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5 Download: 0

메타버스 기반 상황 중심 AAC 중재가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자기 옹호 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메타버스 기반 상황 중심 AAC 중재가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자기 옹호 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 situ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a metaverse platform on the self-advocacy of adul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Authors
조아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의사소통 능력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구어 의사소통의 제한은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중도 뇌병변장애인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자기결정 기회를 얻지 못하는 상황을 반복하여 경험하게 되고, 이는 학습된 무기력과 같은 심리 정서적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자기결정권을 존중받지 못하는 상황을 직면하여도 이를 인지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활동지원사나 보호자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렇듯 의사소통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구어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는 중도 뇌병변장애인은 자신의 생각, 감정, 요구를 전달하기 위해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AAC를 사용하는 경우, 구어 의사소통자에 비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근긴장도의 이상이 있는 경우 손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기기에서 상징을 선택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한 심리적 압박을 경험하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뇌병변장애인이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성인기에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과 맥락 속에서 AAC를 통해 자기 옹호 기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중도 뇌병변장애인이 집이나 학교 밖으로 나가서 실제 상황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 환경 즉,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서 자기 옹호 기술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구성하여 해당 기술을 교수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10대 후반~30대 사이의 중도 뇌병변장애인 4명이며,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자기 옹호 기술의 수행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기 옹호 기술은 선택하기, 요구하기, 거절하기, 감사표현하기 4개의 하위유형으로 구성되었다. 중재는 카페, 미용실, 편의점, 영화관 이렇게 4가지 지역사회 상황으로 구성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각 상황에 필요한 자기 옹호 기술을 지도하였다. 중재는 플랫폼 접근을 위한 보조기기 사용을 익히기 위한 도구 사용 교육, 상징 교육, 상황 중심 AAC중재로 구성되었으며, 회기당 약 50-60분 정도 진행되었다. 일반화는 3회기에 걸쳐 대상 일반화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유지는 중재 종료 3주 후 연속 3회기 동안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자기 옹호가 필요한 상황으로 구성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적절한 자기 옹호 기술 수행 여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자기 옹호 기술의 총 점수와 하위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학습한 자기 옹호 기술을 실제 상황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지역사회 상황에서의 수행 과정을 3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1회기, 2회기는 사전 준비를 진행하였고, 마지막 회기에는 참여자가 선정한 지역사회 상황에서 실제 수행하는 과정을 가졌다. 이는 제공된 기회 중 수행이 차지한 비율을 통해 측정되었고, 질적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기반 상황 중심 AAC 중재는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자기 옹호 기술을 증진시켰으며, 그 결과는 다른 대상에게도 일반화되었고 연구자가 실시한 중재가 종료된 3주 후의 시점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옹호 기술의 하위 유형에 따라 중재 후의 성과를 비교한 결과 모든 참여자에게서 선택하기 항목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참여자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화와 유지 구간에서는 하위유형별로 큰 차이 없이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메타버스 기반 상황 중심 AAC 중재를 실시한 후 이를 실제 지역사회 장면에서 수행한 결과 자기 옹호가 필요한 실제 상황에서 AAC체계를 사용하여 자기 옹호적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상황 중심 AAC 중재가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자기 옹호 기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도 뇌병변장애인에게 필요한 자기 옹호 기술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상황으로 구성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중재를 실시하고, 이를 실제 지역사회 장면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지 관찰하여 그 효과를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Communication ability is essential for social interaction, and the limitation of spoken language grea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repeatedly experience situations in which they do not have opportunities for self-determination in daily life due t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hich affec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such as learned helplessness. In addition, even in the fac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not respecte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nd respond appropriately, and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relying on personal assistants or parents. As such, communication is a very important skill for humans, so the AAC system can be proposed to convey their thoughts, feelings, and needs to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who have limited spoken language. However, when using AAC, more effort is required to convey the desired message compared to a spoken communicator. In particular, if muscle tone is abnormal,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hand,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select a symbol from the device, and one experiences psychological pressure due to thi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teach so that people with cerebral palsy can perform self-advocacy skills through AAC in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that they can experience in adulthood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who have limited movement to gain experience through real situ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a virtual environment, that is, a metaverse platform, was used to construct a situation requiring self-advocacy skills in the community and teach the skill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between their late teen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Self-advocacy skills consisted of four subtypes: choosing, requesting, rejecting, and expressing gratitude. The mediation was conducted through a metaverse platform consisting of four community situations: cafe, beauty salon, convenience store, and movie theater, and through this, self-advocacy skills necessary for each situation were taught.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ool-use education to learn how to use assistive technology for platform access, symbol education, and situation-based AAC intervention and lasted about 50-60 minutes per session. Generalization data were collected over 3 times, Maintenance was meas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condition for 3 consecutive sessions 3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measurement was made through whether appropriate self-advocacy skills were performed on the metaverse platform composed of situations requiring self-advocacy, and this was analyzed by total score and subtype of self-advocacy skills. To check whether the self-advocacy skills learn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can be performed in real situations, the process of performing in real community situations was conducted over three sessions. In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preparations were made in advance, and in the last session, the process of actual implementation was conducted in the community situation selected by the participants. This was measured through the percentage of performance among the opportunities provided,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tuation-based AAC intervention improved the self-advocacy skills of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and the results were generalized to other subjects and maintained until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by the research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formance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subtype of self-advocacy skills, all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choosing', and the lowest score was different for each participant. However, in the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intervals, all subtypes showed high level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situation-based AAC intervention and performing it in a real community scene, it was confirmed that self-advocacy expressions can be appropriately used using the AAC system in real situations where self-advocacy is needed. These results mean that situation-based AAC intervention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can affect the self-advocacy skills of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ed an intervention through a metaverse platform composed of community situations, focusing on self-advocacy skills necessary for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observed whether it could be performed in actual community situations, and proved the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