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3 Download: 0

‘미혼여성’ 범주의 설정과 가족계획사업

Title
‘미혼여성’ 범주의 설정과 가족계획사업
Other Titles
Composition of the ‘Unmarried Women’ Category and family planning : Focusing on Social Survey Data in the 1970s
Authors
송유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지영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ategory of ‘unmarried women’ was newly formed in the 1970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category of 'unmarried women' was linked to the context of population policy represented by family planning and the context of childbirth norms. The changes of overall social perception of the population, childbirth, and family due to family planning had an important impact in the course of discussions about ‘unmarried women’ began. And i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forming a criterion for dividing normative/non-normative births. The importation and development of empirical social survey served as another key context for the formation of the category of ‘unmarried women’. In the 1970s, social survey began to accumulate in Korea by professional subjects. And various population groups were newly invented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gender, age, class, residence, and marital status. Especially, peopl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and separate social surveys on unmarried people began to be conducted. These surveys were conducted mainly on women, which soon led to the accumulation of various social surveys on ‘unmarried women’. Discussions on 'unmarried women' have conducted in earnest from the 1970s. It was affected by the spread of awareness that the number of unmarried women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unmarried period is extended, and the increase of interest in ‘unmarried women’ according to the needs of family planning. In the 1970s, ‘unmarried women’ became the subject of new attention due to the need for family planning. A lot of columns, policy reports, and social survey reports on ‘unmarried women’ began to be submitted. How much knowledge they have about family planning, how much they sympathize with the goals of family planning, and how they are putting it into practice have been subject to investigation. The category of ‘unmarried women’ created through above process was not simply a neutral category that encompasses all unmarried women, but a discriminatory category that included or excluded some women under certain conditions. Age and class standards in the ‘unmarried women’ category worked in the direction of excluding women outside a certain age group and poor ‘factory girls’. This was related to the process of creating normative birth’s conditions at the time. Childbirths of ‘too early’ age or ‘too late’ age, and births of poor and ignorant people were then dismissed as ‘unnormal’ births, or non-normative births. ‘unmarried women’ were limited to the range of women who did not have such non-normative births, that is, women who were qualified to have normative and ‘norma’ births. The category of ‘unmarried women’ was also the qualification of ‘normal women’. It can be seen more clearly by looking at the contents of social surveys targeting ‘unmarried women’. The concepts and questions used in the social surveys allow us to infer what purpose and intention this survey was, and what group ‘unmarried women’ were intended to mean. The survey, which tried to check the percep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unmarried women’ about family planning, tried to mean them as a new group in contrast to ‘married women’, that is, women with a more modern and reasonable perspective on the family. In addition, surveys on the perceptions, attitudes, and experiences of 'unmarried women' about sex tried to imaged them as women with overly open tendencies perspective on the sex. They were considered as people who have the possibility of causing many social problems. In order to prevent these, it was said that systematic sex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unmarried women’ and the value of premarital chastity should be imprinted. Through social surveys of ‘unmarried women’, they were imaged as women who conform to the family planning norms. That is, they were imaged as women who conform to the goals of family planning-reducing population growth, achieving modern demographic structure. They were said to be ‘preliminary wives’ who have to reform Korea's family system toward a modern nuclear family, and ‘preliminary mothers’ who had scientific knowlegdes about sex but were responsible for maintaining premarital chastity and establishing a peaceful family in the future. Unlike women who had already lost their right to form a normal family-representatively ‘unmarried mothers’-, ‘unmarried women’ were women expected to acquire their status as ‘normal women’ through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survey of ‘unmarried women’ in the 1970s to examine what kind of knowledge was being made about them, and how it was related to changes in population policy, family, and norms surrounding childbirth. This is the work of historizing and three-dimensionalizing the creating a specific female category by connecting it with the social, economic, and population policy context of the time. The names of women's groups that are used naturally today - ‘unmarried women’, ‘unmarried mothers’, ‘factory girls’ and etc. - are fluid and political constructions, not fixed entiti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category analysis,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a way to intervene more efficiently in attempts to bind and define women who have various differences under uniform names.;이 글은 1970년대 ‘미혼여성’이라는 범주가 새롭게 구성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미혼여성’ 범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당시 가족계획사업으로 대표되는 인구정책의 맥락,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된 출산 규범의 맥락과 연결되어 있었다. ‘미혼여성’이라는 인구집단에 대한 인식이 만들어지고, 이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던 배경에는 가족계획사업으로 인한 인구, 출산, 가족에 대한 전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자리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규범적/비규범적 출산을 나누는 기준이 만들어지는 과정과도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경험적 사회조사의 수입과 발전은 ‘미혼여성’ 범주 형성의 또 다른 핵심 맥락으로 작동했다. 1970년대 들어 한국에서는 전문적인 주체들에 의해 사회조사가 축적되기 시작했고, 성별, 연령, 계급, 거주 지역, 혼인 여부 등의 기준들에 따라 다양한 인구집단들이 새롭게 발명되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혼인 여부에 따라 미혼자와 기혼자를 구분하고, 미혼자들에 대한 별도의 사회조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조사들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실시되었고, 이는 곧 ‘미혼여성’에 대한 다양한 사회조사의 축적으로 이어졌다. ‘미혼여성’에 대한 논의는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들어 본격화되었다. 여기에는 미혼기가 연장됨에 따라 미혼기의 여성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인식의 확산, 가족계획사업의 필요에 따른 ‘미혼여성’들에 대한 관심의 증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 가족계획사업의 필요에 의해서 ‘미혼여성’이 새로운 주목의 대상이 되고, 이들에 대한 각종 칼럼과 정책 보고서, 사회조사 보고서 등이 제출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들이 가족계획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 가족계획의 지향과 목표에 얼마나 공감하고 있는지, 이를 어떻게 실천에 옮기고 있는지는 철저한 조사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미혼여성’이라는 범주는 단순히 결혼하지 않은 여성들을 모두 포괄하는 중립적인 범주가 아닌, 특정 조건에 따라 일부 여성들을 포섭 또는 배제하는 차별적 성격의 범주였다. ‘미혼여성’ 범주의 연령적, 계급적 기준들은 특정 연령대를 벗어난 여성들, 또 가난한 공장근로자 여성들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작동했다. 이는 당시 규범적 출산의 조건들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관련되어 있었다. ‘너무 이르거나’ ‘너무 늦어버린’ 연령의 출산, 또 가난하고 무지한 이들의 출산은 당시 ‘정상적이지 않은’ 출산, 즉 비규범적인 출산으로 치부되었다. ‘미혼여성’은 이러한 비규범적 출산을 하지 않는 이들, 즉 규범적이고 ‘정상적인’ 출산을 할 자격이 있는 여성들의 범위로만 한정되었다. ‘미혼여성’이라는 범주는 일종의 ‘정상적 여성’으로서의 자격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미혼여성’ 대상 사회조사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사회조사의 과정에서 사용된 개념과 질문들은 이 조사가 어떤 목적과 의도를 갖고 실시되었는지, 이를 통해 ‘미혼여성’들을 어떤 집단으로 이미지화하려 했는지를 보여준다. ‘미혼여성’의 가족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 실천을 점검하고자 했던 조사들은 이들을 ‘기혼부인’과 대비되는 새로운 집단, 즉 보다 근대적이고 합리적인 가족관을 가지고 있는 여성들로 이미지화하고자 했다. 또 ‘미혼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 경험에 대한 조사들은 이들을 이전 세대에 비해 지나치게 개방적인 성관을 지닌 여성들, 많은 사회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을 가진 여성들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성교육을 실시하고, 혼전순결의 가치를 각인시켜야 한다고 얘기되었다. ‘미혼여성’ 대상 사회조사들을 거치며 이들은 가족계획 규범에 부합하는 여성, 즉 가족계획사업이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 ―인구증가율 감소와 근대적인 인구구조, 가족관의 성취―에 부합하는 집단으로 이미지화되었다. 이들은 근대적인 핵가족을 향해 한국의 가족제도를 개혁시켜나가야 하는 ‘예비 아내’이자, 과학적인 성관을 갖추고 있되 혼전순결을 지켜 장차 평안한 가정을 꾸릴 책임이 있는 ‘예비 어머니’로 얘기되었다. 정상가족을 구성할 권리를 이미 상실해버린 여성들과 달리 ―대표적으로 ‘미혼모’―, ‘미혼여성’은 가까운 미래에 결혼, 임신, 출산을 통해 ‘정상적 여성’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할 것으로 기대되는 여성들이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1970년대 ‘미혼여성’ 대상 사회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시기 이들에 대한 어떤 종류의 지식이 만들어지고 있었는지, 이는 당시의 인구정책과 가족, 출산을 둘러싼 규범의 변화들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특정 여성 범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당대의 사회적, 경제적, 인구정책적 맥락과 연결함으로써 이를 역사화하고, 입체화하는 작업이다. 오늘날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여성 집단의 명칭들 ―‘미혼여성’, ‘미혼모’, ‘여공’ 등―은 고정된 실체가 아닌 유동적이고 정치적인 구성물이다. 이 글은 이러한 범주 분석의 관점을 통해 다양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 여성들을 획일적인 명칭으로 규제하려는 시도들에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고자 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