택 시 상담이 가능한 유료화된 평가도구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상호문화역량을 향상을 위한 훈련을 포함한 상업화된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의 등장도 국내와 비교했을 때 전혀 다른 특징이라 하겠다. 한국은 지금 이미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국외 나라 중 그 중간단계쯤을 거치고 있다. 대부분의 평가도구가 이주민의 유입과 관련하여 갈등 없는 사회통합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누구도 자신이 어느 정도의 상호문화역량을 갖췄는지 잘 모르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이 적절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적절한 상호문화역량 평가를 위해서라면 적절한 상호문화역량 평가도구의 연구는 충분한 그 가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