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1 Download: 0

색채와 향의 연상도에 따른 향의 강도

Title
색채와 향의 연상도에 따른 향의 강도
Other Titles
The Perception of Odor Intensity According to Color and Fragrance Association
Authors
박선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인간과 세상의 접촉은 감각으로부터 시작된다. 하나의 감각 자극이 다른 감각의 지각까지 불러일으키는 현상을 공감각(Synesthesia)현상이라고 한다. 공감각 현상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감성에 의한 연상 작용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 21세기의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진입하며 감성적 가치는 중요한 사회 변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이 지향하는 감성적 소비에 따라 브랜드들은 오감(Five senses)에 따른 공감각을 응용하여 산업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후각은 다른 어떤 감각보다 인간의 기억과 감성, 행동을 자극하지만, 다른 감각에 비해 가시화 하거나 정확한 언어로 표현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후각 감성 제품은 색채와 같은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 및 마케팅에 활용하여 ‘후각의 시각화’로서 향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 한다. 다감각적 브랜딩의 발전과 함께 감각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시각과 후각 사이의 상호 작용을 규명하는 초기 연구에서는 식품의 색에 따른 풍미(Flavor)의 식별 및 지각 강도의 차이를 밝히는데 집중되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향장품 향료(Fragrance)에 대한 연상 색채와 연상 형용사 도출에 초점을 맞춰왔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후각 감성 제품의 원료인 향장품 향료(Fragrance)와 색채의 연상도에 따른 연상 색채의 분포와 향의 지각 강도 차이를 분석하여 시각과 후각 사이의 공감각 현상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 방법에 있어서 1차 실험, 향에 따른 연상 색채 실험은 6가지 무색의 향을 제시하여 연상되는 색채를 제한 없이 기입하게 하는 설문 방식을 사용하였다. 2차 실험, 색채와 향의 연상도에 따른 향의 지각 강도 실험은 6가지 향을 각각 5가지의 조건으로 제작하여 액체 자극물(시각적 요소)과 향(후각적 요소)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때, 자극물의 색 농도와 향의 농도를 통제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피험자들은 후각 평가 후 100점 척도를 기준으로 향의 강도를 선택하게 하였다. 실험 결과의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SPSS 프로그램을 통한 t-검증과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1차 실험과 2차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색채와 향의 연상도에 따라 연상 색채 분포도의 차이가 있었다. 색채와 연상도가 높은 3가지 향의 연상 색채는 공통적으로 1-2가지 색상에 집중된 분 포를 보였다. 따라서 색채와 후각 사이의 공감각 현상은 색채와 향의 연상도가 높을 경우, 색채의 3요소 중 색상(Hue)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상이한 향의 계열에 따른 6가지 향은 차별화된 색채 대응이 존재했다. 향의 친숙도 및 연상도의 차이를 배제하더라도, 향료마다 연상되는 색채의 특성은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색채와 향 사이에는 교차 양상 연상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색 자극 자체로서 향의 지각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은 향의 지각 강도 뿐만 아니라 무향의 용액에서도 향이 느껴지게 하는 공감각 현상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넷째, 색채와 연상도가 높은 향은 색채와 연상도가 낮은 향보다 향의 지각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와 연상도가 높은 향은 후각 감성을 증폭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다섯째, 향에 대한 연상 색채와 향의 지각 강도에 있어서, 언어적 단서(향의 명칭)의 영향이 작용했다. 친숙한 향에 대한 구체적인 향의 명칭을 제시함으로 서 명확한 색채 연상을 유발시키며 향의 지각 강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각과 후각 사이의 상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 향과 관련된 적절한 색채와 언어적 단서(색채와 연상도가 높은 향 의 명칭)는 후각 감성을 증폭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제 향 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색채의 연상 작용을 통해 후각 감성을 전달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후각 감성을 적용하는 산업 분야와 시각과 후각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ntact between humans and the world begins with the senses. Synesthesia is a phenonomen in which one sense triggers a reaction in another sense. Synesthesia has a similar character to association by emotions that people generally have. Entering the digital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emotional value is emerging as an important social change factor. Recently, consumers have adapted a more emotionally oriented form of consumption. As the consumer mind set starts to shift, brands are now applying synesthesia according to the five senses and using it in the industrial field. Sense of smell stimulates human memory, emotion, and behavior more than any other sense, but it is difficult to visualize or express in accurate word. For this reason, olfactory sensibility products use visual elements such as colors in design and marketing to effectively convey the image of scent as 'visualization of smell'. As the application of synesthesia in branding and marketing have are already in full swing, various studies on the interaction of senses are being conducted. In an early study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visual-olfactory, food context was used as the main stimulus. The effect of color on the perceived olfactory and gustatory intensity was studied.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deriving association colors and association adjectives according to the fragrance. Utilizing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visual-olfactory correspondence from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colors (the medium that amplifies olfactory sensibility) and fragrances (the raw material of olfactory sensibility products). In Experiment 1, odor-color associations experiment,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present six colorless odor stimuli and the names of the stimuli accordingly, and to fill in the match colors without restrictions. In Experiment 2, perceived odor intensity experiment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f color and odor, 6 odor stimuli were produced under 5 conditions each with the same color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Coloring solutions (visual element) and odor (olfactory element) were presented together. After evaluation, subjects were asked to select the perceived odor intensity based on a 100-point scale. The analysis method of the experimental results used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nd mean value through SPSS program. The conclusion derived by combining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lor distribution map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f color and odor. The matched colors of a 3 highly associated color-odor combination showed a distribution concentrated between 1-2 colors per odo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ynesthesia between color and odor highlights the characteritics of hue out of the three elements of color when the correlation of color-odor is high. Second, 6 different series of odors have differentiated color correspondences. Even if the differences in olfactory familiarity and association were excluded,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associated with each fragrance. It can be observed that a cross-modal association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sense of odor and color. Third, using color as alone stimulus, color was found to enhance the perceived intensity of odor. Not only does the color affect intensity of the actual olfactory stimuli, but it also creates the synesthesia phenomenon, which is mistaken for the presence of odor even in an odorless solution. Fourth, appropriate color-odor solutions enhanced the perceived odor intensity compared to unsuited color-odor solutions. Therefore, appropriate color-fragrance combination can act as elements that amplify olfactory sensibility. Fifth, the affect of verbal cues (name of odor) also acted on the odor-color match and perceived odor intensity. By presenting specific names for familiar odor, it can act as a factor that induces clear color associations and perceived odor intensity more strongl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vision and olfactory sense could be investigate in more detail. Appropriate colors and verbal cues (names of odor with high color association)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amplifying olfactory sensibility.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actual odor, olfactory sensibility can be conveyed through color association. The results of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case study for industrial fields that apply olfactory sensibility along with continued research into visual-olfactory correspond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