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8 Download: 0

The Returned Mothers

Title
The Returned Mothers
Other Titles
어머니의 귀환 : 『실수희극』과 『겨울 이야기』에 나타난 부활한 어머니에 관한 연구
Authors
허세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수경
Abstract
본 연구는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실수희극』(The Comedy of Errors, 1594)과 『겨울 이야기』(The Winter’s Tale, 1609-11) 속 돌아온 어머니들을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신성한 저편(sacred beyond)”을 통해 분석한다. 두 작품의 어머니 인물들은 모두 연극 첫 장면에서 드러나거나 언급되지만 이후 사라졌다가 마지막 장면에 다시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고는 그들이 일정 기간 부재한 덕에 공동체 내에서는 무사히 신성시되는 듯 보이지만 귀환과 더불어 일으키는 문제들로 인해 공동체에 의해 다시 침묵 당하고 마는(silenced)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서론에 해당하는 1장에서는 초기 근대 영국이 어머니를 그리는 방식을 “신성한 저편”의 개념을 통해 검토한다. 종교적,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어머니가 부재 중에도 끊임없이 존재한다는 생각은 16세기 연극인들에게 결코 생소하지 않았을 것이다. 특히 정치적, 종교적, 일상의 영역에서 어머니의 중요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셰익스피어의 연극들은 어머니를 전면에 내세우는 일이 거의 없으며, 오히려 어머니들이 연극 중간에 부재하거나 사라진다. 본 연구는 그 중 『실수희극』과 『겨울 이야기』에서 각각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어머니 에밀리아(Emilia)와 헤르미온느(Hermione)가 마지막 장면에서 재등장했을 때 가지는 사회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한다. 2장은 『실수희극』 속 수도원장/에밀리아의 정체성을 논한다. 극 중 그녀의 정체성은 관객들이 그녀를 "죽은" 어머니 또는 "잃어버린" 성모 마리아(Virgin Mary)와 같은 어떤 신성한 인물로 보는지에 따라 파편화된 조각으로 흩어진다. 두 인물이 마침내 같은 인물임이 밝혀질 때, 순간적으로 두 개의 신성함이 공존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두 정체성은 서로 모순되기 때문에 더 이상 그 어느 것도 작동하지 않는다. 그녀가 자신이 에게온(Egeon)의 아내이자 안티폴리(Antipholi) 쌍둥이의 어머니라는 것을 밝히는 순간 그녀가 가졌던 가톨릭 신분은 벗겨진다. 그녀의 가톨릭 신분의 박탈은 그 후 그녀가 공동체에서 가지고 있던 가정적인 권위 역시 손상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즉, 과거의 자신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그녀를 더욱 완전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정체성이 없는 텅 빈 몸으로 남겨두는 것이다. 따라서 그녀가 가장 중요한 발언권을 가지는 듯 보이는 마지막 장면에서 연극은 역설적이게도 그녀의 주관성, 특히 생물학적, 상징적인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침묵시킨다. 3장은 『겨울 이야기』에서 헤르미온느의 몸을 통해 신성함이 구성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헤르미온느는 임신한 상태로 극 초반부터 매우 강렬하게 무대에 등장한다. 무대에 올려진 임신한 몸은 그 자체로 신성함을 상징하나 그녀가 목소리를 내는 순간 그 신성함은 약화되기 시작한다. 이는 레온테스(Leontes)의 의심과 비난, 그리고 그녀의 "죽음"을 통해 극적으로 묘사된다. 그녀가 무대에서 사라지면서, 극은 헤르미온느의 신성함을 재확립하기 시작하고 이는 마지막 장면에서 헤르미온느가 조각상의 모습으로 재등장하면서 극적으로 시각화 된다. 조각상을 중심으로 헤르미온느가 신성시되면서 연극은 언뜻 헤르미온느의 실추된 명성을 회복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녀 역시 조각상에서 인간의 몸으로 부활하면서 신성함은 훼손되고 다시 한번 침묵이 강요된다. 결론에 해당하는 마지막 4장은 이상적인 여성상은 살아있는 육체에 도달할 수 없음을 고찰한다. 이상적인 여성상은 주로 실체가 부재한 상태에서 “신성한 저편”에서 정의되고 구성되기 때문이다. 상상 속에서 그려진 이상적인 모습은 그들의 실체가 존재하지 않았기에 안전하게 보장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들이 “신성한 저편”에서 되살아나 무대 위에 귀환하였을 때 그들은 본질적으로 성취 불가능한 이상적인 여성성과 경쟁해야 한다. 기존 사회 질서를 재확립하는 임무를 완수한 후, 그들의 부활은 축하 받지 못할 뿐더러 오히려 침묵 당한다. 그러나 그 침묵은 되려 살아난 여성의 육체가 가지는 위협적 힘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This study comes from the uneasiness of the portrayal of the mothers and doubt whether maternity is celebrated in William Shakespeare’s plays. Chapter One thus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the mother in early modern England in relations to Julia Kristeva’s explanation of the motherhood with the concept of the “sacred beyond.” The idea that the Mother is constantly present even in absence resonates with the sixteenth-century playgoers because of the controversial religious turmoil conflated with the religious and political mother. In the midst of the heightened importance of mothers in political, religious, and practical realms, it is telling that Shakespeare rarely puts mothers in the forefront of his plays—rather, the mothers are absent or disappear in the middle of the play. Among the plays, in both The Comedy of Errors (1594) and The Winter’s Tale (1609-11), the mothers, Emilia and Hermione, respectively, thought to be dead, re-appear at the very last scene. The study, therefore, focuses on how the two mothers who were nicely put in the “sacred beyond” are treated once they (re)appear on stage. Chapter Two primarily discusses the character of the Abbess/Emilia from The Comedy of Errors. Continuously throughout the play, her character is scattered in fragmented pieces depending on what “sacred beyond” the audience sees her in: the “dead” mother or the “lost” Virgin Mary. At first, when all is revealed, it seems that two sacredness come together. However, both sacred beyond no longer work as they contradict each other. The Catholic identity that she had is stripped off her as soon as she reveals herself to be the wife of Egeon and the mother of the Antipholi twins. The stripping of her Catholic identity subsequently leads to the domestic authority she had in the community to be compromised. In other words, returning to her past self does not make her a whole person, but rather leaves her to be an empty body with no real identities. Thus, in the very last act, when she seems to be the most vocalized character, the play ironically silences her subjectivity, especially her identity as a biological and symbolic mother. Chapter Three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sacredness through the body of Hermione in The Winter’s Tale. Unlike the Abbess/Emilia who was absent from the beginning, Hermione visibly appears on stage heavily pregnant. The pregnant body itself symbolizes the “sacred beyond,” with its high potential. However, once Hermione vocalizes, the “sacred beyond” is broken, which is dramatically portrayed through Leontes’s accusation and her subsequent “death.” With her absent from the stage, the play begins to establish Hermione’s sacredness. When Hermione re-appears on stage, she is visualized in a spectacular manner through the revival of the statue. At first glance, the play seems to restore the tarnished reputation of Hermione. Her reputation is far from being restored as her sacredness is attacked once again, she becomes silent. Chapter Four concludes with the female ideal being unattainable for the living body as the ideal is primarily defined and constructed with sacredness in absence. The ideal image of the mother was safely ensured because they were absent. When they visibly present themselves back on stage, they must compete with the ideal image of themselves which is quite impossible. Thus, the celebration of their revival is short li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