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패션 폐기물 최소화의 실천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소비자 참여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패션 폐기물 최소화의 실천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소비자 참여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sumer Participation Fashion Design in Application of Tessellation as A Way of Minimizing the Fashion Waste
Authors
김정혜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Many factors devastating the environment such as the carbon emission, resource exhaust and water scarcity raised in relation to the sustainability in today's fashion industry cause serious environmental issue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reasingly created fashion wastes due to the mass production from popular fast fash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explored how to minimize it by accessing in terms of design. A lot of efforts were made to minimize the waste creation from today's fashion industry, but it is true that it was not agonized realistically as it was recognized as only a fashion marketing tool. The precedent studies only emphasized the designer's role to minimize the fashion waste, and the studies lacked providing the actual ways for carrying out by consumers who are the main source of increasing waste. In order to suggest the fundamental solutions on the issues faced to fashion system in these days, the behavioral changes should be accompanied to agonize and carry out jointly through the vehicle of clothes between designers and consumers. Now it needs the academ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In line with the practical design methods to minimize the fashion industry wastes, this study was purposed to seek the fashion design for inducing the designers' role and consumers' participative role as well. It is meaningful for the consumers not only purchasing simply the fashion waste minimized design provided unilaterally by the designers but also seeking the ways of participative design which enable to perform the active role in current fashion system as subjects of purchasing, using and wasting the clothes.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tessellation were adapted to creative design frameworks for consumers' participation. In total 6 suits of fashion design works were suggested by establishing the fashion design methods which enable for the consumers to participate and conduct actively the ways of minimizing the fashion wastes suggested by the designer via clothes. This study is summarized and concluded generally as follows. First, it became to know when it was looked into that the wasting amount is the biggest in the scrapping step and that thrown at the step of supplying the clothes comes next when the fashion waste creation ratio depending on the lifespan of the clothes. Therefore, analyzing the cases for minimizing the fashion waste confirmed that the fashion designers may make influence on minimizing the amount of the fabric thrown at the supply stage, using and wasting step as well. Accordingly, it needs to look into the fashion waste creation status and fashion system in more totalistic viewpoint. First of all,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sign oriented approach was needed to reduce the wastes through deriving consumers' understanding and conducting on the waste. Second, the step wise methods to minimize the fashion waste are categorized into the zero waste cutting in the supply step, lengthening the lifespan of clothes by repairing and long term satisfaction by consumers' involvement in using step, and finally, the re-wearing, re-purposing, re-making and re-cycling to new textile in the scrapping step. Started from the methodological thinking for the consumers to experience and change in order to have long term satisfaction through involving into using stage, and the consumer involving design concept was brought forth and analyzed. The participative design has been used for the users to involve into the designing step in most of the fashion industries, but in this study, in respect of the consumer's involvement for fashion waste minimizing, it was defined as expression of consumers' conducting will for designing the meaningful relation and experience between the clothes and consumers beyond the meaning of possibility for the consumers to involve into the procedures of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ird, based on analyzing the consumer involving designing and cases in the fashion, initiated with thinking on designing of connecting to the fashion waste minimizing realization, and it was possible to find the connective joints by means of the successive pattern, independent basic styl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n 3D surface, waste minimization and user's involvement and consideration on the tessellation which hav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overing at the same time. Fourth, the tessellation uses 3 ways of main variant, parallel movement, reflection and rotation to design the basic polygon into the wanted basic tile. The reflection is sub-categorized into the sliding reflection to the opposing side, sliding reflection to the neighboring side, and rotation to the centric rotation and apex rotation. 28 Heinrich types marked in symbols were used for designing the basic tiles. Fifth, this study established main 3 designing methods to satisfy minimizing the fashion waste and consumers' involvement by adopting tessellation principle. Namely, tessellation pattern module making through patternizing the basic tile, cut and sew the tessellation diagram to 3D structuring the tessellation plane, disassemble and assemble of each tessellation diagram for combining. Sixth, based on such structuring, the basic style was designed through searching and transforming the various tessellations appropriated to each method. The structural realization experiment was made on the body to make it in 3D garment and heighten the aesthetic completeness. At this time, the scale, angle and material of the basic tile are decided. The finished design passed the verification processes estimating and improving the design, material and details based on simulated experiments on 5 experimentees. This study on the consumer participative fashion design works by adopting the tessellation as a way for conducing the fashion waste minimizing concluded as follows. First, tesellation adopting fashion design is same in its objective with zero waste pattern cutting in the point of minimizing the wastes from fashion. The mass customization production or partial replacing manner by purchasing the required parts additionally is very appropriate for the consumers to choose the material or color on each part as the patterns of same parts on the clothes satisfy it by matching each other. Second, the cutting and sewing of the tessellation diagram to structure the tessellation plane into 3D are the ways for the consumers to made the clothes directly. It enabled to connect with the garment emotionally and realize the variable design. Third, at this time, the tessellation printed on the fabric functions as a guide cutting, sewing and folding and covering the damaged and contaminated fabric as well. Fourth, the simulated experiment confirmed that clear description and limiting the proper materials further heightened the satisfaction to the outcomes than for the participants to choose the design and materials. Fifth,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tessellation diagrams are the ways for the consumers without professional sewing skill to involve into the production easily, and the variable and manual craft working fun could be obtained. Sixth, the simulated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basic tiles in application of the square pattern was preferred to the hexagonal ones, and this enable for the structuring works to be more in variety and stable in shaping. Recently, tremendous discharging the fashion waste in every year due to the consumption firstism, trend of fast fash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endangers our lives and makes bad influence on global environment. This study is in line with effort-making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 to escape from such vicious chains and it wa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and worries on current fashion system to forward to more sustainable fashion system. This study became a motive not only for designer's pattern wise experimental study but also verifying the realization of consumer's actual involvement. It is meaningful to re-establish the value relation between clothes and consumers for the consum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sign and importance of conducting such meaning and make directly the waste minimizing design suggested by the designers. And,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with the precedent studies in the point that the mathematical principle of tesellation was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sustainability of fashion design. Realizing the garment configuration method by means of tesellation which had never been approached or tried till today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the formativity of fashion design to new idea. In the midst of doing a lot of studies, analysis and controversies to solve the global environment issues, as a fashion designer, this study is expected for the designer's differentiated strategic trials and discoveries to establish new fashion system in the coming days to contribute striding forwards to innovative changes in fashion industry. ;오늘날 패션산업에서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탄소 배출, 자원 고갈과 물 부족 등 다양한 환경적 폐해 요소들은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 패션의 유행과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른 대량 생산 등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패션 폐기물의 발생으로 인한 현상에 주목하여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디자인적 접근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오늘날 패션업계에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패션 마케팅의 수단으로 인식한 채 진정성 있는 고민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도 패션 폐기물을 최소화를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만을 강조한 채, 폐기물 증가의 주요 주체가 되는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오늘날의 패션시스템이 당면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디자이너와 소비자가 옷을 통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해 나아갈 수 있는 행동적 변화가 수반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학문적, 실험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천적 디자인 방법의 일환으로, 디자이너의 역할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참여적 역할을 유도할 수 있는 패션 디자인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비자가 디자이너에 의해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패션 폐기물 최소화의 디자인을 단순히 구매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옷을 구매하고, 사용, 폐기하는 주체로서 현 패션 시스템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참여 디자인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소비자의 참여를 가능케 하는 창의적 디자인 방법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테셀레이션의 특성과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옷을 통해 디자이너가 제시하는 패션 폐기물 최소화 방안을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실천할 수 있는 패션디자인의 방법을 구축하여 총 6벌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옷의 수명 주기에 따른 패션 폐기물 발생 비율을 살펴보면 폐기 단계에서 버려지는 폐기물의 양이 가장 많고, 옷을 공급하기 위한 단계에서 버려지는 폐기물의 양이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패션 폐기물 최소화의 사례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 디자이너는 공급 단계에서 버려지는 원단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사용, 폐기 단계에도 영향력을 끼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좀 더 총체적인 관점에서 패션 폐기물의 발생 현황과 패션 시스템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사용 단계에 있어서, 옷의 주체인 소비자의 폐기물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이끌어내어 폐기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적 접근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둘째, 패션 폐기물 최소화를 위한 단계별 방법은 옷의 공급 단계에서의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과 지속가능한 소재, 그리고 사용 단계에서의 수선에 의한 옷의 수명 연장과 소비자 참여에 의한 장기적 만족감, 마지막으로 폐기 단계에서의 재착용, 리퍼포징 혹은 리메이킹, 새로운 텍스타일로의 리사이클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 단계에서 소비자가 참여를 통해 장기적인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경험과 변화를 꾀할 수 있게 하는 방법적 탐구에서 시작하여, 소비자 참여 디자인의 개념을 가져와 분석한 결과, 대부분 패션 산업에서 참여적 디자인은 디자인 결과물에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디자인 과정에 참여시키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션 폐기물 최소화를 위한 소비자의 참여라는 점에 입각하여, 소비자가 단지 디자인이나 제작 과정에 참여가 가능하다는 의미를 넘어, 옷과 소비자 간의 의미 있는 관계와 경험을 디자인하는 소비자 실천의지의 표현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패션에서의 소비자 참여 디자인의 방법과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이것을 패션 폐기물 최소화의 실현과 연결시키는 디자인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연속적인 패턴, 독립적 기본 타일, 입체적 표면의 표현적 특성과 폐기물 최소화와 사용자의 참여, 커버링의 기능적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테셀레이션에 관한 고찰을 통해 그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었다. 넷째, 테셀레이션에서 기본 다각형을 원하는 기본 타일로 디자인하기 위해 평행이동, 반사, 회전 크게 3가지의 변형 방법을 이용하는데, 반사는 대변으로의 미끄럼반사와 이웃한 변으로의 미끄럼반사, 회전은 중점 회전과 꼭짓점 회전으로 다시 세분화된다. 이를 기호로서 표기한 28가지의 헤슈 타입의 분류를 이용하여 기본 타일을 디자인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테셀레이션을 적용하여 패션 폐기물 최소화와 소비자의 참여를 동시에 만족시킬 디자인 방법을 크게 세 가지, 즉 기본 타일의 패턴화를 통한 테셀레이션 패턴의 모듈화, 테셀레이션 평면의 입체 구조화를 위한 테셀레이션 도형의 컷 앤 쏘우, 테셀레이션 개별 도형의 조합을 위한 테셀레이션 개별 도형의 분해와 재조합으로 구축하였다. 여섯째, 이러한 구축을 바탕으로 각 방법에 적합한 다양한 테셀레이션의 탐색 및 변형을 통해 기본 타일을 디자인하였다. 이것을 가먼트로 입체화하고 미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바디 위에서의 구조적 실현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기본 타일의 스케일과 각도, 소재 등이 정해지며, 완성된 디자인은 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모의실험을 바탕으로 디자인 및 소재, 디테일 등을 평가 및 개선하는 검증 과정을 거쳤다. 패션 폐기물 최소화의 실천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소비자 참여 패션디자인 작품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패션디자인은 패션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과 그 목적을 같이한다. 옷의 같은 부분 패턴들끼리 서로 맞물려 이를 만족하기에 소비자가 각 부분의 소재나 색채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대량 생산 맞춤화 방식 혹은 부분별로 추가 구입하여 부분 교체를 하는 방식에 매우 적합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테셀레이션 평면을 입체 구조화하기 위한 테셀레이션 도형의 컷팅과 쏘잉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직접 옷을 만들어 보게 하는 방식으로 옷과의 감정적 연결, 그리고 가변적인 디자인의 실현을 가능케 했다 . 셋째, 원단에 프린팅 되는 테셀레이션은 컷팅, 쏘잉, 그리고 폴딩 등의 가이드 역할에 매우 적합하며 아울러 손상되거나 오염된 원단을 커버해 주는 역할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모의실험을 통해 참여자들에게 모든 디자인과 소재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보다 명료한 설명 및 적합한 소재를 선정하여 제시해 주는 방법이 참여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테셀레이션 개별 도형의 분해와 재조합은 전문적인 봉제 기술이 없는 소비자들도 손쉽게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변성은 물론 수공예적인 재미를 얻을 수 있었다. 여섯째, 모의실험 결과, 사각형을 응용한 기본 타일보다 육각형을 선호하였고, 이것이 구조화 작업 진행에 있어서도 훨씬 다양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가능케 했다. 오늘날 패션산업은 소비지상주의, 패스트 패션의 유행, 그리고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른 대량 생산 등으로 매년 많은 양의 패션 폐기물을 방출하며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악순환을 벗어나기 위해 사회적 환경적 변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좀 더 지속가능한 패션 시스템을 향해 나아가고자 현재의 패션시스템에 대한 인식과 우려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단지 디자이너의 형태적 실험 연구에 그치는 것이 아닌, 디자이너가 제안한 폐기물 최소화 디자인을 소비자들이 그 디자인이 갖는 의미와 실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직접 제작해 봄으로써, 옷과 소비자 간의 가치 관계를 재정립하고, 실제 소비자 참여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테셀레이션의 수학적 원리를 패션디자인의 지속가능성과 연결하여 응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제껏 쉽게 접근하거나 시도하지 못했던 테셀레이션을 이용한 가먼트 구성 방식을 실현해 봄으로써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대한 새로운 사고의 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패션 디자이너로서 지구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와 분석, 토론이 지속되어오고 있는 가운데, 다가올 미래의 새로운 패션 시스템 구축을 위한 디자이너의 차별화된 전략적 시도와 모색이 패션산업의 혁신적 변화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