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0 Download: 0

한국 웹소설의 장르 생성 연구

Title
한국 웹소설의 장르 생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enerating Genre of Web fiction in Korea
Authors
정은혜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웹소설은 웹을 근간으로 문자, 이미지 등의 복합적 기호로 생성, 전달, 확장되는 허구적인 이야기이다. 웹소설은 디지털 환경으로서 웹 속성과 전달되는 내용으로서 서사적 속성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디지털 콘텐츠이자 디지털 텍스트이다. 디지털 콘텐츠로서 웹소설의 정체성은 콘텐츠로서 이야기, 디지털 환경으로서 웹, 사용자들의 참여 행위 등의 다층적인 층위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연결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망의 결과물이자 변별된 정체성은 웹소설의 장르 논의로 귀결된다. 장르는 텍스트의 분류로서 텍스트 사이의 유사성과 변별성을 구분하는 체계이며, 사회적 기호이자 세계를 구성하는 코드이다. 웹소설 태그는 웹소설 텍스트의 생성에 관여하는 복합적인 연결망과 체계를 내재한다는 점에서 웹소설 장르로서 기능한다. 이에 본 연구는 웹소설 태그를 중심으로 웹소설 장르 생성의 특징과 의의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웹소설의 정체성과 미학적 가치를 규명한다. 2장에서는 디지털 텍스트로서 웹소설 텍스트의 생성되는 환경을 사용자 역할과 참여 형태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웹소설에서 경험되는 이야기 텍스트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야기 텍스트는 이야기를 창작하는 사용자인 ‘작가’에 의해 웹소설 플랫폼에 개별적으로 게시되면서 생성된다. 각각의 창작자들은 자격 요건의 부재, 가상적 신원, 텍스트 생성의 용이성 등을 바탕으로 이야기 생성에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이러한 텍스트 생성은 다양한 양식과 형태의 이야기 생성을 가능하게 했고, 이는 멀티모드적 기호를 활용한 텍스트 생성과 새로운 이야기 범주들의 등장으로 가시화되었다. 두 번째 절에서는 사용자 텍스트의 특징을 분석한다. 사용자 텍스트는 이야기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반응, 즉 독해 행위에서 발생한 텍스트이다. 여기서 지시되는 사용자는 독해하는 사용자로서‘독자’를 지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텍스트는 사용자 평가와 참여를 수치화한 별점, 평점, 조회수, 선작수 등과 문자와 이미지 기호로 사용자 의견을 전달하는 댓글, 서평 등이 존재한다. 사용자 텍스트는 집합적으로 구축된 텍스트로서 다수의 사용자 행위가 축적되며 의미가 결정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집합체로서 사용자 텍스트는 개별 텍스트의 의미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집단적인 의미의 움직임을 가시화한다. 세 번째 절에서는 이야기 텍스트와 사용자 텍스트의 관계망으로서 구성된 웹소설 텍스트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야기 텍스트와 사용자 텍스트는 각기 다른 특징을 갖지만, 두 텍스트는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의미를 발생시킨다. 즉, 웹소설 텍스트는 텍스트의 생성과 구축, 텍스트 사이를 횡단하는 기호 작용으로 구성된다. 이 기호 작용의 과정에서 웹소설 텍스트는 이야기 텍스트와 사용자 텍스트 사이를 오가면서 텍스트를 구성하는 요소인 텍스톤을 추출한다. 여기서 텍스톤은 독립된 데이터로서 태그의 형태로 기호화된다. 따라서 태그는 텍스트 정보와 사용자 관계를 내재한 기호이자 관계망으로서 발생한다. 3장에서는 추출된 텍스톤에서 형성된 기호로서 태그가 웹소설의 원형 객체로 생성되는 방식을 기호 구조와 의미 작용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웹소설 텍스트가 원형 자질을 기준으로 의미를 결집시키고, 이 과정에서 원형이 태그를 구성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원형을 결정하는 전형적인 자질은 웹소설 텍스트가 전달하는 정보이다. 웹소설 텍스트는 이야기 텍스트와 사용자 텍스트가 상호 연계되지만, 이야기가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기 때문에 태그로 가시화되는 원형은 대부분 모티프로 구성된다. 다만, 각 텍스트를 오가는 과정에서 이야기 자질과 사용자 반응 자질이 결합되면서 복합적인 정보를 내재한 원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두 번째 절에서는 태그가 지시하는 원형이 텍스트들에서 형상화된 모든 대상들을 포괄하여 지시하면서 의미가 다양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태그가 지시하는 원형은 가족 유사성의 관계 하에 여러 텍스트 내 원형의 겹침과 교차를 통해 의미 집합체를 구성한다. 이는 태그가 의미 사이의 유사성에 의해 연결된 의미망이자 은유적 집합체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형성되는 의미 연결망은 동일한 태그를 기반으로 여러 웹소설 텍스트들이 의미 생성을 발생시키는 연결망과 동일한 웹소설 텍스트가 다른 태그들로 지시되면서 발생하는 연결망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이처럼 연결망의 형태는 다르지만 태그가 지시한 원형이 단일한 의미가 아닌 의미 집합체로서 존재하는 것은 동일하다. 이러한 연결망으로 구성된 집합체라는 점에서 원형 태그는 행위자이자 네트워크로서 객체가 된다. 세 번째 절에서는 웹소설 태그가 이야기 구성 요소들의 계열체로서 이야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웹소설 태그들은 웹소설의 이야기세계를 함축적으로 담은 이야기 데이터들이며, 이러한 태그들의 묶음, 즉 집합은 이야기 데이터베이스로서 기능한다. 웹소설 태그와 이들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는 웹소설 텍스트가 추가되면 그에 따라 생성된 원형들로 의미를 강화하고 확장된다. 태그의 데이터베이스는 웹소설이 구현한 이야기세계의 총체이자 새로운 이야기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잠재성과 가능성을 지닌 이야기 원형의 총체로 존재한다. 4장에서는 원형 태그들이 선택과 조합으로 생성된 통합체가 장르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선형적인 질서인 플롯으로 관습화되어 활용되어 온 텍스트 분류 기준은 무용해졌음을 밝힌다. 이는 태그가 기존에 사용되던 서사 구조 중심의 범주를 횡단하면서 이동하는 양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웹소설은 사건의 선형적인 질서보다 사건 자체로서 원형이 텍스트의 본질을 결정하며, 원형 태그는 장르를 결정하는 기준점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웹소설에서는 사건의 연쇄 구조인 서사보다 서사를 구성하는 원형으로서 태그가 웹소설 텍스트의 정체성을 결정짓는 주요한 자질이 되었음을 밝힌다. 두 번째 절에서는 여러 원형 태그들의 배열에 의해 텍스트의 의미가 구체화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태그들은 웹소설에서 무질서한 나열로 보이지만 원형 태그는 해당 웹소설 텍스트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기능한다. 따라서 배치된 태그들은 필연적으로 상호 관계를 맺으며 환유적인 연결망을 생성한다. 여기서 환유적인 연결망은 각 태그들이 지시하는 의미 간의 연결을 통해 태그가 배열된 웹소설의 이야기세계를 구축하는 앙상블을 발생시킨다. 앙상블은 객체들 간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총체를 지시하고, 구체화된 원형 의미들의 결집체로서 웹소설의 이야기 본질을 제공한다. 이런 점에서 웹소설 태그들의 배열은 웹소설의 장르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세 번째 절에서는 원형들의 연결망으로서 태그가 웹소설의 본질적 정체성을 결정하는 이야기 모나드를 구성하고 있음을 밝힌다. 여기서 모나드는 정신적 본질로서 변화 가능성을 내재한 실체이자 세계를 구성하는 본질적 특성이다. 웹소설 모나드는 웹소설의 세계를 지시하는 본질적 속성이란 점에서 이야기 모나드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이야기 모나드는 원형 태그로 가시화되며 따라서 원형 의미망을 내재하게 된다. 웹소설 장르는 이야기 모나드들의 움직임과 배열에 의해 발생하고, 모나드에 내재된 역동성과 가능성의 역량으로 생성적 객체로서 존재한다. 5장에서는 앞서 진행된 태그와 장르 논의를 토대로 이야기 회집체로서 웹소설의 의미와 가치를 밝힌다. 첫 번째 절에서는 웹소설이 서사의 전체적 완결성과 총체성보다 서사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주목하는 변화한 이야기 패러다임을 보여주고 있음을 지적한다. 웹소설 텍스트에서 추출된 원형들은 각각의 텍스트들을 구성하는 원형 의미망들이자 웹소설로 형상화된 이야기 모나드들이다. 모나드들은 입자화된 이야기이며, 이 입자화된 이야기들은 개별적으로 또한 집합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야기를 생성한다. 웹소설은 이러한 모나드들의 움직임에 의해 구성된 역동적인 이야기세계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제시한다. 두 번째 절에서는 이야기 모나드를 구성하는 원형들로 구축된 이야기세계가 카오스모제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힌다. 카오스모제란 혼돈과 질서가 상호 연결되면서 발생하는 주체성의 형상이며, 웹소설 주체성은 이러한 카오스모제적 이야기 장(場)으로 발생한다. 태그들의 배치와 배열은 무질서하지만 의미들의 연결 과정은 규칙에 따라 구성된다. 따라서 웹소설의 원형 태그가 생성한 연결망은 이러한 카오스모제적 속성을 토대로 웹소설들의 이야기적 본질과 가치를 보여주는 존재도를 완성한다. 이러한 웹소설 장르에 내재된 연결망은 이러한 이야기 원형을 공유하는 콘텐츠들로도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세 번째 절에서는 이야기 본질로서 원형 의미망이 결정화된 웹소설 장르가 웹소설을 넘어서 원심적으로 확장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에서 이야기의 패러다임 전환이 발생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웹소설 장르는 입자화된 이야기로서 원형 태그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리고 웹소설은 웹툰, 웹드라마, 오디오 드라마 등 다른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와 상호 전환되고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웹소설 장르로서 원형 태그들은 웹소설을 비롯한 여러 콘텐츠의 이야기들과 연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연결망을 구축하게 된다. 이로서 웹소설 장르 생성 과정에서 파악된 원형 중심의 이야기 생성은 웹소설을 넘어 디지털 콘텐츠 전반의 이야기 미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웹소설 장르를 태그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콘텐츠로서 웹소설이 지닌 정체성을 이야기적 특징과 미학적 변별점을 밝히고자 했다. 태그는 디지털 환경과 서사 속성을 동시에 지닌 매개물이며, 이를 장르 논의의 대상으로 연결시켜 인쇄 콘텐츠 중심에서 공고했던 서사 구조 중심의 이야기 패러다임이 디지털 콘텐츠에서는 원형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했다. 관습화된 텍스트 체계로서 장르의 변화는 텍스트를 구조화하는 체계의 변화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웹소설 태그란 구체적 매개물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 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야기의 특징과 가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re generation structure of Korean web fiction and to present a changed story paradigm in the digital environment. Web fiction is a fictional story created, delivered, and expanded on the web using complex symbols such as letters and images. As inferred from its name, web fiction is the digital content and text that combines the web as the digital environment and content as the narrative attribute. The identity of web fiction as digital content emerges from a complex network that includes multiple layers of narrative as content, the web as a digital environment, and user participation. The network output and distinct identity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the web fiction genre. The genre is a text classification, a system for distinguish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exts, a social symbol, and a code that comprise the world. The web fiction tag functions as a web fiction genre because it involves a complex network and system in the creation of the web fiction text. As a resul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y and aesthetic value of web fiction by focusing on web fiction tag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eb fiction genre creation. Chapter 2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the web fiction text as a digital text based on the user’s role participation behavior. The first section examines the features of the story text experienced in web fiction. The story text is generated by a “writer,” a user who creates the story and posts it on the web fiction platform. Each creator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in story creation based on the lack of qualification requirements, virtual identity, and ease of text generation. This dynamic text generation enabled the creation of stories in various styles and forms. It became a reality with the emergence of text creation that used multimode symbols and new story categories. The second section of the chapter examines user text characteristics. User text appears as a result of the user’s reaction to the story text, that is, text generated from the reading behavior. The user here refers to the “reader” as the reading user. The user text has diverse forms, such as star ratings, ratings, search count, selection count that quantifies user evaluation and participation, and text and image-based comment and review. User text is a collectively constructed text. Its uniqueness lies in the fact that accumulated user actions determine its meaning. As an array, user text visualizes the trend of collective meaning while maintaining the semantic diversity of individual text. The third section of the chapt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 fiction text, consisting of a network of story text and user text. Although story text and user text have different features, these texts generate meaning through mutual influence. In other words, web fiction text consists of creating and constructing the text, as well as semiosis crossing between texts. Texton, a textual element that goes between story text and user text, is extracted from web fiction text during semiosis, and texton is semanticized as a tag, an independent data. Therefore, the tag acts as a symbol that contains text information and user relationship as the network. Chapter 3 analyzes how a tag, a symbol generated from texton, becomes a prototype object of web fi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miotic structure and signification. The first section analyzes how the web fiction text concentrates meaning based on the text’s prototype quality, with the prototype constituting the tag. The defining quality of the prototype is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web fiction text. In the web fiction text, story text and user text are intertwined. As the story significantly affects the meaning, visualized prototype as a tag mainly consists of a motif. However, when story attributes and user reaction attributes are combined while traveling between the texts, a prototype with complex information may develop. The second section of Chapter 3 shows how meaning can be diversified and expanded because the prototype comprehensively indicates a tag targeting all the objects embodied in the text. The prototype indicated by the tag forms an assemblage of overlapping and intersecting meanings of the prototype in many texts under family resemblance. This demonstrates that tags are formed as semantic networks and metaphorical assemblies connected via similarities in meanings. The semantic network has two forms: a network where multiple web fiction texts create significance based on the same tag and a network created as a single web fiction text indicated by various tags. Regardless of the different form, the prototype indicated by the tag exists as an assemblage of meanings rather than a single definition. The prototype tag becomes an object in that it is an assemblage of such a network. The third section of Chapter 3 analyzes how a web fiction tag builds a story database as a paradigm of story components. Web fiction tags are story data that imply the storyworlds of the web fiction, and a bundle of these tags, or assemblage, functions as a story database. When web fiction texts are added, web fiction tags and databases consisting of the tags strengthen and expand the meaning based on the newly created prototypes. Tag's database is a summation of the storyworlds that the web fiction incarnated and a field for a story prototype that has the potential to build new storyworlds. Chapter 4 examines the prototype tag assemblage made via the selection and combination of functions as a genre. The first section shows that the text classification criteria that have been customized as a plot, a linear order, became obsolete. The tag’s cross-category aspect confirms this point. In web fiction, the prototype was centered on the event rather than the linear order of events, and the prototype tag became the benchmark for determining the genre. Therefore, rather than narrative, a chain structure of events, tags as the prototype consisting of the narrative, became the definitive quality for the web fiction text.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process of how the text’s meaning is specified based on an arrangement of various prototype tags. Tags appear as a chaotic enumeration in web fiction, but they constitute the web fiction text. Thus, the arranged tags inevitably correlate and form a metonymic network. A metonymic network generates an ensemble that builds the storyworlds of web fiction with tags put as a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s indicated by the tags. Ensemble dictates the summation composed of networks between objects and suggests the essence of web fiction as an aggregation of embodied circular meanings. For this reason, the arrangement of web fiction tags plays a role in the web fiction genre. The third section of the chapter reveals that tags as networks of prototypes constitute a story monad that determines the crucial identity of web fiction. Monad is an essential feature that defines the world as a substance with the potential for transformation into spiritual essence. The monad of web fiction can be a story monad in that it is an essential attribute that dictates the world of web fiction. The story monad is visualized as a prototype tag and created as the semantic networks of the prototype. The movement and arrangement of story monads generate the web fiction genre. It exists as a generative system based on the dynamics and the possibility capacity inherent in monads. Chapter 5 clarifies the meaning and value of web fiction as a story assemblage, which is based on the discussion on tag and genre in the previous chapters. The first section points out how web fiction shows a changed narrative paradigm by paying attention to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narrative rather than the overall completeness and summation of the narrative. The prototypes extracted from web fiction texts are semantic networks of prototypes that make up each text and story monad shaped as web fiction. Monads are granulated stories that can travel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and generate stories. Web fiction forms the dynamic storyworlds composed of the movement of these monads. The second section reveals that the storyworlds composed of the prototypes that make up the story monad forms chaosmose. Chaosmose is the shape of subjectivity that occurs when chaos and order are interconnected, and web fiction subjectivity emerges in this chaosmose narrative field. The network created by web fiction’s prototype tag completes its existence focused on the narrative nature and value of web fiction based on the attribute of chaosmose. While the placement and arrangement of tags are chaotic, the process of connecting meanings is organized in accordance to rules. It extends to content that shares the story prototype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field. The third section argues that the genre of web fiction is a crystallization of prototype semantic network, which is the essence of the story, and it centrifugally expands beyond web fiction, ultimately bringing a paradigm shift of story in digital content. The web fiction genre is a granulated story and has come to be reorganized around prototype tags. Moreover, web fiction is interchangeable with other digital content, such as webtoon, web drama, and audio drama, which also affect each other. Accordingly, prototype tags as a web fiction genre can be linked to stories of various contents, including web fiction, and can help in establishing a new network. As a result, the shift of story paradigm analyzed in the creation of the web fiction genre will affect the story aesthetics of the entire digital content beyond web fic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distinctions of web fiction's identity as digital content by examining the genre of web fiction focused on tags. Tag is a medium that combines digital and narrative elemen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story paradigm is changed from the printed content’s narrative-centered story to digital content’s prototype-centered story by connecting the tag to a subject of genre discussion. This is because a change in genre as a customized text system indicates a change in the system that structures tex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digital stories widely applicable to the entire digital content through a specific medium called web fiction ta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