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3 Download: 0

한국 근대 송학도(松鶴圖) 연구

Title
한국 근대 송학도(松鶴圖)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rn Songhakdo (paintings of cranes and pine trees, 松鶴圖) in Korea
Authors
이혜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근대기 송학도(松鶴圖)를 대상으로 삼아, 근대 송학도가 지니는 특성과 미술사적 의의를 새롭게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송학도는 학과 소나무를 한 화면에 포착한 화조 화목 중 하나로, 한국 뿐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도 다양한 상징을 지니며 오랜 시간 동안 제작되었다. 이에 본고는 먼저 조선시대 송학 도상의 인식과 소용, 발전양상을 살피고, 송학이 林逋(967-1028)의 고사 및 『詩經』과 『周易』의 구절을 통해 ‘隱逸志士’의 상징으로 이해되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시대 송학도의 주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근대기까지 송학도의 제작이 면면히 이어질 수 있게 했다. 다음으로는 한국 근대 송학도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근대 송학도의 태동, 변용, 유행 및 확대의 세 단계로 구별하여 살폈다. 안중식을 필두로 조석진, 채용신 등의 서화가들은 전통 화제를 개량하여 변화하는 시대에 걸맞은 화풍을 모색하였다. 그 과정에서 송학도는 조선시대의 전통적 특성을 계승하면서도 소재와 화면구성, 표현양식에서 근대적 변용이 이루어졌으며, 각별히 시의성이 강조되면서 봄이라는 계절성이 명확해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20년대에 이르면, 근대 송학도의 특성은 보다 명확해진다. 이에 본고는 일본화풍의 영향, 신규화제의 창출이라는 두 가지 양상에 주목했다. 먼저 조선미전 개최 이후 채색화조화의 사실적인 묘사가 송학도의 화풍, 화면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소위 동양화 1세대로 일컬어지는 신진서화가들이 길상적인 화제에 대한 수요에 부응해 새로운 화제를 창출하였음에 주목해 보았다. 이러한 배경에는 근대 기념문화의 성행, 미술시장의 발전, 그리고 대중매체의 확산으로 인한 서화 유통의 증가가 자리하고 있었다. 아울러 송학도가 화조영모병의 한 폭으로 공고히 자리매김 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신문의 신년휘호·축하휘호의 형태로 대중성을 획득하고 있음을 제시해 보았다. 각별히 한국 근대 송학도는 길상의 의미에 따라 다양한 화제로 세분화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구고청향(九皋淸響), 일품당조(一品當朝), 송령학수(松齡鶴壽), 송신학성(松身鶴性), 해학청신(海鶴淸神)의 다섯 가지 대표적인 화제를 분류하고 그 특징을 밝히고, 근대 송학도가 김은호, 허백련 등에 의해 해방 이후에도 그 계보를 이어나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근대기 송학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 근대 회화사에서 송학도의 미술사적 위치를 재조명하고 그 의미를 고찰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nghakdo(paintings of cranes and pine trees, 松鶴圖) of Korea and to shed new light its significance of art history. Songhakdo refers to the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with cranes and pine trees, which has been widely produced with various symbol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Before examining Songhakdo in the modern era, this paper examined the perception, use, and development patterns of Songhakdo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 perception of Songhakdo in the Joseon Dynasty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onghakdo in the modern era. The study revealed that Songhak was understood as a symbol of Uniljisa (wise man living in seclusion, 逸志隱逋) centering on the verses of 『Juyeok (Book of Changes, 周易)』and 『Sigyeong (Book of Poertry. 詩經)』along with the history of Lin Bu (林逋, 967-1028). This perception became a major concept in the development of Songhakdo in the Joseon Dynasty, and Songhakdo was developed and actively produced until modern times. Next, the development pattern of modern Songhakdo in Korea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it into three stages: the birth,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modern Songhakdo. First, painters such as Cho Seok-jin (趙錫晋, 1853-1920) and Choi Yong-shin (蔡龍臣, 1850-1941), Ahn Jung-sik (安中植, 1861-1919) sought a modern painting style suitable for the times by improving traditional themes or incorporating foreign painting styles. In the process, Songhakdo inherited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Dynasty, but modern transformation was made in the material, screen composition, and expression style. In particular, poetry-based Songhakdo, that appeared at this time, combined the aspect of poetry and spring seasonality. Since the 1920s, Songhakdo has changed in a different aspect from the previous era, in terms of two trends: the influence of Japanese painting and the creation of a new theme.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realistic Japanese painting style introduced from the Joseon Art Exhibition was accepted by color painters and influenced their painting style and screen composition. In addition new painters created a new theme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demands for auspicious themes. The painting also because popular due to the widespread modern commemorative culture, the development of art markets, and mass media. The modern Songhakdo reflected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screens of flowers, birds, and animals, and the New Year's slogans and congratulatory slogans in a newspaper. In this regard, the study examin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onghakdo. Modern Korean Songhakdo was subdivided into various theme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auspices, and this study selected and summarized five representative themes: Gugocheonghyang(九皋淸響), Ilpumdangjo (一品當朝), Songryeonghaksu(松齡鶴壽), Songsinhakseong(松身鶴性), and Haehakcheongsin(海鶴淸神). In addition, later generations of modern Songhakdo, such as Kim Eun-ho (金殷鎬, 1892-1979), and Heo Baek-ryeon (許百鍊, 1891-1977), continued its genealogy after liberation.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Songhakdo, which was produced in the modern period of Korea, and it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re-positioning of Songhakdo in the history of modern painting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