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생활권공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생활권공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se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Post-COIVD-19 Era : Focusing on the Usage Behavior and Demand of Young Generation Aged between 20 and 29
Authors
박인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다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utiliz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post-COVID-19 era, focusing on the usage behavior and demand of young generation aged between 20 and 29. The study examined the usage behavior and behavioral demand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investigated affordance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neighborhood parks, thereby suggesting how to improve neighborhood parks appropriate for the behavioral demand of the young generation in the post-COVID-19 era. As the restrictions on indoor activities are relaxed in the post-COVID-19 era, activities that were previously held inside have expanded to outdoor spaces, which diversifies needs and functions of the outdoor spaces; For example, eating, meeting, working, playing board games, and watching movies now take place in urban parks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esign behavioral and functional spaces in urban parks, such as small and large facilities, installations, pavilions, and buildings. Moreover, young people’s engagement in local communities have facilities more interest and demand for neighborhood parks as outdoor spaces in their daily life. However, existing studies on neighborhood parks have been focused on children and the elderly who were more represented in neighborhood park use, which resulted in limited studies on behavior and demand of the young generation. Considering usage behavior and demand of not only children and the elderly but also all generations including young people, the present study emphasized a comprehensive plan and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aps between the demand and actual usage behavior of park use by the young generation after the pandemic. According to an online survey of 297 young people in their 20s, most of them found new ways to use parks after the pandemic, and their demand and actual usage behavior varied. The survey revealed that, 51.4%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use a park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while only 11.5% actually used a park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Although the demand for various dynamic activities was high, park users found it difficult to do dynamic activities except for walking and running. Also, the demand for eating in a park, doing sports, and engaging in cultural and community events was not satisfied. Even though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park use was high,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and sports facilities was high. Moreover, the respondents demanded the improvement of the park cleanliness, maintenance, and safety, and more installation of walking trails, benches, and tables. Second, using field studies and case studies, the study analyzed affordance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neighborhood parks in three aspects: static, dynamic, and cultural and community activities. The study compared affordance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large urban parks and neighborhood parks by the types of activities and derived a plan to improve neighborhood parks equipped for each activity. Static activities involve resting in a park, such as sitting on a bench, drinking beverage, eating a snack, and reading a book. These static activities require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chairs, tables, or community rooms. According to the field studies and case studies, there were few neighborhood parks that were equipped for activities other than sitting and resting; the parks were not fully equipped for study, work, or eating. Thus, it is necessary for the parks to be equipped for various static activities by creating appropriate physical environments, for example, installing all-in-one sitting areas. Dynamic activities involv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riding a bicycle, doing rope jumping and stretching, using fitness equipment, and playing basketball. They require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running tracks, sports facilities, and playground. The field studies and case studie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neighborhood park did not have suitable physical environments for the dynamic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small parks and children's parks had only fitness equipment and walking trail, with limited affordance for other dynamic activities. To promote the neighborhood parks to be part of residents’ daily activity routines, multi-purpose tracks for walking, bicycles, and electronic scooters, and various sports facilities such as basketball court and climbing walls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a park. Cultural and community activities involve interactions with community and nat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uch as meetups and conversations, flea markets and gardening, screen-watch and stage performance. Cultural and community activities require physical environments of rest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gardening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ield studies and case studies, the neighborhood parks were equipped for meetups and conversations, screen-watch, and oftentimes flea market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other cultural and community activities in small parks and children's parks, even though many neighborhood parks were relatively more equipped for various cultural and community activities. Installing sitting-together community facilities and multi-purpose, mobile stages applicable for the size of the neighborhood parks would facilitate various cultural and community activities.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measures drawn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not every size of neighborhood park can have the physical environments that fit fall all types of activities, neighborhood parks located within a walking distance from each other can have strategically different focuses of activities. In doing so, park users can enjoy the diverse focuses of activities in several parks nearby. Moreover, parks can be planned for multi-purpose usage; facilities such as benches and tables can be designed for more specific usage. This study suggested how to improve affordance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neighborhood parks considering the usage behavior and demand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in the post-pandemic era.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moting the behavioral abundance of neighborhood parks and expanding functional space plans and designs from indoors to outdoors. However, the study has a few limitations that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its samples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However, the study has a methodological strength of a supplementary mixed-method approach combining behavioral supportive analysis and physical environment analysis. This study also emphasized diverse and inclusive usage of neighborhood parks and impr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s quality of life by considering the demand and usage behavior of park use for young people in their 20s that have been understudied in the neighborhood park research.;본 연구는 20대 청년세대의 이용행태 및 수요를 중심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생활권공원의 활용방안 및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는 연구이다. 20대 청년세대의 생활권공원 이용실태와 행태적 수요를 파악하고, 생활권공원의 행태지원성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해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대 청년세대의 행태적 수요를 지원할 수 있는 생활권공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실내활동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건축물 내부에서 이루어지던 활동들이 외부공간으로 확장되며 외부공간에 대한 이용수요가 증가하고 외부공간에서의 활동이 다양해지고 있다. 기존에는 건축물 내부 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식사, 약속 및 만남, 공부 및 업무, 보드게임, 영화감상 등의 활동이 COVID-19 이후에는 외부공간인 도시공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공원이 다양한 행위와 기능을 포함하게 됨에 따라 행위공간, 기능공간에 대한 설계가 필요한 상황이며, 공원의 경계부와 내부에 크고 작은 규모의 시설물 및 설치물, 파빌리온, 건축물 등의 건축적 공간을 설치하여 공원에 다양한 기능을 담아낼 수 있다. 또한 로컬 중심으로 일상이 변화하며 일상의 외부공간인 생활권공원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청년세대의 공간 이용 양상 역시 내부공간에서 외부공간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생활권공원 관련 연구에서는 아동과 노인세대 등 상대적으로 도보권 공원 필요도가 높은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진 한계가 있다. 생활권공원이 주거지 곳곳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대 청년세대가 생활권공원을 이용하는 경우는 타 세대에 비해 매우 적으며, 그 이유가 일상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생활권공원이 제공하는 활동의 기회들이 청년세대의 연령대를 배제하고 있기 때문은 아닌지의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 노인세대뿐만 아니라 청년세대의 이용행태 및 수요를 반영함으로써 전 세대를 어우르는 생활권공원 계획 및 설계가 고안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청년세대가 생활권공원을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와 실제 이용행태 간에는 공원 이용의 양적·질적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청년세대 297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COVID-19 이후 공원을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새롭게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수요와 실태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공원 이용빈도에서는 주 3회 이상 이용하고 싶어 하는 응답자가 과반수 이상인 51.4%로 나타났으나, 실제 주 3회 이상 공원을 이용하고 있는 비율은 11.5%에 불과했다. 공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종류 중 동적 활동에 대한 수요가 높았으나 실제로는 산책과 러닝을 제외한 동적 활동을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음식물 섭취 활동과 체육활동, 문화 및 교류 활동에 대한 수요가 있으나 실제 행태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전반적으로는 만족도가 높았으나, 편의시설과 체육시설에 대한 불만족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공원의 청결 및 유지관리, 산책로, 안전 등에 대한 개선과 벤치 및 테이블 확충에 대한 요구가 발견되었다. 둘째, 현장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해 생활권공원의 행태지원성과 물리적 환경을 정적활동, 동적 활동, 문화 및 교류 활동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활동의 종류에 따라 대규모 도시공원과 생활권공원에서의 행태지원성과 물리적 환경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생활권공원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정적활동은 공원에서의 휴식과 머무름과 관련된 활동으로, 앉기 및 휴식, 음료 마시기, 간식 섭취 및 식사, 책 읽기, 수업, 업무, 과제 등의 활동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러한 정적활동은 휴게시설, 문화 및 교양시설, 편의시설, 업무지원시설 등의 물리적 환경을 필요로 한다. 현장조사 및 사례조사 결과, 대부분의 생활권공원은 앉기와 자연감상과 같은 활동은 지원하고 있으나, 그 외의 활동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휴게시설, 문화 및 교양시설, 편의시설, 업무지원시설의 환경적 측면에서 모두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공원의 사례조사를 통한 공원에서의 활동 지원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벤치나 의자에 테이블을 결합하여 추가로 설치하고, 다양한 형태의 앉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여 정적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동적 활동은 신체 활동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활동으로, 산책, 자전거, 줄넘기 및 맨몸운동, 체력단련기구 이용, 농구와 같은 스포츠 활동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동적 활동은 이동 동선, 체육시설, 놀이시설 등의 물리적 환경을 필요로 한다. 조사 결과, 생활권공원은 전반적으로 동적 활동를 지원하는 물리적 환경이 다소 미흡하게 나타났다. 특히 소공원과 어린이공원에서는 체력단련기구와 산책로 외에는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이 없어 별도의 기구나 큰 공간을 필요로하지 않는 줄넘기 및 맨몸운동이나 체력단련기구 이용을 제외한 나머지 동적 행태들에 대해서는 한정적인 행태지원성을 지니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상 속 이동 경로의 일부가 되도록 보행, 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고려한 산책로를 제공하고, 활발한 신체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농구 골대, 클라이밍 암벽, 풋살코트 등의 시설들을 생활권공원의 유형과 규모별로 제안하여 동적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문화 및 교류 활동은 사회 및 자연과의 교류와 문화생활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활동으로, 만남 및 대화, 소비 및 중고거래, 식물 재배, 유튜브 및 OTT 감상, 공연 감상을 검토하였다. 문화 및 교류 활동은 휴게시설과 상업시설, 조경시설, 문화 및 교양시설의 물리적 환경 요소를 필요로 한다. 조사 결과, 생활권공원은 만남 및 대화, 유튜브 및 OTT 감상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소비 및 중고거래 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한다. 소공원과 어린이공원에서는 이외의 문화 및 교류 활동을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근린공원은 이에 비해 다양한 문화 및 교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모여앉을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고, 생활권공원 규모에 적용 가능한 가변형 및 이동형 시설을 활용하여 문화 및 교류 활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종합적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생활권공원의 면적의 한계상 모든 활동을 지원하는 물리적 환경을 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도보권에서 접근할 수 있는 구역의 공원들에 활동들을 전략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공원별로 다른 활동들을 지원하는 물리적 환경을 설치하면 도보권 내의 여러 공원을 이용할 경우 활동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설계전략을 구상할 수 있으며, 벤치나 테이블 등과 같은 소규모의 시설에 대해서도 섬세한 설계와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대 청년세대의 외부공간에 대한 이용행태와 수요를 파악하고 행태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생활권공원의 행태지원성과 물리적 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생활권공원의 행태적 풍요로움을 도모하고 기존에 건축물 내부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기능적 공간 계획 및 설계를 외부공간으로까지 확장하여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만, 공원의 이용행태 조사에 있어 코로나 등의 상황으로 인해 주관적인 온라인 설문에 의존하였으며, 표본이 편의 추출로 수집되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한 행태지원성 분석 등의 방법을 혼합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일상 도보권 내 생활권공원의 주이용자 집단으로 주요하게 언급되지 못했던 20대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공원 이용에 대한 실태와 수요를 섬세하게 고려하여 이를 반영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활권공원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도모하고 청년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