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앗상블라주의 표현공간 확장의 시도로서 AR 기술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앗상블라주의 표현공간 확장의 시도로서 AR 기술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shion Design in Application of AR technology as an Attempt to Expand the Expression Space of Assemblage : Based on the Geometric Analysis of the Forms of the Human Body
Authors
이경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Today, the trend that transcends genres and boundaries between all areas of culture, art and society has renewed awareness of each field and produced original images. In particular, contemporary art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by developing and utilizing various expressive media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 high-tech industrial society, and h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various fields, especially the fashion field. Colors, forms, and techniques that appear in art form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fashion and express more creative and individualistic things through active exchanges. Among the various art styles, assemblage refers to the technique of introducing ready-made objects, natural objects, and miscellaneous everyday objects, gathering them, and stacking them. It was a new attempt to express a sense of space. Assemblage has developed into a method of expression in various fields beyond the realm of painting in that it expresses a new composition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a sense of spa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objects. Recently, with the advent of new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the combination of objects has become a familiar daily life, and the meaning of assemblage itself has been expanded and us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realize the creative design of fashion design by accommodating the concept and method of assemblage, and at the same time seek to expand the expression space into the digital space by applying AR technology. To this end, by analyzing the assemblage expression type and expression method, the formative direction of the work is set to geometric abstraction, and the method of combining objects is introduced. By analyzing the human body as a component of the combination, it is derived as an object of assemblage and presented primarily as an assemblage fashion design through the process of aesthetic and functional combination. As the next step, we try to expand the expression space of assemblage fashion design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expand and present a new digital space where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of objects based on dynamism are possible. This study examines assemblage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is, case stud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various books, papers, and internet sites related to this. Based on this analysis, assemblage fashion design is developed.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the design is developed an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creative space in the design is verified. Assemblage produces a total of 6 works by developing various designs by combining objects for fashion design. And by applying digital technology to this assemblage fashion design, we present works that not only expand the expression space through augmented reality but also provide a new visual experience. As an attempt to expand the expression space of assemblage based on human body shape analys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research and production of fashion design works using AR technolog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ntroduce the object concept of assemblage art into fashion design and propose a creative form of design through the formative thinking process of the union. Second, it was possible to present a creative fashion design by setting the human body as an idea source for assemblage fashion design, geometrically analyzing and decomposing it, deriving it as an object of geometric abstraction, and combining it aesthe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human body. Third, as a method of aesthetically combining objec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ssemblage fashion design, combining, separating, cutting, reducing and expanding, moving, repeating, inverting, adding, removing, reversing, penetrating, rotating, distorting, overlapping, etc. of the modeling method was used. Individual objects were three-dimensionally and phantasmagically composed on the human body shape through various modeling methods, and 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present a unique and individual assemblage fashion design. Fourth, the work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basic form of fashion design reflects the image of a human being, and sets the human body as a source of ideas, but analyzes, disassembles, simplifies, and creatively reconstructs the human body to create a conventional and reproducible form of expression. It was possible to break free from the framework of Fifth, the color of this research work was applied with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or brightness contrast color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color of the object, and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object could be strongly revealed through clear contrast. Here, I was able to highlight the aspect of fashion design as a canvas by expressing the natural dark and dark stages of black with a drawing touch. Sixth, cushion paper was used as the material of this work. This was effective in constructing the geometric abstraction of an object because it is not only light, but also has the power to establish a structure and hold a three-dimensional shape. In particular, due to the thickness and elasticity of the material, it was able to maintain a smooth shape during sewing. Seventh, in order to realize the original purpose of Assemblage, the expansion of the expression space, AR technology was applied to analog works and converted into a virtual digital space. This made it possible to provide a new visual experienc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of implementing creative design by introducing the object concept and combination modeling method of assemblage ar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reative space of design by analyzing, disassembling, and combining the human body into objects with geometric abstraction It is meaningful to try. In addition, this study is a meaningful attempt to experience dynamic fashion design in a newly expanded expression space by fusing analog and digital expression methods throug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오늘날 문화, 예술 및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영역 간의 경계를 초월하는 경향은 각 분야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며, 독창적인 이미지의 결과물을 만들어내었다. 특히 현대미술은 첨단화된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표현매체를 개발하고 활용하면서 늘 새롭게 변화해왔으며, 다양한 분야, 특히 패션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미술 양식에서 나타나는 색채와 형태, 표현기법 등이 패션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적극적인 교류를 통하여 더욱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것을 표현해왔다. 다양한 미술 양식 중 앗상블라주는 기성품이나 자연의 물체, 잡다한 일상적 사물을 도입하여 모아 붙이고, 쌓는 기법을 말하는데, 오브젝트를 도입하여 기존의 2차원 회화의 표현공간의 한계를 벗어나 3차원의 강력한 시각적 이미지와 공간감을 표현하고자 했던 새로운 시도였다. 앗상블라주는 오브젝트의 도입으로 특성이 다른 새로운 구성과 공간감을 표현한다는 면에서 회화의 영역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표현방법으로 발전해왔다. 최근에는 새로운 디지털 기술과 매체들의 등장으로 오브젝트 간의 결합이 익숙한 일상이 되었으며, 앗상블라주의 의미 자체가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앗상블라주의 개념과 방법을 수용하여 패션디자인의 창의적 디자인을 구현하는 동시에 AR 기술을 적용하여 디지털 공간으로의 표현공간 확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앗상블라주 표현유형과 표현방법을 분석하여 작품의 조형 방향을 기하학적 추상으로 설정하고, 오브젝트 조합의 방법을 도입하고자 한다. 조합의 구성요소로서 인체를 분석하여 앗상블라주의 오브젝트로 도출하고 미적, 기능적 조합의 과정을 통해 1차적으로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으로 제시한다. 다음 단계로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역동성에 기반한 오브젝트의 다양한 조형표현이 가능한 새로운 디지털 공간으로 확장, 제시함으로써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의 표현공간 확장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앗상블라주와 증강현실 기슬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각종 서적, 논문,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하여 사례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을 전개한다. 제시한 방법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여 디자인에 창의적 공간 구축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을 위한 오브젝트 조합의 방법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전개하여 총 6벌의 작품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가상공간으로 전환, 증강현실을 통해 표현공간 확장뿐 아니라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작품을 제시한다. 인체 형태 분석을 기반으로 한 앗상블라주의 표현공간 확장의 시도로서 AR 기술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작품 연구와 제작을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앗상블라주 미술의 오브젝트 개념을 패션디자인에 도입하고 조합의 조형사고 과정을 통하여 창의적인 형태의 디자인 제안이 가능하였다. 둘째,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의 발상소스로서 인체를 설정하여 이를 기하학적으로 분석, 분해하여 기하학적 추상의 오브젝트로 도출하고 인체의 구조와 형태를 고려하여 미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오브젝트를 미적으로 조합하는 방법으로서 결합, 분리, 절개, 축소와 확대, 이동, 반복, 도치, 추가, 제거, 반전, 침투, 회전, 왜곡, 겹침 등의 조형방법을 활용하였다. 개별 오브젝트는 다양한 조형방법을 통해 인체 형태 위에 입체적, 환조적으로 구성되었고 이렇게 함으로써 독특하고 개성 있는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의 작품은 패션디자인의 기본 형태가 인간의 이미지를 반영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인체를 발상의 소스로 정하되 인체를 분석, 분해, 단순화하고 창의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인체 표현의 통념적, 재현적 형식의 틀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이렇게 얻은 기하학적 형과 형태를 오브젝트로 하여 새로운 기하학적 추상의 앗상블라주 패션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 작품의 색채는 오브젝트의 구조와 색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보색 대비 또는 명도 대비의 색채를 적용했으며, 명료한 대비를 통해 오브젝트 각각의 입체적 특징을 강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 여기에 블랙의 자연스러운 명암의 단계를 드로잉 터치로 표현함으로써 캔버스로서의 패션디자인의 면모를 부각시킬 수 있었다. 여섯째, 본 작품의 소재로 쿠션지를 사용하였다. 이는 가벼울 뿐 아니라 구조를 세우고 입체적 형태를 잡아주는 힘이 있어 오브젝트의 기하학적 추상을 구축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소재의 두께감과 탄력으로 인해 봉제 시 매끄럽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일곱째, 앗상블라주 본래의 취지인 표현공간의 확장을 실현하기 위해 아날로그 작품에 AR 기술을 적용하여 가상의 디지털 공간으로 전환시킨 결과, 증강현실로서 오브젝트에 움직임이 적극 부여되어 자유롭고 역동적인 조형표현이 이루어짐으로써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앗상블라주 미술의 오브젝트 개념과 조합의 조형방법을 도입하여 창의적 디자인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인체를 기하학적 추상성을 지닌 오브젝트로 분석, 분해, 조합하여 디자인의 창의적 공간을 구축하는 방법을 시도함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아날로그적 표현방법과 디지털적 표현방법을 융합하여 새롭게 확장된 표현공간에서 역동적인 패션디자인을 경험하게 해주는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