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uthor이아름-
dc.creator이아름-
dc.date.accessioned2023-02-24T16:30:23Z-
dc.date.available2023-02-24T16:30:23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OAK-00000020221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0221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4071-
dc.description.abstract예술은 시간을 영원하게 만들 수 있을까? 실재하는 현재, 심지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 순간도 시간의 실재는 지나가고 있다. 순간이 순간 그 자체로 영원 하려면 4차원의 세계에 대한 개념으로 넘어서지 않는 이상, 현재의 삶에서는 불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미술에서의 아이디어의 중요성이 예술가의 삶과 관계 맺는 탐구를 시작으로 본인 작품 <백 개의 방>(2021~)이 갖는 예술관을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1871~1922)의 예술관을 가져와서 탐색한다. 미술과 삶과 맞붙는 차원을 넘어서 예술과 함께 한 삶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을 주고 받고 형성되는지를 사유한 작품의 과정을 고찰해 나간다. 순차적으로 삶과 개념미술의 관계 주제 등을 살펴보고, 마르셀 프루스트의 예술관을 통해 예술과 삶의 관계를 살펴본다. <백 개의 방>은 개념적인 작업이 삶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 시간에 대한 프로젝트이다 2000년 이후로 해온 작품에 대한 개념적인 접근을 넘어서서 어느 순간 삶과 작품이 맞붙어 그 시간들이 삶이 되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이 모든 예술과 삶에 관련한 사유들을 프로젝트로 정리해보는 과정을 작품에 담았다. <백 개의 방>은 이런 시도들을 통해, 삶과 예술에 대해 탐구해나가는 프로젝트 이다. <백 개의 방>은 총 7개의 시놉시스와 31개의 방과 나머지 69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젝트의 방들 중69개의 방은 현재 미완의 상태로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해나갈 것이다. 2000년에 만들었던 <a: project> 부터 2020년의 <I am your Art work>까지 6개의 시나리오는 과거를 복원하는 일이다. 삶이 개념미술과 맞붙고 삶에 대한 사유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마르셀이 자신의 잃어버린 삶을 예술로 구원하려는 시도와 비슷한 시도를 해나간다. 이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백 개의 방>에는 예술에 전심을 넣은 순간을 포착한 작업도 있으며, 미술을 그만 둔 시간도 있다. 초창기 경험과 상흔을 녹여내는 방식으로 삶에 밀착해서 해왔고, 그것을 예술작품과 관계한 시간으로 풀어냈다. 예술가의 삶에서 시작해서 그것이 쌓인 시간들로 작업해보기도 하고, 관찰하기도 하고, 분리되어 보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삶에 대해 개념적으로 접근한 개념미술가와 삶에 대해 직접 다룬 작가들을 탐색한다. 그리고 잃어버린 삶을 예술로서 영원히 구원하려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예술관을 관통시켜서 분석한다. 그 관통을 넘어서, 작품을 제작하고 예술과 공존해가는 새로운 시간을 찾아내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rt view of my work <One Hundred Rooms> (2021) by comparing it with Marcel Proust (Marcel Proust 1871~1922) 's art view, starting with the exploration of the importance of ideas in conceptual art related to the life of an artist. Can art make time eternal, the real present, even at this moment of writing, the reality of time is passing. Assuming that the moment itself is eternal, it is possible in our present life unless going beyond the concept of a four-dimensional world. In this study, I discussed the process of thinking while examining how art and life interact and form beyond the level of facing art and life.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conceptual art or artworks was sequentially analyz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arcel Proust’s art views. <One Hundred Rooms> is a project related to conceptual art's influence on life and time. Since 2000, beyond the conceptual approach to the works, I realized that life and work collide and those times become life. And the process of organizing all this philosophy related to art and life into a project was contained in the artwork. In addition, this projec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art through various trials. <One Hundred Rooms> has a total of 7 scenarios, 31 of completed rooms. The remaining 69 unfinished rooms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approaches. The six scenarios, from <a: project> created in 2000 to <I am your Art Work> in 2020, are restoring the past. In the process of life confronting conceptual art and starting to consider life, Marcel Proust makes an attempt similar to the done to salvage his lost life through in『In Search of Lost Tim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valuated. In the <One Hundred Rooms>, there is artwork that captured the moment when I put my whole heart into art, and there are times when I quit art. In the early days, conceptual work was closely related to life in a way that dissolves experiences and scars, and it was solved through time-related to works of art. Starting from the artist's life, he works with the accumulated time, observes, spends time on art that is closely related to life, and sometimes separates it. In the process, beyond conceptual artists who approached life conceptually and writers who directly dealt with life, Marcel Proust's view of art, which seeks to forever save lost life through art, is analyzed. And beyond that penetration, I find a new time to create works and coexist with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삶을 다루는 개념미술가들 3 A. 개념미술가 브루스 나우먼 4 B. 삶을 다루는 예술가들 - 샘 테일러 우드와 안소니 곰리 7 III. 백 개의 방 9 A. 백 개의 방 프로젝트 소개 9 B. 세부 프로젝트 소개 및 개념 분석 14 1. 경험을 복원한 삶과 밀착된 개념적 작업 14 2. 자기 객관화를 위한 시간과 결과 26 3. 개인적 발화를 넘어선 사회적 발화의 은유 36 4. 미술사의 정원 40 5. 타인의 자서전 44 Ⅳ.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 <백 개의 방> 50 Ⅴ. 결론 53 참고문헌 54 부록1 드로잉 목차 55 부록2 백 개의 방 세부프로젝트 방 번호와 표 62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549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삶 가까이에서 '개념미술' 재사유하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본인 작업 <백 개의 방>을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Leigh. Ahleam-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2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