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4 Download: 0

1920년대 한국 현대시의 정동 시학

Title
1920년대 한국 현대시의 정동 시학
Other Titles
A Study on Affect Poetry in Modern Korean Poetry in the 1920s - Based on Hwang Seokwoo, Oh Sangsoon, and Lee Janghee -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끝별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1920년대 한국 현대시를 ‘정동 시학’의 관점에서 살피기 위해 정동 개념의 층위를 구체적으로 나누고, 당대 독보적인 시선을 가진 황석우⋅오상순⋅이장희 세 시인을 발판 삼아 정동 시학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 있다. 기존 시사(詩史)에서 1920년대 시 연구는 당대 시의 경향이 서구 사상에 편향되어 있다는 이유로 감정의 문제를 사유 또는 사조에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뒤이은 2000년대 이후의 연구 역시 시에 나타난 감정보다 정치적인 요소에 집중하여 1920년대 시를 동시대 사조에 대한 ‘모방’으로 해석하는 차원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동’을 통해 1920년대 시를 새롭게 살펴보고자 한다. 1920년대 시 연구의 한계였던 사조 중심 문학론에서 벗어나 시를 정동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념 뒤에 가려진 감정의 민감성을 포착하고 1920년대 시를 새롭게 다시 읽는 연구의 초석을 다지고자 한다. 1920년대 시의 정동 양상을 포착하기 위해 본 논문은 질 들뢰즈와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 개념을 전유해 감각⋅사유⋅윤리의 층위로 나누고, 정동 개념이 갖는 개념적인 한계를 넘어 방법론으로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정동의 개념적 역설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통해 기존 연구사에서 정형화되지 않은 세 시인을 중심으로 정동 시학을 확립함으로써 연구에 유효한 방법론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황석우가 초기시에서 상징주의를 도입했음에도 본 연구는 황석우 시에서 정동의 단초가 발견됨에 주목하였고, 1920년대 후기 시에서는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초월적인 시도를 찾아내고자 했다. 초기시편에서는 불구적인 몸과 이들을 구성하는 그로테스크적인 공간이 나타나는데, 이때 대상의 부재를 웃음으로 극복하려는 주체의 시도는 ‘소통’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후기시편인 『자연송』에서는 인격화된 자연을 묘사하면서 인간의 성애적인 정동 양상을 감각화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 시집에서 황석우는 여성의 몸과 자연의 성질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남성과 여성의 에로티시즘적 관계를 몸의 이미지로 감각화함으로써, 대상의 욕망을 성애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오상순 시의 경우 1920년대 허무주의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횡단적인 사유와 허무로부터 생성되는 주체의 의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오상순은 희생과 고통이 창조의 필연성임을 강조하고, 자신에게는 고통과 허무의 감정이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생을 지속하기 위한 사유임을 밝힌 바 있다. 또한 그의 사유에서 발견된 ‘공(空)’의 역설은 주체가 죽음의 탐색을 통해 낭만적인 생성을 이뤄낼 잠재성을 보여준다. 나아가 오상순 시에 두드러지는 고통과 슬픔은 화자의 자발적인 의지로서 해석되며, 주체의 우주적인 사유를 위해 허무를 체화할 뿐 아니라 그것을 전복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이장희 시에서는 주체의 윤리적인 양상을 정동으로 고찰하였다. 이장희 시에 나타나는 계절과 저녁이라는 시간성을 주의 깊게 살피면, 저녁의 시간을 주체의 세계를 구성하는 존재론적인 시간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지속되는 시간 안에서 주체가 불안을 극복하려는 가능성을 발견하면서 자신의 존재를 노정하는 윤리적인 성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성찰은 타자화된 대상과 이미지를 향한 날카로운 분화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특히 색채의 변화가 이장희 시에서는 정동의 절제를 감각으로 구체화한 결과임을 확인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정동 개념의 층위를 독창적으로 정립하면서 1920년대 시에 나타난 다양한 정동의 양상을 살피고, 한국 현대시 연구의 새로운 자장을 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 정동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이유는, 감정이 지나치게 과잉되었거나 절제되어 있는 1920년대 시를 해석하기 위해 정동이 유효한 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은 또한 새로운 관점에서 1920년대 시를 재평가하고,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 또는 그로 인한 단절적 역사로 여겨져 온 기존의 문학사적 흐름에서 어떠한 연속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시도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즉 한국 현대 시사를 직선적으로 파악해 온 일련의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재고찰하며, 현대시의 흐름을 ‘순환’하는 것으로 재배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배제되고 소외되어 온 것들을 아우를 수 있는 순환적 사유, 그것이 정동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parate the concept of "Affect" in order to examine modern Korean poetry in the 1920s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Poetry, an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Affect Poetry using the three poets Hwang Seok-woo, Oh Sang-soon, and Lee Jang-hee, who have unique views of the time. In the existing current history, the 1920s' poetry research regarded the issue of emotion as secondary to thought or thought because the trend of the time was biased toward Western thought. The Subsequent research after the 2000s also focused on political factors rather than emotions appearing in poetry and only interpreted poetry in the 1920s as a 'Mimesis' to contemporary trend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new poem in the 1920s through Affect. By deviating from the theory of thought-oriented literature, which was the limitation of poetry research in the 1920s, and considering poetry as emotion, the sensitivity of emotions hidden behind the ideology is intende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new poetry research in the 1920s. In order to capture the emotional aspect of poetry in the 1920s, this paper divides the emotional concept of Gilles Deleuze and Brian Massumi into layers of sense, reason, and ethics and proceeds to embody it as a methodology beyond the conceptual limitations of the emotional concept. Through the work of embodying the conceptual paradox of Affect,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y valid for research is explored by establishing Affect poetry centering on three poets who were not formalized in the existing research history. Although Hwang Seok-woo introduced symbolism in his early poems, this study noted the discovery of the beginning of Affect in Hwang Seok-woo's poems, and in the late 1920s, he tried to find transcendent attempts beyond human limits. In the early psalms, an impotent body and a grotesque space that makes them up appear. At this time, the subject's attempt to overcome the object's absence with laughter is understood as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late poetry revealed 『Natural Song』, which depicts the personified nature and senses the emotional aspect of human sexuality. In this book of poetry, Hwang Seok-woo recognizes the desire of the object sexually by organically connecting the body with the nature of the woman's body and sensitizing the erotic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ith the image of the body. In the case of Oh Sang-so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will of the subject generated from transverse thinking and futility that could not be found in nihilism in the 1920s. Oh Sang-soon emphasized that sacrifice and pain are the inevitability of creation and said that, for him, the feelings of pain and futility are the reasons for continuing his life. In addition, the paradox of "Emptiness" found in his thoughts shows the potential for the subject to achieve romantic creation through the search for death. Furthermore, the pain and sadness that stands out in Oh Sang-soon are interpreted as the speaker's voluntary will. They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subvert and embody futility for the subject's cosmic reasons. In Lee Jang-hee's poem, the ethical aspect of the subject was considered as Affect. When one carefully examines the season and evening that appear in Lee Jang-hee's poem, the time of evening can be seen as an ontological time that constitutes the world of the subject. In addition, it was reviewed that ethical reflection was being made to expose one's existence while discovering the possibility of the subject trying to overcome anxiety within the duration of time. This reflection is caused by sharp differentiation toward the other object and imag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olor change is the result of the sensitivity of the moderation of static in Lee Jang-hee's poem.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various aspects of Affect that appeared in the 1920s while unique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Affect, and attempts to open a new horizon for studying modern Korean poetry.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Affect because it can be a valid framework to interpret poems in the 1920s, where Affects was excessively excessive or restrained. This approach is also in line with attempts to re-evaluate 1920s poetry from a new perspective and discover some continuity in the existing literary-historical trends that have been considered a transition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or the resulting disconnected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ritically reconsider the researchers who have grasped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a straight line and rearrange modern poetry's flow to 'Cycle.' Also, the study expects to show that circular thinking that can encompass things that have been excluded and alienated is possible through "A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