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2 Download: 0

초등 통합학급에서 실시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itle
초등 통합학급에서 실시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s.
Authors
정정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오늘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의 생활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코딩로봇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기술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사회의 변화와 시대의 요구에 발맞추어 교육 현장도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창의·융합 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형 교수학습환경의 조성이 강조되고, 융합교육과 학생 주도적 교육이 주된 흐름이 되었으며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협업과 같은 사회적 역량, 비판적 사고 역량 등 미래 사회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메이커교육은 이러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한 방법으로 학습자가 다양한 도구와 재료를 사용해 작품을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활동을 포함하는 교육이며 작품을 제작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가운데 학습이 이루어지고, 제작 과정을 포함하여 결과물에 대한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공유함으로 소통과 나눔이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특수교육대상자에게도 학습자 중심 교육은 그 효과가 검증되어 왔으며 변화하는 교육현장을 반영하여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메이커교육을 통합교육 환경에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협력교수로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 통합학급 학생과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양적‧질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C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2학급 학생 39명(비장애학생 37명, 특수교육대상학생 2명)과 각 반의 담임교사인 일반 초등교사 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이 속한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은 대표적인 메이커교육 교수‧학습모형인 TMSI모형을 기초로 초등학교 6학년 교과 성취기준과 연계하여 16차시의 팀 프로젝트형 수업으로 개발하였으며, 교수전략으로 담임교사와 특수교사가 공동의 책무성을 가지고 한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협력교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혼합연구설계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모두 실시하였다. 양적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방법으로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창의적 사고 역량 검사, 사회적 역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장애학생들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수업 활동 목표 달성 여부는 목표달성척도(GA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적연구는 수업 중 제작물 및 활동자료, 연구자의 성찰일지, 학생 소감문 및 소감 발표 전사본, 사전·사후 수업 협의록과 비장애학생과 통합학급 담임교사 그룹 면담, 특수교육대상학생 개별면담 전사본을 사용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에 미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비장애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발산적 사고, 호기심 및 모험심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우 창의적 사고 역량 검사의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 점수가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모두 향상되었다. 둘째,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적 역량 향상에 미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역량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협력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우 사회적 역량 검사의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 점수가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모두 향상되었다. 셋째,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수업 활동 목표 달성에 미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두 명의 특수교육대상학생 모두 기대점수 이상으로 수업 활동 목표에 도달하였다. 넷째,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학생과 교사가 경험한 변화와 성과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4가지 대주제와 그에 따른 하위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 2) 학생의 사회적 역량 향상, 3) 학생의 수업 태도 및 만족도 향상, 4)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풍부해진 창의력과 만들기의 즐거움을 통해 호기심과 모험심, 탐구심이 향상되었고, 새로운 강점이 발현되는 등 창의적 사고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 협력과 소통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친밀한 관계 및 공동체성이 향상되는 등 사회적 역량에도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학생들은 협력교수를 통해 수업 태도 및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수업 중 더 많은 관심과 도움을 받게 되면서 수업에 대해 기대감과 즐거움을 갖게 되어 수업만족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로 인해 연구에 참여한 통합학급 담임교사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이 내 학생이라는 책임감을 갖게 되었고, 통합교육이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이라는 것을 자각함에 따라 협력교수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사회적 역량 및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수업 활동 목표 달성에 효과가 있었음을 양적연구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과 교사가 경험한 변화와 성과를 질적연구로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미래교육으로 부각되고 있는 메이커교육을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시도하여 효과를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인 협력교수를 활용하여 메이커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통합학급 담임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교수 실행을 통한 사례를 제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oda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lives are rapidly changing.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coding robots, have brought many changes to our daily lives, and the educational field is also rapidly changing with these changes in society and the needs of the times. Learning environment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is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can develop future core competencies such as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s being highlighted. Maker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includes designing and producing works using various tools and materials. It refers to education designed to facilitate problems solv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by shar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in the making proces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to apply mak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maker education, which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out and with disabilities at inclusiv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and achievement of education go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which developed a total of 16 times project-type maker education programs in connection with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used a co-teaching by general teacher and special teacher in one classroom. The research method was a mixed research design, 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tests and social competency tests for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s a single group pre- and post-design method. The change i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non-disabled students was analyzed using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and the change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Goal Achievement Scale (GAS) was used to measure wheth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hieved their goal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student’s products and activity data, a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 a student's papers, teacher’s records, an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the above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on improving the creative thinking competences of students,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score of non-disabled students increased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are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reas of divergent thinking, curiosity, and adventure.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improved in all sub-areas as well as the overall score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on improving the social competences of students, the social competences score of non-disabled students increased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are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operative area.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otal score and sub-area score of the social competency test improved in both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achieving the goa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oth students reached the goals above the expected scor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four major themes were derived: 1) Improv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2) Improving students' social competence, 3) Improvement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class climate, 4)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was effective in achiev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competences, social competences, and go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could be explored in dep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ested the effectiveness of maker education to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new examples of co-teaching with general teacher and special teacher and confirmed the eff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