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석-
dc.contributor.author이나은-
dc.creator이나은-
dc.date.accessioned2023-02-24T16:30:30Z-
dc.date.available2023-02-24T16:30:30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OAK-00000020236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0236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4120-
dc.description.abstractIt is an important factor to engage the public in the process of making policy decisions in the domain of bioethics. Accordingly, the term "public engagement" has recently emerged in the domain of bioethics policy. In Korea,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is also trying to attempt public engagement through basic bioethics policies. At the moment when attempts to develop public engagement in the field of bioethics occur, academic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academic concept of public engagement and analyze the activities of overseas institutions to find ways to Improvement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public engagement activities of bioethics group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hich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domestic bioethics groups, to find ways to revitalize public engagement in the domain of bioethics policy. First, in Chapter II, the concept was understood, focusing on the theoretical literature on public engagement, and the types, mechanisms, and principles of public engagement were examined. Public engagement can be understood as an act of engaging the public to deal with public issues, and it is a term that emerged in the early 2000s when democratic models containing elements of public participation, dialogue and discussion were emphasized. This implies the meaning of the French etymology "Engagement” in Sartre's theory, an Existentialisme, and meant active Engagement or involvement beyond simply the meaning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Focusing on the literature of Rowe, Gene, and Lynn J., which attempted typology on the concept of public engagement, the ILG(Institute for Local Government) and UNESCO guidelines examined the type of public engagement and identified common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flow of information. Based on this, this paper named engagement method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to participants in Sponsor in one direction as type 1 engagement. In addition, the method of engagement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participants to Sponsor in one direction was named type 2 engagement. Finally, the type in which Sponsor and participants exchange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was named as type 3 engagement. In addition, Rowe, Gene, and Lynn J. structurally classified 24 engagement mechanisms according to the six main variables of public engagement: participant selection method, facilitation of information elicitation response mode, information input, medium of information transfer facilitation of aggregation. In this paper, the three engagement types and mechanism classification systems were used as the framework for analysis in Chapter III.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public engagement includes practical content on deliberate engagement operation, and the principles of engagement of the Obama administration, ILG, Canadian government agencies, and UK Involve were identified, and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ree types of engagement were derived through common factors. This was also selected as the framework for Chapter III analysis. Chapter III finds activities that can be referred to as public engagement among bioethics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nalyzes the activities by classifying them into type 1 engagement, type 2 engagement, and type 3 engagement. Chapter IV suggests a basic plan to revitalize public engagement in the domain of bioethics policy in Korea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생명윤리 영역 정책 결정 과정에서 공중을 참여시키는 행위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최근 생명윤리 정책 영역에서‘퍼블릭 인게이지먼트’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생명윤리 기본정책을 통해 퍼블릭 인게이지먼트를 증진하고자 하고 있다. 생명윤리 영역에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를 전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어나는 현시점에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에 대한 학술적 개념을 이해하고 해외 기관의 활동을 분석하여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생명윤리 단체들의 설립과 성장에 영향을 주었던 미국과 영국 생명윤리 단체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활동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국내 생명윤리정책 영역에 있어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 II 장에서는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에 대한 이론적 문헌을 중심으로 그 개념을 이해하고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유형 및 메커니즘, 원칙에 대해 살펴보았다. 퍼블릭 인게이지먼트는 공적 문제를 다루기 위해 공중을 참여시키는 행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과학기술 정책 결정 영역에서는 2000년대 초반 공중의 참여, 대화와 토론의 요소가 포함된 민주적 모델이 강조되는 시점에 등장한 용어이다. 이는 실존주의 학파인 사르트르의 이론에서 등장하는 ‘앙가주망’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단순히 정책 과정에서 공중이 참가하였다는 의미를 넘어서 적극적인 참여 내지는 관여를 의미하였다.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개념에 대해 학술적으로 유형학을 시도하였던 Rowe, Gene, and Lynn J.의 문헌을 중심으로 ILG 연구소(lnstitue for Local Government), 유네스코 가이드라인에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유형을 살펴보았고 정보의 흐름에 따른 공통적 분류기준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참여 활동의 주최자에서 참여자에게 단방향으로 정보 흐름을 가지는 참여 유형을 ‘1유형 참여’로 명명하였다. 이어서 참여자에서 참여 주최자에게 단방향으로 정보 흐름을 가지는 참여 유형을 ‘2유형 참여’로, 주최자 및 참여자가 양방향으로 정보가 교환되는 유형의 참여를 ‘3유형 참여’로 명명하였다. 또한 Rowe, Gene, and Lynn J.는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주요 6개의 변수인 참여자 선정 방법, 정보 도출 촉진 여부, 응답 방식, 정보 입력 방식, 정보 전달 매체, 집계의 촉진 여부에 따라 24개의 참여 메커니즘을 구조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참여 유형과 메커니즘 분류 체계를 이하 제 III 장 분석의 틀로 선정하였다. 더불어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원칙은 숙의적 방식 참여 운영에 관한 실용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오바마 행정부, ILG, 캐나다 정부 기관, 영국 Involve의 참여 원칙을 확인하고 그 안에서 공통적 요소를 통해 3유형 참여를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는 질문을 도출하였다. 이 역시 제 III 장 분석의 틀로 선정하였다. 제 III 장에서는 미국, 영국의 생명윤리 단체 활동 중 퍼블릭 인게이지먼트라고 지칭할 수 있는 활동을 찾고, 그 활동을 1유형 참여, 2유형 참여, 3유형 참여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3유형 참여가 있을 경우, 그 참여 사례가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원칙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앞서 살펴본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원칙의 공통 요소에서 도출한 질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 제 IV장에서는 앞의 분석을 토대로 국내 생명윤리정책 영역에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이해 4 A.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와 'The Public'의 정의 4 1. 'The Public'의 정의 4 2.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정의 9 3. 소결 24 B.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유형 및 메커니즘 25 1.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유형 25 2.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주요 변수에 따른 메커니즘 34 3.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유형별 메커니즘 사례 42 C.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원칙 59 1. 오바마 행정부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원칙 59 2. The Institute for Local Government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원칙 63 3. 캐나다 정부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원칙 66 4. 영국 Involve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원칙 70 5. 소결 79 Ⅲ. 영국, 미국 생명윤리단체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분석 83 A. 분석 틀 및 분석 방법 83 B. 영국 너필드 생명윤리위원회 84 1. 기관 특징 및 설립배경 84 2. 영국 너필드 생명윤리위원회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관련 활동 85 3. 너필드위원회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활동 분석 및 시사점 111 C.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생명윤리 이슈 연구를 위한 대통령 위원회 115 1. 기관 특징 및 설립배경 115 2. PCSBI의 구성 및 주요 업무 116 3. PCSBI 생명윤리위원회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관련 활동 117 4. PCSBI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관련 활동 분석 및 시사점 129 D. 미국 헤이스팅스센터(Hastings Center) 133 1. 기관 특징 및 설립배경 133 2. 헤이스팅스센터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관련 활동 134 3. 헤이스팅스센터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활동 분석 및 시사점 140 E. 미국 조지타운대학 케네디윤리연구소(Kennedy Institute of Ethics) 143 1. 기관 특징 및 설립 배경 143 2. 케네디윤리연구소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관련 활동 145 3. 케네디윤리연구소의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활동 분석 및 시사점 149 F. 소결 150 1. 영국, 미국의 생명윤리위원회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경험 분석 요약 152 2. 미국 생명윤리연구소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경험 분석 요약 154 Ⅳ. 국내 생명윤리정책 영역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증진 방안 155 A. 국내 생명윤리정책 영역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155 1.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연명의료 관련 참여 사례 155 2. 생명의료법연구소의 동물 장기이식 관련 시민 합의회의 사례 165 B.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증진 방안 167 1. 생명윤리 관련 학술적 정보제공교육 활성화 167 2. 지속성 있는 공중 의견 반영 시스템 구축 176 3. 숙의적 참여 방식의 시도 180 4. 온라인을 활용한 참여 방식의 확대 189 Ⅴ. 결론 193 참고문헌 197 ABSTRACT 2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99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국내 생명윤리정책 영역에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증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영국과 미국 생명윤리 단체의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Engagement in Korea's Bioethics Policy Domain : Based on the experience of British and American bioethics organizations-
dc.creator.othernameLee, Naeun-
dc.format.pagex, 2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dc.date.awarded202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