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0 Download: 0

한범수류 해금산조 진양 선율 비교

Title
한범수류 해금산조 진양 선율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Jinyang Melody of Han Beom-su School’s Haegeum Sanjo
Authors
김소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Jinyang melody of Han Beom-su School's Haegeum Sanjo, based on his theory of Sanjo. For this, this study compared between the 『Haegeum Sanjo』 compiled by Gang Deok-won and Yang Gyeong-suk and the written music score of Han Beom-su’s live performance of Haegeum Sanjo at the KBS broadcasting company, thus verifying the same/similar/different melodies between them. Originally, Sanjo was handed down by oral transmission and personal education, but today, music score-oriented education is conducted. Currently, the melody in the music-score collection or book of Han Beom-su School’s Haegeum Sanjo compiled for Haegeum education has been generalized from a single and same set of melody, and this set of melody is commonly performed today.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the melody shown in Han Beom-su's live sound sources has a different structure each tim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melodic relationship between 『Haegeum Sanjo』 compiled by Gang Deok-won and Yang Gyeong-suk, which is used in the circles of education, and the written music score of KBS sound source, which shows the longest composition among Han Beom-su's live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same/similar/different melodies between them. At the time of comparing the same/similar/different melodies, this study divided them into U-jo, Pyeong-jo and Gyemyeon-jo, and then compared the jangdans of each jo that corresponding to the same and similar melody within each jo. At this time, the same melody had to have a completely consistent melody progression of 5 or more out of 6 Jinyang baks, or a similar direction of progression of 4 or more baks to the structural sound. On the other hand, the similar melody was set to be similar in the melodic progression of 3 or more out of 6 baks to the structural sound. When comparing the different melody, the jangdan was compared in the order of performance, but the number of jangdans was not matched, so for convenience of comparison, the melody of 『Haegeum Sanjo』 was divided into 4 jangdans and then analyzed. The melody of the KBS sound source was irregularly composed of paragraphs, so the jangdan to be contrasted wa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music.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U-jo of two Sanjos was the same in the number of jangdans and in the development of 8 melodies. The number of jangdan compositions changed in Pyeong-jo, but there were not many jangdans in both Sanjos and the number of jangdans between the two Sanjos also did not differ much. In Pyeong-jo, the same, similar and different melodies all appeared, but the same melody appeared more, and all the Pyeong-jo jangdans of 『Haegeum Sanjo』 show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melody of KBS sound source. Gyemyeon-jo accounts for about 66% of 『Haegeum Sanjo』 and about 68% of KBS sound source, which accounts for more weight than the combination of U-jo and Pyeong-jo. As for the same/similar/different melody in Jinyang Gyemyeon-jo of both Sanjos. the same and similar melodies were mainly found in places with completely different performance orders, and the proportion of different melodies was higher. The reason why the same Han Beom-su School’s Haegeum Sanjo differs is that their theory and perspective of Han Beom-su’s Haegeum Sanjo are different. Therefore,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data for researching and playing Han Beom-su School’s Haegeum Sanjo in the future, and will be an indicator to help understand Sanjo and Han Beom-su School’s Haegeum Sanjo.;본 연구는 한범수류 해금산조의 진양 선율 비교이다. 한범수가 산조에 대해 가진 지론을 바탕으로 강덕원⦁양경숙 편저 『해금산조』와 한범수 실황 연주인 KBS 음원 채보를 대조⦁비교하여 동일⦁유사⦁상이 선율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래 산조는 구전심수로 전해졌으나, 오늘날은 악보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해금 교육을 위해 편찬된 한범수류 수록 악보집 혹은 단행본에 나타나는 선율은 하나의 선율이 일반화 되어 보편적으로 연주된다. 그러나 한범수 실황 음원에서 나타난 선율은 때마다 그 구조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강덕원⦁양경숙 편저 『해금산조』와 한범수 실황 연주 중 가장 긴 구성을 보이는 KBS 음원 채보를 비교하여 동일⦁유사⦁상이 선율 관계를 확인하였다. 동일⦁유사 선율 비교 진행시 우조⦁평조⦁계면조로 나누어 각 조의 안에서 동일⦁유사 선율 관계에 해당되는 조의 장단을 대조하였다. 이때 동일 선율은 진양 6박 중 5박 이상이 선율 진행이 완전 일치하거나 4박 이상의 선율이 구성음과 진행 방향이 유사한 것으로 하였다. 유사 선율은 구성음과 선율 진행이 6박 중 3박 이상 유사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상이 선율 비교 진행시 연주 순서대로 장단을 비교했는데 장단의 구성수가 맞지 않아 비교의 편의상 『해금산조』의 선율을 4장단씩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KBS 음원의 선율은 불규칙하게 단락이 구성되어 있어 음악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조할 장단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두 산조의 우조는 장단 구성 수가 동일하고 8개의 선율이 모두 동일하게 전개되었다. 평조부터는 장단 구성 수가 달라졌으나 평조를 구성하는 장단 수가 많지 않고 두 산조 간의 장단 구성 수 또한 많은 차이가 없었다. 평조는 동일⦁유사⦁상이 선율이 모두 나타났지만 동일 선율이 더 많이 나타났고 『해금산조』의 평조 전 장단은 KBS 음원의 선율과 동일⦁유사한 관계를 보였다. 계면조는 『해금산조』약 66%, KBS 음원 약 68%를 차지하고 있어 우조, 평조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조이다. 두 산조의 진양 계면조는 동일⦁유사⦁상이 선율 관계를 확인했을 때 동일⦁유사 선율은 연주 순서가 전혀 다른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상이 선율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동일한 한범수류 해금산조임에도 이와 같은 차이를 보이는 까닭은 한범수의 산조에 관한 지론과 각 산조의 다른 목적성에 그 이유가 있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오늘날 한범수류 해금산조를 연구하고, 연주하는 것에 있어 자료로서 활용되고 산조와 한범수류 해금산조에 대한 이해를 돕는 지표가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