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0 Download: 0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경력 단절 극복을 위한 방안 연구

Title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경력 단절 극복을 위한 방안 연구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서비스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떻게 하면 경력보유여성이 경력 단절을 극복하고 사회로 잘 복귀할 수 있을까’ 라는 문제의 해결에 있어 문제의 단점을 찾거나 부족한 면을 보완 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 사고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 방법을 적용하여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문제를 정의하고 정의된 문제의 해결 방법을 경력보유여성의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하에 연구는 디자인 사고에 기반을 둔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론을 적용하여 발견(Discover), 정의(Define), 개발(Develop), 전달(Deliver) 의 4단계로 진행하였다. 사고의 확산과 수렴의 과정을 거쳐 ‘어떻게 하면 경력보유여성이 경력 단절을 극복하고 사회로 잘 복귀할 수 있을까’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결혼, 출산, 육아 등의 생애사건과 경력 단절을 겪으며 변화된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부재로 정의했으며 이에 대한 해결 방법에 있어서도 정체성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발견(Discover)단계에서 경력보유여성의 경력 단절 극복에 대한 니즈 및 언맷니즈를 탐색하고 정의(Define) 과정을 통해 얻은 insight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문제해결의 3가지 디자인 원칙을 수립하였다. 첫째, 교육 과정은 자신의 가치를 찾는 정체성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을 통해 자아개념을 인식하고 자존감을 되찾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단계별 과제를 수행하여 완료했을 때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이 세가지 디자인 원칙을 갖고 문제 해결의 방법으로 ‘리스타트를 위한 나만 의 가치 찾기’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경력보유여성들의 정체성 재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보유여성이 어떻게 하면 사회로 잘 복귀할 수 있을까’ 라는 문제해결에 있어 문제의 단점을 찾거나 부족한 면을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 사고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 방법을 적용,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찾아 문제를 정의 내리고 정의된 문제의 해결 방안을 사용자 관점에서 검토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경력보유여성들은 재취업에 대한 정책적 노력 및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복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력보유여성들이 경력단절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낮은 자신감, 자기 효능감 등을 고려하여 자아 존중을 기반으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경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특히 경력보유여성들이 자신의 정체성이나 원하는 직업의 가치관이 사회장면에 있었던 과거에서 경력보유 상태인 지금 변화했음을 인지하고 스스로 정체성을 탐색해 재정립할 수 있는 교육 및 코칭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디자인 씽킹이 사회적 또는 기업적 문제해결이 아닌 개인의 문제 해결에 있어 사고 과정으로 역할을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단, 경력 단절 기간이 오래된 경우 단절 또는 폐쇄적인 경향이 있어 오픈마인드를 위한 사전 라포형성 과정이 필요하고 팀단위의 과정이라면 친밀도를 높인 뒤에 진행하는 것이 보다 효과가 있어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이 연구를 통해 경력보유여성의 리스타트를 위한 나만의 가치 찾기 프로그램의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 교육 과정의 첫날 오리엔테이션 자기 소개 시간에 ‘어디에 사는 누구의 엄마’라는 소개했던 경력보유여성이 과정 종료 시 결과 보고시에 본인 소개를 자신이 가진 핵심가치로 발표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결과물로 전달한 서비스 블루프린트에서 이해관계자 즉, 경력보유여성과 서비스 제공자인 교육진행자 간의 접점, 터치포인트에 대한 부분이 구체화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서비스의 최적화를 위해 교육 중 터치포인트에서 실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와 개선점에 대해 실제 교육을 진행하면서 면밀히 파악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서비스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