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3 Download: 0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에 대한 헌법적 연구

Title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에 대한 헌법적 연구
Other Titles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Right to Legal Aid
Authors
한유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희경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exploring the theme of ‘Access to Justice’ as one of the key value orientations of the Constitution, and builds on the findings to propose realizing the value by incorporating the new fundamental right of ‘right to legal aid’ in the constitutional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and assesses the ‘legal aid system’ from a new perspective, and explores ways to advance them.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right to legal aid’ and establish it as a fundamental right not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and use the proposal as a foundation to review the legal aid system from a fresh perspective. ‘Access to Justice’ has recently attracted keen attention from the academia and policymakers in and outside of Korea.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the topic, it has not been extensively covered by constitutional scholars to date.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Access to Justice’ as a key component of the constitutional ideology of ‘rule of law,’ and specifies its meaning as follows: a constitutional value orientation aimed at ‘ensuring that all people enjoy comprehensive access to judicial and other legal protections to realize their own rights, thereby ensuring equal and meaningfully free access to justice.’ Then,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current normative system of the Constitutional has flaws that prevent full realization of the constitutional value orientation, and proposes the need to recognize a new fundamental right to address the defect. In this regard, this study advocates for protecting the ‘right to legal aid’ as a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Underprivileged groups, with all their vulnerabilities, have dire needs to ‘access justice’ using legal protections. However, these groups, due to those vulnerabilities, face difficulties in accessing those legal protections as well as others on their own. Then, if the underprivileged are to enjoy equal access to legal protections, thereby accessing justice and ultimately enjoy human dignity equal to others, they critically need ‘external aid and support’ to remove or mitigate their vulnerabilities in legal matters. For this reason, this study proposes adopting the ‘right to legal aid’ into the normative system of the Constitution as a fundamental right to address the most dire and severe difficulties in realizing human dignity and values drawn from the interpretation of ‘Access to Justice,’ and defines the ‘right to legal aid’ as the ‘right to demand the state to provide assistance and aid in legal matters for removing or mitigating their vulnerabilities, with a view to ensuring their equal access to justice despite the vulnerabilities.’ The ‘right to legal aid’ is set against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rule of law, social welfarism, and democracy, and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al right to trial (Article 27 of the Constitution), the right to equality (Article 11(1)), the right to humane livelihood (Article 34 (1)), and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and effective protection of rights. The right to legal aid can be characterized as a ‘fundamental right to claim’ and a ‘social fundamental right,’ because it involves (1)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2) demanding the state (3) to ensure their access to legal protections that form the foundation of humane livelihood (4) in the form of legal ai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can exercise the right to demand that the state provide financial assistance with litigation expenses, consider their non-financial vulnerabilities in legal proceedings, protect their right to assistance of legal experts, and help them improve their legal capabilities. Recognition of the ‘right to legal aid’ as a new fundamental right also contributes to the goal of advancing the legal aid system, as the right provides a fresh perspective to clearly guide and orient the efforts to analyze and assess the legal aid system and explore its future. Current criticisms against Korea’s legal aid system largely point out the lack of attention to legal aid as a right and a norm, and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legal aid’ as a fundamental righ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issue. The growing attention on ‘Access to Justice’ as a common goal for the growth and advancement of humanity reaffirms the significance of the topic in human dignity and values. In addition, empirical evidence abounds that ensuring equal access to legal protections for the underprivileged is at the forefront of those practices. Then, the Constitu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irmly and normatively calling for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legal aid.;본 논문은 ‘정의에의 접근(Access to Justice)’이란 주제를 헌법의 중요한 가치지향으로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그 실현을 위하여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라는 새로운 기본권을 헌법 체계에 수용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위 기본권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제도라는 취지로 ‘법률구조제도’를 새로운 관점과 시야에서 분석․평가하고 그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곧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의 헌법적 의의와 가치를 밝혀 열거되지 아니한 기본권으로서의 입론을 시도하는 것과, 그를 바탕으로 법률구조제도를 새로운 시각에서 검토하려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의에의 접근’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학술적․정책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주제다. 그럼에도 헌법학에서는 위 주제에 관한 연구가 크게 발전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법의 지배’라는 헌법적 이념지향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정의에의 접근’의 함의를 분석함으로써, ‘누구든 사법을 비롯하여 자신의 권리를 실현하는데 관한 법적 보호수단에의 포괄적 접근가능성을 가지고 이로써 정의에의 접근이 실질적으로 평등하고 사실상 자유롭게 보장’하고자 하는 헌법적 가치지향으로 그 의미를 구체화한다. 나아가 현재 헌법규범체계는 위 헌법적 가치지향을 온전히 실현하기에 흠결이 있음을 밝히고, 그 흠결을 메꿀 새로운 기본권의 인정필요성을 밝힌다. 이에 관하여 본 논문은 일응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를 기본권으로 보장하여야 함을 주장한다. 사회적 약자는 그 취약성으로 말미암아 법적 보호수단을 향유하여 정의에 접근할 절박한 필요가 있는 존재다. 그러나 사회적 약자는 그 취약성으로 인하여 스스로의 힘만으로 법적 보호수단에 다른 이들과 동등하게 접근하기 어렵다. 결국 사회적 약자가 법적 보호수단에의 동등한 접근가능성을 보장받아 정의에의 접근을 실현하고 궁극적으로 동등한 인간존엄을 향유하려면, 법적 사무에 있어 사회적 약자가 가진 취약성을 제거․완화할 ‘외부적 조력과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정의에의 접근’의 해석에서 확인되는 인간존엄과 가치 중 그 실현이 가장 절박하면서도 곤란한 경우를 위한 기본권으로 ‘사회적 약자가 법적 보호 수단에의 접근가능성을 실질적으로 보장받기 위하여 그 접근을 방해하는 자신의 취약성을 제거, 완화할만한 법적 사무에 관한 조력과 지원을 국가에 요구할 수 있는 권리’란 의미의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를 헌법규범체계에 새롭게 수용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는 법치주의·사회복지주의·민주주의를 이념적 배경으로 하여 구체적으로는 헌법 제27조 재판청구권, 헌법 제11조 제1항 평등권, 헌법 제34조 제1항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적법절차 원칙 및 효과적 권리보호원칙에서 도출된다.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는 (1) 사회적 약자가 (2) 국가에 (3) 인간다운 생활의 기초가 되는 법적 보호 수단에의 접근가능성을 보장할 (4) 법률구조란 급부를 청구하는 권리이므로, 청구권적 기본권성과 사회적 기본권성을 주된 성격으로 가진다. 사회적 약자는 위 기본권에 근거하여 재판비용의 지원 ․ 비경제적 취약성에 대한 절차적 배려 ․ 법률전문가에 의한 조력의 보장 ․ 법률적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 등을 국가에 요구할 수 있다.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를 새로운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것은 법률구조제도의 선진화란 실천적 과제 이행에도 기여한다. 위 기본권에 토대한 새로운 시야는 법률구조제도의 분석과 평가, 장래모색에 분명한 지향과 지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법률구조제도에 대한 각종의 비판들은 결국 법률구조의 권리성과 규범성이 간과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므로,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란 기본권의 인정이 그 해결에 상당히 기여한다. 인류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공동목표로 ‘정의에의 접근’에 주목하는 사회적 기류로부터 위 주제가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가지는 의의는 이미 확인되었다. 또 그 실천의 최우선에 사회적 약자에게 법적 보호 수단에의 동등한 접근가능성을 보장하는 문제가 있음도 실증적 자료들을 통해 충분히 검토되었다. 그렇다면, 법률구조를 받을 권리의 인정은 오늘날 헌법의 확고한 규범적 요청이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