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수트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수트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pcycling Fashion Design Using the Components of a Suit
Authors
김윤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수트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되어져 왔고 현재도 문화와 사회에 맞는 의복으로 착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수트의 차별점은 다른 의복에 비해 디테일이 많아 내부 구성요소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의류폐기물을 모아 재판매하는 구제시장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는 아이템은 수트로, 수트의 수요는 줄고 있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문제에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수트 뿐만 아니라 의류폐기물을 해결하기 위해 업사이클링 패션이 등장하였고 많은 브랜드와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업사이클링 패션은 소재를 개발하거나 버려지는 다양한 의류폐기물을 사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버려지는 수트를 활용하여 패션 디자인에 응용한 실질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버려진 수트를 활용하여 수공예적인 방법으로 해체, 재조합시키고 수트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나타내는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작품 제작을 통해 버려지는 수트를 재탄생시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전파하고 다양한 작품의 실험적인 이미지가 강조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수트와 관련된 문헌 자료 및 시각 자료를 수집하여 수트의 개념과 형성배경, 변천과정을 탐구하고 수트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트의 외형적 특징과 내부적 특징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리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과 관련된 문헌 및 시각 자료를 수집하여 업사이클링의 개념에 대해 탐구하고 디자인 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전자문헌과 웹사이트를 통해 업사이클링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수트의 구성요소를 모티브로 선정하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응용하여 예술적인 고부가가치가 포함된 디자인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트의 구조적 특징은 외형적 구조적 특징과 내부적 구조적 특징으로 나눌수 있다. 외형적 특징은 라펠, 포켓, 벤트, 재킷 몸판으로 나누었으며, 내부적 특징은 안감, 심지, 어깨패드, 슬리브헤드, 체스트 피스, 제조공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작품에 활용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은 해체하기, 이어붙이기, 덧붙이기, 전위, 접기, 스티칭/올풀기 조합으로 나타내었다. 해체하기는 기존의 가지고 있던 틀을 탈피하여 새로운 조형 이미지를 표현 가능하게 하였고, 이어붙이기는 면적을 넓혀 또 하나의 착시현상을 나타나게 한다. 덧붙이기와 접기는 질감 표현을 드러내는 시각 제시가 가능하였다. 스티칭과 올풀기는 신체를 드러내거나 디자인 연출 변화를 통한 색다른 조형성을 나타내며, 전위는 이질적인 만남으로 창의적인 느낌과 고정관념 파괴로 독특한 조형성이 나타난다. 셋째, 활용된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 중 해체하기와 이어붙이기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이는 수트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적용해야 되는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작품 디자인은 총 5가지 디자인 방법이 적용되어 첫 번째 작품은 수트의 외형적 특징을 주로 나타내었고, 전위 방법으로 바지의 내부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작품은 덧붙이기와 전위로 재킷 몸판의 내부적 특징과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작품은 내부적 구성요소가 가장 많이 드러나는 작품으로 질감표현을 위해 접기 방법도 적용하였다. 네 번째 작품은 리버시블 작품으로 수트의 외형, 내부적 특징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작품은 제로웨이스트가 적용된 작품으로 덧붙이기와 올풀기 방법이 강조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넷째, 수트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해체 조각들 및 소재에 대한 이해도가 구성요소를 작품에 반영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었다.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해체시키고 재조합하는 창조적 실험 가운데 본 연구의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수공예적인 작업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수트의 구성요소가 적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그로인해 작품의 희소성과 독창적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수트의 구성요소와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융합함으로써 의상의 독특한 구성법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적인 이미지로 작품의 조형성에 다양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선정 수트가 블랙과 그레이로 작품 제작시 하나의 작품으로 이질감 없이 녹아들 수 있도록 대부분 동일 색상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어두운 계열의 수트 색상 선정으로 수트의 구성요소가 잘 보이지 않는 부분은 스트레이트 스티칭 기법을 작품에 함께 녹여내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윤리적인 업사이클링 작품 제작을 위해 제로웨이스트를 적용하여 선정된 수트 재료를 모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업사이클링 패션 산업계에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수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브제와 버려진 의류를 사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시적 대안적 방법의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에 머무르지 않고 미적가치를 포함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이 많은 소비자들과 다양한 후속연구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패션 디자인의 표현 영역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The shape of the suit has been chang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worn as a garment suitable for culture and society.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suits is that there are more details than other clothes, so you can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suit.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suits are the most identified item in the resale market where clothing waste is collected and re-sold, and the demand for suits is not decreasing, which raises an environmental problem. In addition to suits, upcycling fashion has emerged to solve clothing waste, and many brands and consumers prefer it. Upcycling fashion is used as a means of developing materials or creating new products using various discarded clothing wastes. However, practical research applied to fashion design using discarded suits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up-cycling design method to dismantle the suit in a handicraft way using the discarded suit, and to characterize the components of a series of suits. In addition, through the production of upcycling fashion design works, we want to recreate discarded suits to spread sustainable fashion design and to expand the diversity of upcycling fashion designs emphasizing the asymmetrical silhouette image of various works. To this end, we first collected literature and visual data related to the suit in order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suit,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and the transition process. In addition,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uit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suit. In addition, literature and visual materials related to upcycling design methods were collected to explore the concept of upcycling,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methods, and present examples of upcycling modern fashion design through electronic documents and websites. Based on the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the elements of the suit were selected as motifs and an upcycling expression technique was applied to develop an artistic high value-added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multiple points. First,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suit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structural features and internal structural features. Outward features were divided into lapels, pockets, vents, and jacket body, and internal features were categorized into lining, wick, shoulder pads, sleeve heads, chest pie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Second, the upcycling expression technique used in the work was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dismantling, splicing, appending, cutting, dislocating, and folding. The dismantling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a new formative image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frame, and the splicing enlarges the area and makes another optical illusion appear. Adding and folding were possible to present a perspective that reveals three-dimensional and textured expressions. The cutting reveals the body or represents a different formativeness through a change in shape, and the avant-garde is a heterogeneous encounter, resulting in a creative feeling and a unique formativeness through the destruction of stereotypes. Third, among the upcycling design methods utilized, it is also a method appli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a suit that are commonly applied to both dismantling and splicing. A total of five desig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work performed in this study, so the first work mainly uses the outer features of the suit and the avant-garde method allows you to check the internal features of the trousers, and the second work is the ego and avant-garde. As a result,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bo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ditional components can be confirmed. The third piece is the piece that reveals the most internal components, and the method is also applied for texture expression. The fourth work is a reversible work that allows you to simultaneously check the appearance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uit. The fifth and final piece is characterized by a zero-waste finished piece. Fourth, the understanding of the suit's components and various dismantled pieces and materials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flecting the components in the work. In the creative experiment of dismantling and recombining all works by hand, in order to produce the work of this study, the design to be implemented as a handicraft work and the components of the suit were designed to be suitable. As a result, the rarity and original image of the work were revealed. Fifth, it was possible to express the unique composition of clothes by synthesizing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suit and the design method of upcycling. In addition, the asymmetric silhouette allowed various images to be expressed in the formativeness of the work, and most of the same colors were used so that the selected suit melted into a single work of black and gray when creating the work. Additionally, all suit materials selected were used in this study with no waste applied to create ethical upcycling artwork. Together, this study used all of the suit materials selected with zero waste applied to create an ethical upcycling pie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pcycling fashion industry. In the future, upcycling fashion design including aesthetic value is not limited to upcycling fashion design, and many consumers and various follow-up measures are being made as a temporary alternative metho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y using various objects, discarded clothes, suits, etc. . Research.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field of expression of fashion design will be further expa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