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1 Download: 0

비디오 컨퍼런싱 기반의 영어 말하기 과제에서 피드백 유형이 말하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디오 컨퍼런싱 기반의 영어 말하기 과제에서 피드백 유형이 말하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eedback types on speaking ability and attitude in English speaking assignments based on video conferencing
Authors
허수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비대면 상황이 장기화되었고 온라인 기반의 화상 회의(Video-conferencing) 기술이 어느 때보다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은 사람들의 교육과 산업, 취미 활동에 최우선으로 필요한 도구가 되었고, 화상 회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교육과 일터의 장소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다. 영어 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컴퓨터 기반의 비디오 컨퍼런싱 기술을 이용한 차별화된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이명관, 2021). 화상 회의 기술을 이용한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하여 교육적 활용을 목표로 교실 상황 내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태도를 집중적으로 탐색했다(Anastasiades, Filippousis, Karvunis, Siakas,Tomazinakis, Giza & Mastoraki, 2010; Hampel & Stickler, 2012). 이후 개인 컴퓨터의 보급과 다양한 화상 회의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비대면 상황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태도와 시험 점수 비교, 학습 동기 등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해당 연구의 결론은 화상 회의 기술의 접근 가능성과 시공간의 초월성을 근거로 높은 사용 가치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이미미, 2013; 오영범 &이창두, 2012; Whyte, 2011; Yang & Chen, 2007). 이와 같은 환경에서 학습자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다른 학습자와 대화, 토론하는 디지털 문화가 확산되었고 화상 회의실에서 얼굴을 마주 보며 의사소통하는 것이 이제는 낯선 방식이 아니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의 시대는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에서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구두 소통 능력(oral communication skills) 역량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육기관은 해당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컨퍼런싱 기술을 사용하여 영어 말하기 과제 도중 참여자에게 줄 수 있는 즉각적 구두 피드백과 대화가 끝난 후 제공하는 지연된 문자 피드백 중 어떠한 방식이 참여자의 말하기 정확도와 유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본 후, 실험 참여자들이 각 유형별 피드백을 받으며 느낀점과 그들의 답변을 기반으로 교실 상황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 학습자 14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영어 말하기 수업을 진행하고 사전, 사후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의 생각, 실제 수업에서 적용될만한 가능성과 개선점을 질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한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참여자의 영어 말하기 정확도와 유창성 측면에서 총괄적으로 분석할 때 지연된 쓰기 피드백과 즉각적 구두 피드백 모두 점수 향상이 있어 피드백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각적 구두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정확도는 1차시 2.5점에서 6차시 3.33점으로, 유창성의 1차시 점수는 2.33점에서 3.17점으로 상승하였다. 지연된 쓰기 피드백을 받은집단에서 정확도는 1차시 1.75점에서 6차시 3.25점으로, 유창성은 1차시 2.75점에서 6차시 3.25점으로 상승하였다. 즉각적 구두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정확도는 0.83점, 유창성은 0.84점의 상승폭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연된 쓰기 피드백을 받은 집단의 정확도는 1.5점, 유창성은 0.5점으로 평균 점수 향상이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즉각적 구두 피드백과 지연된 쓰기 피드백 모두 실험참여자의 영어 말하기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문자 피드백의 명시성이 가지는 특징으로 지연된 쓰기 피드백 집단의 정확도 측면의 향상폭이 가장 컸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창성의 측면에서도 두 유형의 피드백 모두 실험참여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디오 컨퍼런싱 기술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활동에서 두 유형의 피드백 중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실험 참여자의 사후 설문지를 기반으로 보았을 때, 지연된 쓰기 피드백보다 즉각적 구두 피드백이 영어 말하기 실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지연된 쓰기 피드백에 쓰일 자원과 시간의 한계를 고려해보았을 때 말하기 활동 중에 학습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피드백이 시간의 절약과 이해도 증가가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동일한 이유로 즉각적 구두 피드백을 교실 상황에 적용하려고 할 때에 예상되는 어려움은 말하기 활동이 수행평가 혹은 방과 후 활동으로 진행되었을 때 유의미한 효과를 낼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방면에서 쓰일 비디오 컨퍼런싱 기술로 실생활에 밀접하여 진정성 있는 언어를 배울 수 있고 이를 위한 교수법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도입한다면 학습자의 영어 실력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Due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in 2020, the non-face-to-face situation has been prolonged, and online-based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is drawing more attention than ever. This technology has become a necessary tool for education, industry, and hobbies and the use of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has turned into an essential competency for anyone. In English education, research on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using computer-based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have focused a discussion on the following changes of this era(Lee, 2021). Research using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has begun in the 1990s and intensively explored the attitude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classroom situations with the aim of educational use(Anastasiades, Filippousis, Karvunis, Siakas, Tomazinakis, Giza & Mastoraki, 2010, Hampel & Stickler, 2012). Since then, with the spread of personal computers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video conferencing softwar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learners' learning attitudes, test scores comparison, and learning motivatio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high value based on the accessibility of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and the transcendence of space and time(Lee, 2013; Oh & Lee, 2012; Whyte, 2011; Yang & Chen, 2007). In this circumstance, the digital culture in which learners use digital devices to talk and discuss with other learners has spread, and it is no longer unfamiliar to communicate face-to-face in video conference rooms. For this reason, the current flow requires Oral Communication Skills capabilities that can be fully demonstrated on the online platform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those cap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to see which of the immediate verbal feedback and delayed text feedback provided to participants after the convers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peaking accuracy and fluency, and to examine their applicability in classroom situations. A three-week English speaking class was conducted for 14 adult learners, and the learners' thoughts and possibilities and improvements that could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were asked through pre- and post-questionnair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in terms of English speaking accuracy and fluency, both delayed text feedback and immediate verbal feedback improved scores, indicating that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The accuracy of the group that received immediate verbal feedback increased from 2.5 points in the first round to 3.33 points in the sixth round, and the score of fluency in the first round increased from 2.33 points to 3.17 points. In the group that received delayed text feedback, the accuracy increased from 1.75 points in the first class to 3.25 points in the sixth class, and fluency increased from 2.75 points in the first class to 3.25 points in the sixth class. The accuracy of the group receiving immediate verbal feedback was 0.83 points, fluency was 0.84 points, and the group receiving delayed text feedback had an average score improvement of 1.5 points and fluency was 0.5 points. Based on the results, we confirm that both immediate verbal and delayed text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glish speaking activity of the participants, and that the accuracy improvement of the delayed text feedback group was the greatest due to the explicitness of text feedback. In terms of fluency, it was showed that both types of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Second, it was found that immediate verbal feedback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English speaking skills than delayed text feedback based on the post-questionnaire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in the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affective aspect of English speaking activities using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Considering the resource and time limitations to be used for delayed text feedback, it seems that the immediate verbal feedback provided to learners during speaking activities may have affected the preference by saving time and increasing understanding.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expected difficulty in applying immediate verbal feedback to classroom situation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when speaking activities are conducted as performance evaluation or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future, learners can learn sincere language closely in real life with video conferencing technologies that will be used in various fields, and if we develop teaching methods for them and introduce them to Korean English education sites, it will effectively affect learners' English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