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7 Download: 0

복지태도에 대한 의식적 요인의 영향력과 계층의 조절효과 검증

Title
복지태도에 대한 의식적 요인의 영향력과 계층의 조절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Moderating Effect of Class on the 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Welfare Attitude
Authors
이주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주희
Abstract
To defend against the new social risks, we need to build up long-term discussions to grow the welfare state. In the last few years, there was a huge socio-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The government tried to make interventions such as emergency disaster relief fund. Those social policies hav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and public discourse on social rights. Identifying the logical composition of welfare attitudes is necessary not onl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olicies, but also to set the role of the welfare state based on democratic principles. This study analyzed how consciousness and class affect an individual’s attitude toward various welfare principles and policies. The panel regress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e data from “The Welfare Awareness Survey” provided by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data cover 2010, 2013, 2016, and 2019. One of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is measured as socio-economic inequality self-assessed by respondents. Another consciousness variable is care consciousness, which is measured as what extent each respondent supports defamilization of care. Through multiple panel regression analysis, I estimated how consciousness and income class impact welfare attitudes. Then it was verified whether class moderates the effect of each consciousness factors. The dependent variables, welfare attitudes, were measured using the respondents’ attitude toward redistribution, tax increases and universal welfare benefits. Also attitudes to specific policies, such as support for the poor and employment insurance, support for the elderly and family with children, were considered. The main results of testing the two-way fixed effect model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inequality in income and asset distribution and sense of injustice in taxation both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pport to redistribution and tax increase.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income class. Second, unlike other welfare bases,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attitude toward universal welfare benefits. Consciousness of inequality had a significant stronger effect for the low-income to oppose universal benefits. Conversely, it appeared that resistance against the traditional child-care norm was a stronger reason for the low-income to support universal benefits. Third, awareness of inequality in income and asset distribution was related to support for government funding on the four specific policies. No interaction effects were detected. Finally, income class moderates the influence of care consciousness on attitudes toward care policies.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mother role had negative influence on supporting government spending for care policies, only when the respondent was in lower class. Taken together, several implications for policy could be derived. First, inequality perception could be a strong driver to expand the role of the welfare state. It seems that consciousness of economic inequality can mobilize citizens. To make more citizens to be aware of structural inequality, the role of education and media would be very important to share the lives of other classes. Second, only for low-income class, inequality perception had negative impact on attitude towards universal benefits. It is due to the lack of public understanding. Emphasizing “more beneficiaries” might not be efficient policy rhetoric to get support from citizens. Policy promotion should inform that universal welfare can make more efficient redistribution and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beneficiaries. Also, we need more universal welfare benefits to make more citizens to experience how they work in real lives. Lastly, government must expand public care and actively promote its care policies. Even if individuals are in the need for public care, it is not sufficiently delivered to them. Public care system is not enough for the people in need to accept tax increases. Currently in Korea, government care support is limited to those who can apply the employment insurance. Apparently, public care is covering only a small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Care welfare is perceived as economic resources for upper-class workers. Since income inequality and care inequality are closely connected, policies should be set to relieve the burden of care for low-income families. This study showed inequality perception and care consciousness can be political resources to mobilize citizens. Economic polarization and inequality in care are expected to intensify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track the trend of relationships among conscious factors, socio-economic class and welfare attitudes. ;새로운 사회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복지국가의 확충을 위한 장기적 논의가 필요하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와 이에 따른 전국민 재난지원금과 같은 정책적 개입은 사회적 권리에 대한 논의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복지태도의 논리적 구성을 확인하는 연구는 개별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려는 목적만이 아니라, 민주주의적 원칙을 기반으로 복지국가를 확충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의식적 요인과 계급이 여러 복지기조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했다.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에서 제공하는 “복지인식조사”의 2010년, 2013년, 2016년, 2019년 자료를 토대로 패널회귀모형을 구성했다. 의식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의식과 돌봄의 탈가족화에 대한 의식으로 측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복지태도에 대한 각각의 영향력을 추정한 다음, 의식적 요인의 영향력이 계층에 따라 조절되는지 검증했다. 복지태도는 정부의 재분배와 증세, 보편적 복지급여에 대한 태도, 빈곤층 생활지원과 실업대책 및 고용보험을 위한 지출에 대한 태도, 노인과 아이를 키우는 가족 지원을 위한 지출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원고정효과 모형을 검정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소득과 자산 분배의 불평등 의식과 조세 분담의 불평등 의식은 정부의 재분배와 증세에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며, 계층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둘째, 다른 복지기조와 달리, 보편적 복지급여에 대한 태도에는 의식적 요인에 계급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소득층이면서 소득 불평등을 높이 의식할수록 보편적 급여에 더 반대했다. 반대로, 저소득층이면서 자녀 돌봄의 탈가족주의 의식이 강할수록 보편적 급여를 더 지지했다. 세번째, 소득과 자산 분배의 불평등을 더 많이 의식할수록 4가지 세부 정책의 지출에도 더 찬성했다. 계층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자녀 돌봄에 대한 탈가족주의적 가치관과 돌봄 관련 정책에 대한 태도 간 관계에는 계층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저소득층이면서 자녀 돌봄의 탈가족주의 의식이 강할수록, 노인과 아이를 키우는 가족 지원을 위한 지출 확대에 더 반대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구조적 불평등에 대한 문제의식이 시민에게 복지국가의 역할 확충을 정치적으로 요구할 가장 유력한 동인이다. 불평등 의식이 계급의식을 대리할 잠재력이 충분히 보이며, 구조적 불평등에 대해 더 많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기 위해 다른 계층의 삶을 공유할 교육과 미디어의 역할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저소득층일 때 개인의 불평등 의식이 높을수록 보편 급여를 반대하는 것은 보편 복지의 기능에 대한 대중의 이해가 부족한 데에서 기인한다. 수혜자 확대에만 집중하면, 정책 지지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없다. 재분배와 수혜자를 향한 차별을 방지하는 보편 복지의 기능을 알릴 수 있도록, 정책 확대와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적 돌봄의 실질적 확대와 복지국가의 돌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개인이 공적 돌봄의 필요성을 높이 인지하더라도, 증세로 인한 가계 지출을 감수할 만큼 복지국가의 돌봄 기능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있다. 현재 돌봄 복지는 피고용보험 자격에 따라 한정되어 복지의 사각지대가 매우 넓다. 돌봄 복지가 오히려 상위계층 노동자의 경제적 자원으로 인지되는 실정이다. 소득의 불평등과 돌봄의 불평등은 긴밀히 연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돌봄 부담을 덜어줄 정책적 방안과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제적 양극화와 돌봄의 불평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현 시점에서, 불평등 의식과 돌봄 의식이 시민을 정치적으로 동원할 정치적 자원이 될 수 있을지 밝혔다. 복지태도에 대한 의식적 요인과 계급 간 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그 추이를 추적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