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9 Download: 0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and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uthors
홍채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만 3~5세 유아 291명과 이들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버지가 질문지의 모든 문항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 놀이참여를 측정하기 위해 Stevenson 등(1998)이 제시한 놀이유형과 이숙재(1984)의 놀이참여 단계를 참고하여 원희영(1997)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Pease 등(1979)이 개발한 부모양육척도를 노현미(1998)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노현미(1998)의 번안에서 포함하지 않은 2문항을 포함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은 Gioia 등(2000)의 아동용 실행기능 척도를 Isquith 등(2004)이 유아용으로 수정 및 타당화한 실행기능 평정척도-유아용을 서정은과 박혜원(201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은 윤태정(2015)이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개발한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양육행동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의 놀이참여는 유아의 실행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실행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아버지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많이 참여할수록 유아의 실행기능 수준이 높았다. 셋째, 유아의 실행기능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유아의 실행기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에 과몰입 되는 경향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해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유의하였지만,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해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간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아버지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참여할수록 자녀의 실행기능 수준이 높았고, 실행기능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는 스마트폰에 과몰입 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버지 놀이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으며, 이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양육참여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and parenting behavior and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A total of 291 fathers of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age of 3 to 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athers completed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2 and AMOS 21.0 statistics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play participation and parenting behavior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second, fa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In contrast, fathers’ parenting behavior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thir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Lastly, the indirect effect fathers’ play participation had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was significant. In contrast, fathers’ parenting behavior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mediating the effect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play participation and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excessive smartphone immer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data for the fathers’ parenting education and fathers’ play particip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