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6 Download: 0

저축이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저축이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avings on social capital and living satisfaction of the poor youth
Authors
윤현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 청년을 대상으로 저축이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수행을 위해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의 ‘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자 패널구축 연구(1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청년희망키움통장 참여자인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청년 중 만 15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 678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Statiscic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저축이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저축이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축을 통해 형성한 자산(저축액)이 증가할수록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이 증가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 제고에 있어 저축이 선행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저축은 빈곤 청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선행연구들과 다른 결과가 나타난 원인을 분석해본 결과 연구 대상인 빈곤 청년의 경우 본인의 적은 근로소득으로 저축을 하기 때문에 저축액 자체가 매우 낮으며, 그러한 적은 저축액만으로 빈곤 청년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통제변수를 고려햐여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에 가족지지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삶의 만족도에는 배우자 유무가 부(-)적, 주관적 건강상태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축을 통해 형성한 자산(저축액)은 사회적 자본의 선행요인으로 고려할 수 있어 빈곤 청년이 저축을 통해 효과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많은 청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사업에 참여하였으나 중도 탈락 등 사업 성공에 실패한 청년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사후 관리를 통해 빈곤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질적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저축 자체만으로는 빈곤 청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복지서비스의 정보제공 및 연계, 재무 상담 및 교육 등의 부가서비스를 병행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빈곤 청년의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및 정책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빈곤 청년이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나 사회구성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직장 외에서도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여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의 장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축이 빈곤 청년의 삶의 만족도에 보다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청년 대상 자산형성지원사업과 함께 부가서비스 형태로 사회적 자본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mpact of savings o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oor young people.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678 young people aged between 15 and 39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households who received living benefit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study on asset formation support projects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for Self-Sufficiency and Welfare. For analysis, we used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how savings affect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oor young peop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aving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al capital of poor young people. In other words, the more assets (savings) formed through savings, the more social capital of poor young people increases.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savings should be considered as a leading factor in improving social capital of poor young people. Second, it was found that saving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oor young people in their lives. Analysis of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y shows that the savings of poor young people are very low because they save with small income, an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poor young people is insignificant or insignificant. Third, the analysis of various control variables affecting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found that self-esteem has a meaningful positive (+)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oor young people. In addition, family supp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has a negative (-) effect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and a positive (+) effect on subjective heal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scuss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sets (savings) formed through savings can be considered as a leading factor in social capital,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or young people to effectively form assets through savings.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ublic relations on projects to support the formation of youth assets, which are increasing in quantity, so that many young people can participate. In addition,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but failed to succeed in the project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managed afterwards to help them get out of poverty.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qualitative service system for asset formation support projects that are increasing in quantity for the formation of assets for young people. As confirmed in this study, savings themselves are difficul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iving among poor young people, so additional services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and linkage of various welfare services, financial counseling, and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at the same time.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social support and policy measures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poor young people. Employment support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help poor young people escape from social isolation and become members of society, and opportunities should be prepared to form social relationships and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utside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al measures to support social capital formation in the form of additional services along with projects to support asset formation for youth so that savings can more effective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lives of poor young peo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