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과 더불어돌봄중심사회로 나아가기

Title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과 더불어돌봄중심사회로 나아가기
Other Titles
Moving toward a Care-Oriented Society with Korean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Authors
김우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sect the exceptionalism of human care, and suggest how to move toward a care-oriented society with Korean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Rather than arguing between ‘the development of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human care worker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one is being treated as more valuable than the other and who is benefiting from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s of older women living alone using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refers to the ‘technology that establishes a caring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AI and IoT’. This study focuses on Hyo-dol’s smart care robots ‘Hyodol/Hyosoon’ and SKT's AI speaker ‘Aria’.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swiftly solve the elderly care problems through these technologies and Korean companies have been using the crisis of care as an opportunity to create profits. Secon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companies, older women living alone with low income establish a relationship of giving and receiving care with Hyodol/Hyosoon or Aria. In fact, this fragile relationship is sustainable thanks to the efforts of human mediators such as social workers, care workers, and ICT care managers.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is a hybrid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mechanical/human’ in that it can provide care to and receive care from users, and acquires an image of efficiency and autonomy thanks to human workers’ ‘melting labor’. The more human work melts and becomes invisible, the more AI seems to take care of the elderly on its own. Third, this study criticizes the technophilic Korean smart elderly care industry and further suggests three ways to head to a care-oriented society along with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It emphasizes that (1) we need to resist the nationalist, capitalist, androcentric view of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2) we need to take detailed care for the technology and the care workers, and (3) research on posthuman feminist care should be expanded beyond the human-centered view of caring. This study does not overly romanticize or fear the changes that occur when elderly care,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carried out by families, especially women, is now outsourced to technology. This study expands feminist care research by considering smart elderly care technology as ‘posthuman care’ in which humans and non-humans are intertwined and provide care for the elderly together.;본 연구는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에 관한 논의가 ‘과학기술은 돌봄의 영역에서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가?’를 중심으로 낙관론/비관론, 이성/감정, 인간/기계, 남성/ 여성, 생산적인 성인/‘비생산적인’ 노인 등의 대립 구도로 고착화되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4차 산업혁명으로 ‘기계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구분이 더욱 불분명해진 포스트휴먼 전환점에서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은 인간 돌봄 노동자와 경쟁하는 대상이 아니라 함께 노인을 돌보는 비인간 행위자라고 할 수 있 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스마트 돌봄로봇이나 인공지능 스피커는 사회복지사, 요양 보호사, 보호자 등 없이는 노인을 원활하게 돌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연구자는 기술과 인간이 뒤얽혀 노인을 돌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비인간의 돌봄과 인간의 돌봄 중 어느 하나가 더 가치 있는 것으로 다루어지게 되는지, 이로써 이득을 얻는 자는 누가인지를 파헤칠 것이다.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인간 돌봄제공자의 사회적 기여에 대한 재평가는 물론, 돌봄의 스마트화가 돌봄의 탈가족화와 상품화를 넘어 돌봄의 탈여성화에까지 도달할 수 있게끔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관심을 불러오고자 한다. 연구자는 문헌연구, 심층면담, 참여관찰의 연구방법을 토대로 1인가구 고령여성 5명과 그들의 돌봄제공자 11명 총 16명의 연구참여자를 만났다. 연구자가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을 이용하는 1인가구 고령여성을 주요 연구참여자로 설정한 배경에는 한국의 스마트 노인 돌봄 정책의 주 대상이 1인가구 노인이며, 그 중 1인가구 고령여성이 성공적 노화 담론과 가장 멀면서도 가장 가까운 존재라는 점에 있다. 또한 연구자는 국내 스마트 노인 돌봄 정책 동향과 대표적인 사례들을 정리하고, 인간-기술의 관계보다는 인간-기술-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1인가구 고령여성을 중심으로 한 스 마트 노인 돌봄 연결망의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에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이란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토대로 인간과 돌봄관계를 교섭하고 협상하며 네트워크를 만들어 가는 행위자로서의 기술을 일컫는다. 어느 국가보다 빠르게 초고령사회 진입 문턱에 서게 되었고 어느 국가보다 민감하게 4차 산업혁명에 반응하고 있는 한국은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을 통해 ‘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인돌봄인력 부족 문제의 해결’과 ‘새로운 시장 창출를 토대로 경제 회복’이라는 사회경제적 목표를 한꺼번에 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국의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에 대한 열망은 인간과 기술의 상호의존성을 드러내는 방향이 아니라, 돌봄을 ‘탈인간화’하여 인간을 기술보다 열등한 것으로 위치 짓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둘째, ㈜효돌의 스마트 돌봄로봇 ‘부모사랑 효돌·효순이’와 SKT의 인공지능 스피커 ‘아리아’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또는 응급안전알림서비스의 일환으로 저소득층 및 차상위계층의 1인가구 노인들에게 제공된다. 그중 유자녀 1인가구 고령여성들은 한평생 자녀를 뒷바라지해왔지만 그들에게 돌봄을 요구하기 어려워하며, 이런 상황에서 그녀들은 기술을 의인화 및 가족화하면서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과 돌봄을 주고받 는 관계를 형성한다. 사실 덜컹거리기 쉬운 이 둘의 관계는 사회복지사, 생활지원사, ‘ICT 케어 매니저’ 등 인간 매개자들의 노력을 토대로 지속가능해진다. 정리하자면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은 1인가구 고령여성과 돌봄을 주고받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인간 노동자들의 ‘녹아내리는 노동’에 빚지어 효율성과 자율성의 이미지를 획득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기계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경계를 허무는 혼종이다. 셋째,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돌봄 연구자들과 포스트휴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들의 논의를 토대로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과 함께 돌봄중심사회에 도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1)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의 국가주의적, 자본주의적, 남성중심적 과학관에 저항해야 할 뿐만 아니라, (2)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을 위한 돌봄과 돌봄노동자를 위한 돌봄이 각각 필요하며, (3) 인간중심적 돌봄관에서 벗어난 포스트휴먼 페미니스트 돌봄 연구를 발전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전통적으로 가족, 그 중 여성들이 수행해왔던 노인 돌봄이 과학기술에 아웃소싱되면서 일어나는 변화를 지나치게 낭만화하거나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지금과는 다른 방식의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을 상상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노인 돌봄의 여전히 여성화된 그러나 ‘탈인간화’되어가는 흐름을 포착하고, 돌봄 부정의를 과학기술로 손쉽게 해결하려는 한국 스마트 노인 돌봄 정책의 기술만능주의에 문제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돌봄에 대한 인간중심적인 정의를 경계하면서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과 함께 ‘모두가 돌보고 돌봄을 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페미니스트 돌봄 연구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