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1 Download: 0

비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 기능상태 및 삶의 질

Title
비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 기능상태 및 삶의 질
Other Titles
Patients with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Symptom clusters,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Authors
윤영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symptom clusters in non-muscularly invasive male bladder cancer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recurrence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An attempt was mad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male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local recurrence after being diagnosed with non-muscular invasive bladder cancer,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15 people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2 to October 31, 2022. .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total of 115 subjects were studied. The average age was 66.6±8.91 years, and 77.4% (89 patients) were in their 60s or 70s. 60% (69 people) had a job, and 72.2% (83 people) had a spouse as the main caregiver. The average number of recurrences was 2.30±1.97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was 3.43±2. Most of the subjects with intravesical drug treatment experience accounted for 92.2% (n = 106). 2. The subject's symptom experience was an average of 2.19±0.47 points out of 4 points. The most severely complained symptoms were 'worries about future treatment' (2.96±0.83), 'difficulty sleeping due to frequent bedwetting' (2.61±0.99), and 'frequent urination at night (2.58±0.92). appeared in sequence. 3. The subject's functional status averaged 74.77±18.60 out of 100 points, with role function being the best (81.30±21.54), physical function (79.59±19.85), emotional function (71.81±21.16), and social function (70.87±). 22.28) and cognitive function (70.29±26.19), respectively.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 was 55.80 ± 23.88 points out of 100 points. 4. The symptom clusters identified in non-muscle invasive male bladder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d recurrence were urination-sleep disorder cluster, bowel discomfort-malarial cluster, uncertainty cluster, and erection-ejaculation disorder cluster.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urinary-sleep disorder cluster was found in those over 70 years of age (F=12.723, p= .001), those without a job (t=-2.217, p= .029), and those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KRW 2 million (F=5.109, p = .002), and the intensity of symptoms was higher when the main caregiver was not the spouse (t = -2.811, p = .006). In the intestinal discomfort-malarial cluster, the intensity of symptoms was high when there was no job (t = -2.003, p = .048). Erectile-ejaculatory disorder cluster was found in those over 70 years of age (F=11.405, p= .001), those without a job (t=-2.170, p= .032), and those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t=2.797, p=2.797, p = .044), if the primary caregiver is not a spouse (t=-2.678, p= .009), if the T1 HG stage with carcinoma in situ (CIS) (F=3.794, p= .012), 2 In case of recurrence (F=3.928, p= .022), symptom intensity was higher in case of 3-4 surgeries (F=5.730, p= .004). 5. The urination-sleep disorder cluster was characterized by the subject's physical function (r=-.609, p= .001), role function (r=-.536, p= .001), and cognitive function (r=-.523, p = .001), emotional function (r = -.336, p = .001), and social function (r = -.368, p = .001). The intestinal discomfort-malarial cluster showed the subject's physical function (r=-.401, p= .001), role function (r=-.442, p= .001), and cognitive function (r=-.392, p = .001), emotional function (r=-.404, p= .001), and social function (r=-.301, p= .001). The uncertainty cluster was associated with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 (r=-.199 p= .03), emotional function (r=-.427, p= .001), social function (r=-.294, p= .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Erectile-ejaculation disorder cluster (Cluster 4) was characterized by physical function (r=-.364, p= .001), role function (r=-.234, p= .012), and cognitive function (r=-.197, It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 = .03). Subjects experienced urination-sleep disorder cluster (r=-.525, p= .001), intestinal discomfort-disease cluster (r=-.400, p= .001), erection-ejaculation disorder cluster (r=- .333, p= .001)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In summar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are relatively early bladder cancer patients, but experience urination-sleep disorder cluster, intestinal discomfort-malarial cluster, uncertainty cluster, and erection-ejaculatory disorder cluster. The identified four clusters were found to negatively affect the subject's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identify symptom clusters experienced by the subject and recognize that these symptom clusters are negatively impacting the subject's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f a systematic symptom management protocol i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improvement and quality of life in the long-term cancer journey of the subjects. ;본 연구는 재발을 경험한 비근침윤성 남성 방광암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를 규명하고 기능 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대상자의 근거기반 증상관리 및 기능개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가 되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는 비근침윤성 방광암을 진단받은 후 1회 이상 국소 재발을 경험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9월 12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11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요인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총 115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66.6±8.91세이며, 60-70대 이상이 77.4%(89명)를 차지하였다. 직업이 있는 경우가 60%(69명)으로 나타났으며, 주 돌봄 제공자는 배우자인 경우가 72.2%(83명)였다. 재발 횟수는 평균 2.30±1.97회, 수술 횟수는 평균 3.43±2회였다. 방광 내 약물치료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2.2%(10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증상 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19±0.47점이었다. 가장 심하게 호소한 증상으로는 ‘앞으로 받아야 할지 모를 치료에 대한 걱정’(2.96±0.83), ‘잦은 야뇨로 수면을 취하기 어려움’(2.61±0.99), ‘밤에 자주 소변을 봄(2.58±0.92)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기능 상태는 100점 만점에 평균 74.77±18.60점으로 역할 기능이 가장 좋았으며(81.30±21.54), 신체적 기능(79.59±19.85), 정서적 기능(71.81±21.16), 사회적 기능(70.87±22.28), 인지적 기능(70.29±26.19) 순서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100점 만점에 55.80±23.88점으로 나타났다. 4. 재발을 경험한 비근침윤성 남성 방광암 환자에서 확인된 증상 클러스터는 배뇨-수면장애 클러스터, 장 불편감-권태감 클러스터, 불확실성 클러스터, 발기-사정장애 클러스터이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증상 클러스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뇨-수면장애 클러스터는 70세 이상인 경우(F=12.723, p= .001), 직업이 없는 경우(t=-2.217, p= .029), 월 소득이 200만 원 이하인 경우(F=5.109, p= .002), 주 돌봄 제공자가 배우자가 아닌 경우(t=-2.811, p= .006)에 증상의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 불편감-권태감 클러스터는 직업이 없는 경우(t=-2.003, p= .048) 증상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발기-사정장애 클러스터는 70세 이상인 경우(F=11.405, p= .001), 직업이 없는 경우(t=-2.170, p= .032),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경우(t=2.797, p= .044), 주 돌봄 제공자가 배우자가 아닌 경우(t=-2.678, p= .009), 상피내암(CIS)을 동반한 T1 HG 병기인 경우(F=3.794, p= .012), 2회 재발한 경우(F=3.928, p= .022), 3-4회의 수술을 시행한 경우 증상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5.730, p= .004). 5. 배뇨-수면장애 클러스터는 대상자의 신체적 기능 (r=-.609, p= .001), 역할 기능(r=-.536, p= .001), 인지적 기능(r=-.523, p= .001), 정서적 기능(r=-.336, p= .001), 사회적 기능(r=-.368, p= .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불편감-권태감 클러스터는 대상자의 신체적 기능(r=-.401, p= .001), 역할기능(r=-.442, p= .001), 인지적 기능(r=-.392, p= .001), 정서적 기능(r=-.404, p= .001), 사회적 기능(r=-.301, p= .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 클러스터는 대상자의 인지적 기능(r=-.199 p= .03), 정서적 기능(r=-.427, p= .001), 사회적 기능(r=-.294, p= .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기-사정 장애 클러스터(Cluster 4)는 신체적 기능(r=-.364, p= .001), 역할 기능(r=-.234, p= .012), 인지적 기능(r=-.197, p= .03)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가 경험하는 배뇨-수면장애 클러스터(r=-.525, p= .001), 장 불편감-권태감 클러스터(r=-.400, p= .001), 발기-사정 장애 클러스터(r=-.333, p= .001)는 삶의 질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국소 재발을 경험한 비근침윤성 방광암 환자는 비교적 초기의 방광암에 해당 되지만 배뇨-수면장애 클러스터, 장 불편감-권태감 클러스터, 불확실성 클러스터, 발기-사정장애 클러스터를 경험하고 있다. 확인된 4가지의 클러스터는 대상자의 기능 상태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료진은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 클러스터를 확인해야 하며 이러한 증상 클러스터들이 대상자의 기능 상태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증상관리프로토콜을 개발한다면 대상자의 장기적인 암의 여정에서 기능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