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0 Download: 0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Title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Authors
박지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증상 클러스터와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6월 6일부터 6월 25일까지 경기도 소재의 상급종합병원 1곳에서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14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증상 클러스터, 사회적 지지, 소진을 조사하였다. 수집 자료는 SPSS 28.0을 이용하여 요인 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점수는 50점 만점에 31.36±8.49, 증상 클러스터는 ‘불안 클러스터’. ‘우울 클러스터’, ‘신체화 클러스터’, ‘신경-근육계 증상 클러스터’로 총 4가지 요인으로 군집 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84점 만점에 72.18±9.21, 소진은 154점 만점에 91.83±16.93점 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증상 클러스터는 여자가 남자보다(t=-1.999, p=.046), 30대 이상이 20대 보다(t=-2.046, p=.046), 임상 근무 기간이 4년 이상인 간호사가 4년 미만인 간호사 보다(t=3.932, p=.010) 우울 클러스터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경 근육계 증상 클러스터는 여자가 남자보다 신경 근육계 증상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t=-1.503, p=.040). 소진의 정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t=-2.397, p=.018). 3.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증상 클러스터, 사회적 지지는 모두 소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은 COVID-19 감염 스트레스(r=0.390, p<.001), 불안 클러스터(r=0.390, p<.001), 우울 클러스터(r=0.652, p<.001), 신체화 클러스터(r=0.456, p<.001), 신경-근육계 증상 클러스터(r=0.372,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r=-0.360,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ModelⅡ의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43.9%으로 나타났다(F=12.630, p<.001). ModelⅠ에 일반적 특성을 투입하였고, ModelⅡ에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증상 클러스터, 사회적 지지를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감염 스트레스(t=4.74, p<.001), 우울 클러스터(t=2.893, p=.005), 사회적 지지(t=-2.120, p=.036)가 소진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우울 클러스터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소진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우울 클러스터 증가와 사회적 지지의 감소는 소진을 높이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을 줄이기 위하여 COVID-19 감염 스트레스, 증상 클러스터, 사회적 지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종감염병 상황에서 감염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OVID-19 stress, symptom clusters, and social support on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148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COVID-19 stress, symptom clusters, social support, and burnout were investigated from June 6 to 25,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COVID-19 stress was 31.36±8.49 out of 50. Four symptom clusters were identified—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and neuromuscular symptoms. The mean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72.18±9.21 out of 84. For burnout, the overall mean score was 91.83±16.93 out of 154. 2. Analysis consideri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symptom clusters varied significantly by sex (t=-1.999, p=.046), age (t=-2.046, p=.046), and clinical experience (t=3.932, p=.010) the degree of depression cluster was high. In the neuromuscular symptom cluster,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neuromuscular symptoms than men(t=-1.503, p=.040). The degree of burnout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2.397, p=.018). 3. The level of burno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VID-19 stress (r=0.390, p<.001) and the four symptom clusters—anxiety (r=0.390, p<.001), depression (r=0.652, p<.001), somatization (r=0.456, p<.001), and neuromuscular symptoms (r=0.372, p<.001)—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0.360, p<.001).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urnout subcategori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43.9% (F=12.630, p<.001).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each burnout subcategory were COVID-19 stress (β=.34, p<.001) and depression symptom cluster (β=.29, p=.005) and social support (β=-.17, p=.036).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subcategory of burnout in ICU nurses providing direct care for COVID-19 patients. COVID-19 stress, depression symptom cluster, and somatization symptom cluster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hile previously unknown correlations across symptom clusters, COVID-19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were determined, which are significant find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burnout in nurses caring for infectious disease patients should be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would prove valuable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n-related stress and symptom clusters in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