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퀴어 여성 GL 향유자들의 문화실천에 관한 연구

Title
퀴어 여성 GL 향유자들의 문화실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ltural Practices of Queer Women in the GL(Girls’ Love) Community
Authors
박보람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본 연구는 퀴어 여성들의 문화실천 능력을 드러냄과 동시에 GL문화의 여성주의적 잠재성을 드러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GL이 단순히 문화 콘텐츠로서 논의되는 것을 넘어서 GL을 중심으로 한 퀴어 여성의 문화 조직 활동을 두루 포괄하는 분석을 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GL을 향유하는 퀴어 여성들의 정체성 구축 과정에서 GL문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퀴어 여성들은 GL을 경유해 스스로와 타자, 나아가 세계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이러한 지점들이 어떻게 주류 문화에 저항할 가능성을 주는가를 탐색하였다. 즉, 퀴어 여성들이 GL문화를 향유하면서 현 사회의 이분법적 성 고정관념과 가부장제, 이성애중심주의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대응하며 저항해나가는가를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퀴어 여성들은 GL문화를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성소수자 차별적인 사회에 순응하지 않는 일종의 대항 전략을 수립하고 있었다. GL 향유는 연구참여자들이 성소수자 정체성에 정박하는 과정에 유의미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이러한 정체성을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GL문화는 이를 경유해 형성되는 퀴어 친화적 공동체가 기능하게 하고 이러한 공동체로 편입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험은 더는 자신을 숨기거나 기만하지 않고 ‘그들 존재 자체’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용기를 얻게 되는 기반이 된다. 더불어 GL이 그 문화가 내재적으로 담지한 퀴어성 때문에 소수만이 즐기는 장르라는 점은 퀴어 여성들이 퀴어 정체성과 GL 향유자 정체성을 더욱 동일시하게 만들었다. 둘째, GL을 즐기는 과정에서 퀴어 여성들은 새로운 여성 간 관계를 모색하고 전에 없던 여성 캐릭터를 탄생시키는 등‘여성’에 대한 사유를 확장하고 있다. 이들은 GL을 통해‘다양한 여성성’에 대한 긍정을 경험하는 과정을 거쳐 여성 주체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GL 성애물의 경우 어떠한 기존 재현물의 향유를 통해서도 충족하기 어려웠던 퀴어 여성들의 특유의 성적 욕망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창조하고 또한 포용하는 공간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더불어 2D의 퀴어성이 ‘여성성’에 관한 생각들, 그리고 유동적인 성역할과 가시적으로 만나면서 기존의 섹슈얼리티에 균열을 내고 있다. 셋째, GL을 향유하는 일은 세상을 ‘여성’ 중심으로 보는 힘을 기를 수 있게 한다. 특히 GL 향유가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일종의 여성주의적 문화 운동의 성격을 띤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했다. 퀴어 여성의 미시적인 생활상과 세세한 상황 묘사가 있는 이야기를 향유하는 행위가 흔히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지는 남성 중심의 상황 해석 기제에서 탈주해보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곧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적 실천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여성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과 같은 실천뿐만 아니라, 주류 문화물을 새로운 관점에서 전유적으로 독해하는 시도들이 퀴어 여성으로 하여금 세계를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해석하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GL문화가 퀴어 여성들이 자생적으로 발전시켜온 것이라는 사실과 함께, 이때 퀴어 여성들의 독특한 문화 향유 방식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퀴어 여성들에게 GL은 자신의 정체성을 지니고도 문제없이 향유할 수 있고 외려 그 때문에 더한 즐거움을 주는 특별한 문화이다. 이러한 GL의 향유는 단순히 성별 정체성, 성적 지향뿐 아니라 자신의 삶 전반과 직결된 활동이다. GL문화 속에서 퀴어 여성 향유자들은 자신이 사회 속에 놓여 있는 조건과 입장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주류 문화에 대한 균열과 저항을 시도하고 또 실패했으며 이 연구는 그러한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를 통해 개개인의 조건과 GL문화가 상호적으로 작동함을 보이고 동시에 역동적으로 재구성 중임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에 참여한 퀴어 여성들은 GL을 향유하기 전까지는 불가능했던 새로운 연대와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서 나름의 문화실천을 하고 있었다. 이는 퀴어 여성들이 이 문화를 경유해 스스로를 주체로서 위치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현재는 많은 지표가 보여주듯이 양적으로나 인지적으로나 GL문화는 사람들의 관심 밖에 있으며, 많은 오해와 곡해의 혼재된 양상 속에 놓여 있다. 따라서 퀴어 여성들의 문화실천이 결집된 GL의 가치를 평가하는 작업과 더불어, 이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재의미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GL이 본격적으로 여성주의적 문화로 ‘발굴’되어 여러 연구가 시작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깃든 시도이기도 하다. 이번 연구의 한계와 아쉬움을 뛰어넘어 GL에 대한 많은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ltural practices of queer women and the feminist potential of the GL(Girls’ Love) culture. Beyond simply discussing GL as cultural content,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queer women’s cultural and organizational activities focusing on GL. In doing so, the study tried to explain the role of GL cultur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the queer women who enjoy GL. In particular, given that the queer women used GL to interpret themselves, others, and the world in a new way, the study explored how these interpretations gave them the possibility to resist mainstream culture.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ored how the queer women perceived, responded to, and resisted the binary gender stereotypes, patriarchy, and heterosexism in society while enjoying the GL cultur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eer women reflected on themselves adapting to the GL culture and established a kind of counter-strategies that did not conform to the heterosexist society. Enjoying GL not on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tudy participants' formation of queer identity, but also helped them positively reinforce the identity. Moreover, the GL culture built a queer-friendly community in which the queer women could fit in. This served as the basis of courage for them to live their own life without hiding or deceiving themselves. In addition, the queerness of GL and its nature as a non-mainstream genre made the queer women equate queer identity to GL enjoyer identity more. Second, in the process of enjoying GL, the queer women expanded their ideas about ‘women’, such as exploring new relationships between women and creating female characters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Using GL, they experienced affirmation of 'diverse femininities' and expanded the possibilities of female subjects. Furthermore, GL erotica served as a space to directly express, create, and embrace the unique sexual desires of the queer women that were rarely represented in the existing media. As the queerness of 2D visibly met with ideas about 'femininity' and fluid gender roles, it deconstructed the existing notion of sexuality. Third, enjoying GL made possible the empowerment of seeing the world from women’s perspectives. In particular, enjoying GL could be characterized as a feminist cultural movement in daily life; enjoying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microscopic life stories and situations of the queer women provided experiences of breaking away from the man-centered interpretation mechanism that was taken for granted. This, in turn, led to resistance practices against the patriarchal ideology. Not only direct interventions on women's issues, but also attempts to newly appropriate the mainstream culture opened up possibilities for the queer women to interpret the world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L culture has been developed on the queer women’s own initiative, and that there have been unique ways in which the queer women enjoy the culture. For the queer women, GL was a unique culture that could be enjoyed even with their ‘problematic’ identity, or, the culture that could be enjoyed more because of the identity. Enjoying GL was related to gender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as well as one's life as a whole. The queer women who enjoyed GL culture tried and failed to resist and deconstruct the mainstream culture in new ways considering the conditions and positions in which they were placed in society; This study intended to reveal such possibilities and impossibilities, and as a result, revealed that individual conditions and the GL culture operated mutually and at the same time, were being dynamically reconstructed. The queer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practiced their own culture based on new solidarity and activities that were not possible until they enjoyed GL. This has a significance that they used the culture to position themselves as subjects. However, as man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show, the GL culture is currently out of people's attention and is subject to many misunderstandings and misinterpret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values of GL, where the queer women's cultural practices are concentrated, and to re-make the meaning of this culture. This study is part of the aspiration that GL will be ‘discovered’ as a feminist culture that warrants more research.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on GL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