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2 Download: 0

에드워드 W.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과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적 정체성 탐구

Title
에드워드 W.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과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적 정체성 탐구
Other Titles
Edward W. Said's Orientalism and Exploring Korean Identity in Korean Contemporary Art
Authors
홍하윤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드워드 W.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1978)에서 동양을 재해석하는 관점으로 현대한국미술에서 한국적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한국적 정체성 비평과 관련하여 탈식민주의의 대표적인 이론인 에드워드 W.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담론을 고찰한 후에 오리엔탈리즘 담론과 한국적 정체성과의 연관성에 대해 피력하기 위해 동아시아 미술사, 한국현대미술사의 흐름, 한국화 논쟁 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현대미술에서 한국화의 위치 설정이 한국적 정체성 정립 과 연관성을 가진다는 문제의식을 발판으로 삼아 한국적 정체성 정립의 합의 점을 찾아가기 위한 과정으로 상정하고, 한국적 정체성을 이야기함에 있어 다 양한 방향의 연구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한국현대미술에서 한국적 정체성 논의에 있어 한국화 정립과 관련된 연구는 역사적으로도, 앞으로의 한국미술계에서의 정체성 확립에 있어서도 주요한 과 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화를 규정하는 관점을 살펴보자면, 첫째로는 근대이전의 역사적 기록물과 자료를 토대로 하여 정립된 조형적 양식과 형식을 우리 의 전통으로 삼아 이를 계승하려는 미술을 한국화로 보는 것이다. 이때의 한 국화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회화로서 작품에 사용되는 재료나 형식, 주제, 사상적 측면에서도 동아시아 전반에 걸친 회화론과 결부된다. 이후 근대 와 현대로 들어서면서 역사와 문화, 고유한 민족성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은 국가의 존립을 위해 유의미한 것이기에 한국화는‘전통의 현대화’라는 과제 를 부여받게 되었다. 한국화를 바라보는 두 번째 관점은, 한국화를 한국이라는 국가를 대변하는 하나의 문화예술 분야이자 정체성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여기서 언급되는 한 국화는 유럽·미국 등의 서양 국가들이나 함께 동아시아로 분류되는 중국·일본과도 여실한 차이를 지닌 한국만의 정신성, 한국적 미감이 담긴 일종의 국가정체성의 발현으로 풀이된다. 근대 이후 한국이라는 국가가 접했던 역사적 사건들, 지리적 환경,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한 문화적 충돌이 빚어낸 과거의 경험의 총체로서 한국만의 독특한 정체성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때 발생 한 한국적 미감에 대한 수많은 비평과 의견들은“한국현대미술에서 한국적 정체성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 중에 있음을 대변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미술에서 한국적 정체성 탐구과정은 수묵과 같은 매체나 동양적 소재로 규정되는 한국화와 한국성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의문을 거치게 되었다. 21세기로 들어서며 세계화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한국화단에 다급히 요청되었던 한국성은 동시대 미술로 넘어오면서 그 존재의 실체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 져 온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세계화, 탈장르화 등 다원화되는 현대 미술의 지형에서 한국적 정체성을 구분하는 지점에 대한 의문을 야기한다. 작가의 국적·인종·지역·문화 혹은 작품에 사용되는 재료적 특성·회화의 양 식·주제선정·역사 인식 등의 분류 방식을 통해 현대미술에서 한국적 정체성 을 온전히 분리해 내는 일이 가능한가. 한국현대미술에서의 한국화와 서양화 의 이분법적 구조는 현재 올바른 분류인가. 작가 개인의 작품을 하나의 국가 로 귀속시키는 암묵적인 기준은 무엇인가. 탈식민주의와 글로컬리즘이 도래한 시대에 한국화를 ‘한국화’로써 유지되게 하는 인식의 근거는 무엇인가. 현재 국내 미술대학에 존재하는 한국화 학부(혹은 동양화 학부)를 단순히 역사적 자료와 재료적 특성에서 기인한 독립적 학문으로서 구획하고, 차별점을 지닌 독자적인 학부로의 명맥을 유지하게 하는 명분은 무엇인가. 현재 한국미술사 는 오리엔탈리즘에서 자유롭다 할 수 있는가.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기 위 한움직임이 역설적으로 이를 의식의 발로라는 비판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가. 이러한 의문들은 곧 한국현대미술에서의 한국적 정체성 탐구의 필요성 에 대한 강조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의문의 답을 찾기 위한 여정으로서 현대미술의 현장에 서 한국적 정체성의 존재가 유의미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논의가 필요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한국적 미감이라 지칭되는 내용들이 지금도 전세대와 같은 의미로 이행될 수 있는가는 고민해 봐야 할 지점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한국적 정체성에 관한 논의들의 발생 과정과 이에 대한 논의들이 대두되는 비평의 흐름 속에서 본 논문이 한국현대미술에 서의 한국적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 정립에 대한 시도로 의의를 가지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identity in modern Korean art with the perspective of reinterpreting the East in Edward W. Said's 『Orientalism』(1978). In this thesis, I will examine the Orientalism discourse of Said, a representative theory of post-colonialism in relation to Korean identity criticism, and then review the history of East Asian art, the flow of Korean modern art, and the controversy over Korean painting to discussion. This thesis assumes that the positioning of Korean painting in Korean modern art i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identity as a stepping stone, and summarizes research in various directions in discussing Korean identity. Research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painting in the discussion of Korean identity in Korean contemporary art has emerged as a major task in historical and future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the Korean art world. Looking at the perspective that defines Korean painting, the first is to view Korean painting as an art that attempts to inherit the form and form established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data before modern times as our tradition. The Korean painting at this time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and is also associated with the theory of painting throughout East Asia in terms of materials, forms, themes, and ideologies used in the work. Since then, entering modern and modern times, establishing history, culture, unique ethnicity, and identity is meaningful for the existence of the country, so Korean painting and Korean identity have been given the task of "modernizing tradition.” The second point of view of Korean painting is to view Korean painting as a cultural and artistic field and identity representing the country of Korea. The Korean painting at this time is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a kind of national identity containing Korea's unique spirit and Korean aesthetics, which have a wide difference from Western countries such as Europe,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which are tied to East Asia. Since modern times, the past experiences caused by cultural conflicts due to historical events,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political interests experienced by the country of Korea have created Korean identity, and Korea's unique identity has been formed. And numerous criticisms and opinions on Korean aesthetics at this time represent that they are in the process of finding an answer to "What does Korean identity mean in Korean modern art?” In this way, the process of exploring Korean identity in Korean art went through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of Korean painting and Korean identity, which are defined as media such as ink and oriental materials. And in the 21st century, the Korean character, which was urgently requested by the Korean Arts during the process of globalisation, has led to questions about the reality of its existence as it moved to contemporary art. These discussions also raise questions about the point of distinguishing Korean identity in modern art, where post-modernism, globalisation, and post-genre a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Is it 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Korean identity from contemporary art through classification of the artist's nationality, race, region, culture, or material characteristics, style of painting, theme selection, and historical recognition? Is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Korean painting and Fine arts(Western painting)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e correct classification? What is the implicit criterion for attributing an individual artist's work to a country? What is the basis for the perception that Korean painting is maintained as ‘Korean painting' in the era of post-colonialism and globalism? What is the justification for dividing the Korean painting department (or Oriental painting department) that currently exists in domestic art universities as an independent study simply based on historical data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intaining its reputation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with differences? Can we say that Korean art history is free from orientalism? Can Korean art completely escape criticism that its attitude to escape orientalism is also an attitude that comes out of consciousness of orientalism? This paper aim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Korean painting and the exploration of Korean identity in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se questions.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discussions are needed to make the existence of Korean identity significant in the topography of modern art as a journey to find the above questionable answers. This is because I think it is a point to consider whether the things called Korean aesthetics in contemporary Korean art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sense as the previous generat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meaningful as an attempt to establish a new possibility for Korean identity in Korean contemporary art amid the process of discussions on Korean identity and the flow of critic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