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3 Download: 0

피난유도등 색채에 따른 가시성과 친숙도 평가

Title
피난유도등 색채에 따른 가시성과 친숙도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Visibility and Familiarity by Color of emergency exit sign
Authors
안예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피난유도등의 비상구 사인은 피난유도시설로서 피난자의 피난행동을 유도하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한다. 화재, 재난과 같은 위급상황 시 피난자는 이러한 피난유도시설의 안내에 따라 피난한다. 피난은 정확하고 신속한 대피경로를 확보해 대피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러한 위급상황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큰 이유는 피난자가 골든타임 내 피난을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급상황 시 연기, 절전 등에 의해 명확한 시야 확보가 어려워 피난유도시설의 인지가 낮아 정확한 대피경로 파악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건물의 고층화와 복잡한 디자인에 의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위급상황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피난유도시설의 인지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가시성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색채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시선을 이끌며 가시성 확보에 기여하는 중요 요소이다. 더 나아가 색채는 특정 의미를 가지며 특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색채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유는 색채 연상 그리고 친숙도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색채의 특징은 원초적인 생물학적 기반과 반복적인 경험을 통한 학습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효과적인 색채계획을 위해 이러한 색채 특징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급상황 속 피난행동의 중요 지표 역할을 하는 피난유도등의 가시성과 친숙도를 평가했다. 실험은 시야확보가 어려운 환경을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축한 시뮬레이션 이미지에 자극물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색상과 휘도 모두 가시성에 관여하며 색채 연상과 이어진다. 둘째 동일한 휘도의 경우 초록이 높은 가시성을 보였다. 셋째 피난유도시설의 주조색 뿐 아니라 도형과 배경의 관계가 가시성에 영향을 주며 색채의 상대성과 관련 있다. 넷째 피난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은 가시성보다 친숙도가 더 크게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본 연구는 피난행동을 이끌어내는 요인이 가시성 보다 친숙도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피난유도시설은 단순한 디자인이 아닌 연상과 학습이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후 피난유도시설의 변동사항은 여러 연구와 논의를 걸쳐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킨다.;Emergency exit signs are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and serve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evacuation behavior of evacuees.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a disaster, the evacuees evacuate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of these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The main purpose of evacuation is to secure accurate and rapid evacuation routes. The main reason for the loss of life in such an emergency means that the evacuees did not succeed in evacuating within Golden Time. The reasons for this situation are as follow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evacuation route due to low awareness of evacuation-guided facilities as it is difficult to secure clear visibility due to something like visual disturbances such as smoke, power saving etc. This situation is becoming more difficult due to the high-rise and complex design of building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of evacuation-guided facilities is increasing in order to minimize damage in case of an emergency, and studies related to visibility are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for this. Color is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s the eye and contributes to securing visibility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Furthermore, color has a specific meaning and visually conveys specific information. Color can intuitively convey information because it is related to color psychology, association, and familiarity. These characteristics of these colors are manifested by learning through primitive biological bases and repetitive experi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color features for effective color planning. In this study, visibility and familiarity of Emergency exit signs which serve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evacuation behavior in such an emergency situation,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pplying a stimulus to a simulation image constructed substantially similar to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both color and brightness are involved in visibility and are connected to color psychology and association. Second, for the same brightness, green showed high visi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igure and ground as well as the main color of evacuation induction facilities affects visibility and is related to the relativity of colors. Fourth, it was found that familiarity was more involved than visibility as a factor causing evacuation behavio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actor leading to evacuation behavior was more familiar than visibility. This means that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are not just design, but psychology and cognitive learning are involved. These findings remind us that subsequent changes in evacuation guidance facilities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through various studies and discuss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