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1 Download: 0

안현정 작곡 '가야금병창을 위한 <통일아리랑>' 분석 연구

Title
안현정 작곡 '가야금병창을 위한 <통일아리랑>'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 for the Gayageum Byeongchang’ by Ahn, Hyun-Jung
Authors
임서율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논문은 작곡가 안현정의 ‘가야금병창을 위한 <통일아리랑>’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작곡가 안현정의 작품세계는 만남, 자연, 흐름 등을 중시하며, 전통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새로운 전통을 지향한다. 그중에서도‘가야금병창을 위한 <통일아리랑>’은 창작 선율을 바탕으로 하는 실내악곡으로 여러 관현악기를 동반한 악곡 구성과 악기 구성에 있어 기존 가야금병창 창작곡들과 차별화된다. 이 작품은 작곡가의 작품 경향을 토대로 총 49마디의 악곡 구조를 보이며, 빠르기의 변화, 선율 구조, 가사 등을 기준 삼아 나누었을 때 총 2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어있다. 두 단락을 중심으로 가야금병창과 반주악기의 선율 진행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단락의 노래선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음악의 중요한 모티브가 발생하는 구간이며 남북통일을 염원하는 내용이다. 노래선율양상은 서사적이거나, 애절함, 비통함, 절절함 등을 표현하는 구간은 하행형 선율을 사용하고, 한민족 통합의 의지, 희망, 다짐 등을 표현하는 구간에는 상행형 선율을 사용하여 가사의 표현이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난다. 빠르기 ♩. = 30, 느린 굿거리장단으로 연주하며 전통적 기법인 시김새 사용과 가야금병창 선율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종지 선율은 메나리토리 선율과 흡사하다. 이처럼 꾸밈음을 구사하여 전통적인 느낌이 가미되는것도 이 단락의 특징이다. 둘째, B단락의 노래선율을 분석한 결과, 아리랑 가사를 활용하여 한민족 통합의 의지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A단락 동일한 성격의 노래선율양상을 사용해 효과적인 가사표현을 나타낸다. 또한 ⓐ를 모티브로 하는 프레이즈가 변형·반복하여 출현하고, 프레이즈 사이에 연결구를 반복하여 삽입하는 형태를 통해 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빠르기 ♩. = 50, 굿거리장단으로 클라이맥스가 포함된 만큼 A단락보다 빠르고 흥겹게 또는 다이나믹한 appassionato로 연주한다. 그리고 시김새의 사용으로 전통적인 느낌이 두드러지며 여러 가지 리듬패턴과 기법, 그리고 B♭ minor에서 C minor로의 전조 등을 통해 곡에 다채로움을 부여한다. 셋째, 반주악기 선율을 분석한 결과 A단락과 B단락의 반주형태가 전반적으로 가야금병창 선율을 보조하는 화음 반주 형태로 진행됨을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 피리와 대금은 대선율적인 역할을 하여 곡의 장식 효과를 더하고, 25현 가야금은 대체로 화음 반주를 진행하여 곡을 계속 이끌어간다. 대아쟁은 베이스 역할의 저음역대 선율을 보강하며, 신디사이저는 25현 가야금과 대아쟁의 역할을 더한 형태가 나타나고 또한 빠른 리듬 선율 등 악기의 특성을 활용한다. 아울러 타악의 경우 다음 프레이즈의 암시 및 곡의 장단을 도드라지게 하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문을 통해 이 곡에 대한 연주자들의 이해의 폭이 넓어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본 연구가 다양한 가야금병창 창작곡의 등장과 창작국악 지평의 확장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work‘ for the Gayageum Byeongchang’by the composer Ahn Hyun-jeong. In the artistic world of Ahn Hyun-jeong, emphasis is put on an encounter, nature and a flow and it aspires toward the novel tradition pursuing both tradition and popularity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as the chamber music based on the original melodies, ‘ for the Gayageum Byeongchang’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creative pieces for Gayageum Byeongchang in terms of musical and instrumental composition accompanied by various orchestral instruments. Based on a tendency shown from her work, this work has the musical structure of 49 bars and consists of 2 paragraphs when divided according to changes of tempo, melodic structure and lyrics. The followings are the analytic results on the melodic motion of Gayageum Byeongchang and accompaniments in both paragraph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ng melodies in the paragraph A, it is a section from which the important motif of the entire music occurs and the content shows longing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As for the song melodies, the section expressing the narrative, sorrowful, heartbreaking and the ardent uses the descending melodies and the section expressing the will and desire for and the commitment to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people uses the ascending melodies, showing more effective expression of lyrics. Along with a slow Gutgeori rhythm of ♩. = 30, it uses the traditional technique of Sigimsae and melodies of cadence, which are repeated in Gayageum Byeongchang melodies, are similar to those of Menaritori. As such, the paragraph has a characteristic of delicate expressions added by using the traditional ornaments. Secondly, an analysis on the song melodies of the paragraph B shows it expresses the will to unite the Korean people using the words of Arirang, with effective expression of the lyrics via the song melodies identical to those of the paragraph A. In addition, it is characteristic of the transformed·repeated phrase having a motif of ⓐ and a natural flow through the repetitive insertion of a passage between the phrases. As a Gutgeori rhythm of ♩. = 50 with a climax, it is played faster and more cheerfully than the paragraph A, based on dynamic appassionato. Also, with outstandingly traditional feeling from Sigimsae, various rhythmic patterns and techniques, modulation from B♭ minor to C minor give the piece a colorful feeling.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lodies of the accompaniments, it reveals the chordal accompaniments assisting the melodies of Gayageum Byeongchang in the paragraphs A and B. Specifically, Piri and Daegeum play a role of counterpoint and give an ornament effect to the piece. 25-string Gayageum conducts he chordal accompaniment, leading the piece constantly. Dae Ajaeng supplements the melodies of low register, which plays a role of bass. Synthesizer plays a role of both 25-string Gayageum and Dae Ajaeng, and instrumental features such as a rapid rhythmic melody are being used. Furthermore, percussion hints at the next phrase and makes rhythms stand ou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developed and transmitted with a variety of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Particularly, Gayageum Byeongchang has been expanding a repertory with a focus on the traditional works like Pansori and folk songs and the resulting creative pieces. On the other hand, as the work based on the creative melodies, ‘ for the Gayageum Byeongchang’by Ahn Hyun-jeong shows the various musical expressions integrating the traditional with the modern techniques as the chamber music accompanying several wind and string instruments. In a sense, this work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the new way for creation and tradition in Gayageum Byeongcha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by players and contribute to the creative Gayageum Byeongchang, presenting the expanded horizon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