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2 Download: 0

애착대상의 감성표현 연구

Title
애착대상의 감성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Attachment Object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ttachment figure and thereby, express the process of the exploration emotionally with forms of the straight lines and colors. Attachment means a strong and sustainable emotional sense of rapport toward a certain object. The attachment formed in the earlier days after birth would continue to be related with its figure until the adulthood. Human beings form a relationship of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during infancy, and thereafter, would have some unique objects of attachment, and through such objects or things, we would experience the first process or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our parents. However, the child who could not afford to form an attachment to his or her parents would show an unstable attachment symptom, which would be relieved through a psychological sympathy with an object, and thereupon, would live his or her life. To the researcher, the attachment figure would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reative activities, while being a source of the arts activiti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things and places as objects of attachment for the period from researcher's childhood to present, and thereby, producing a work not depicting any specific forms but using colors, lines and materials simply. The colors not only affect our sense of sight but also evoke an emotional response as important tools of expressing our emotions. So, the researcher used the colors as means of expressing both the objects of attachment and the individual emotions and thereby, explored a stable sense of balance and tension and some formative expressions thereof through certain overlays of the color fields. For the theoretical reviews, the researcher explains about the assumption that the attachment would show up in not only the primary rearers but also the places by referring to its meaning, definition and object relation theory. The researcher has sampled a stuffed doll that is deemed closely related with her memory of the childhood. Even now, the stuffed doll is the thing stabilizing researcher psychologically.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nalyze researcher's psychological stat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US psychologist Harry Harlow's theory of attachment. He conducted an experiment by separating a baby monkey from its mother and showing it a fake mother made of wire and terry cloth.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by monkey would feel a strong sense of stability for its fake mother. Namely, the baby monkey would have an object of attachment. In order to express the sympathy with the object emotionally, the researcher has examined not only the psychological but also some philosophical views. The emotion is perceived through five senses. When we recognize an object, it would evoke our memory and experience or a psychological response. Such an emotion has no clear form. Therefore, we can afford to express our feeling through the external senses. In order to review how such an emotion would be shown and expressed in the arts, the researcher has reviewed the art works produced by artists such as Gogh, Kandinsky and Matisse.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 has examined the abstract expressions using the lines, overlay and colors. Since the experience of looking at an object would not specifically be remembered due to individuals' subjectivity, the form is the basic element of arts expressed freely. In this sense, the researcher attempts to remember the memory and places by using the lines or kind of forms and evoke an emotional response by using the colors. The stable straight lines repeated through overlaying would make us calm and comfortable only to render a deeper meaning of the work. The lines overlaid with diverse colors would strike a harmony phasedly, showing an abstract beauty. In order to explain about such phenomenon, the researcher suggests the works produced by Mark Rothko or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color field abstraction and thereby, analyzed their abstract expressionism. The fact that Rothko used the colors as means of expressing some emotion would influence researcher's works. Since the colors function to stimulate the human emotion, they may well be used to express our emotion. Based on such a theory, the researcher reviews the color system, neutral colors and meanings of color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the theme. In order to produce an art work, the researcher selected an transluscent silk organza and thereby, conceived a color mix. The work overlaying the color bands of diverse tones on the rectangular canvas would well render a natural gradation effect, which would be very proper for an emotional expression. The texture rendered by unwinding the sections of organza would be reminiscent of the warmth felt through the object. In short, such a design would be proper to evoke the emotion, memory and experience from the past to present. Through such a process, the researcher could interpret and reflect on the past and current emotions evoked through the object of the attachment and thereby, could correctly establish her inside center. Moreover, through such a process, the researcher could well confirm that an emotional expression featuring lines, colo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ould well be possible.;본 논문은 애착대상에 대해 탐구한 과정을 직선의 형태와 색채로 표현한 감성표현 연구이다. 애착이란 특정 대상에 대해 형성되는 강한 감정적 유대감을 말한다. 생후 초기에 형성되며 유아기를 거쳐 성인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관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유아기에 한번 부모와 애착 관계를 형성한 뒤 자신만의 고유한 애착 사물을 가지게 되는데, 이 사물을 통해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이라는 최초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부모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하지 못한 아동은 불안정한 애착 증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대상물과의 심리적 교감을 통해 해소하게 되며 이를 토대로 삶을 영위해간다. 본인에게 애착대상은 창작활동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작품 활동의 원천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착 시작점인 유년 시절부터 현재 애착대상이 된 사물과 나아가 장소에 대한 기억을 연구함으로써 구체적인 형상을 묘사하지 않고 단순히 색, 선, 재료 만을 사용하였다. 색은 단순히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로써 감성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본인은 색을 애착대상과 더불어 장소에서 받은 감정을 감성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여 색 면의 일정한 중첩을 통한 안정적인 균형감과 긴장감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조형적 표현을 탐구했다. 우선, 이론적 연구에서는 애착이 주 양육자일 뿐만 아니라 대상과 장소에서도 나타난다는 근거를 애착의 의미와 정의 그리고 대상관계이론을 통해 설명하였다. 대상의 선정에 있어서 유년 시절의 추억과 기억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털 인형을 선택했는데 털 인형은 성인이 된 현재까지도 본인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사물이다. 이와 같은 심리적 상태를 분석하고자 미국의 심리학자 해리 할로우의 애착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였다. 해리 할로우는 아기 원숭이를 어미로부터 격리시켜 철사로 된 어미와 테리 소재로 덮여 있는 어미 원숭이를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아기 원숭이는 부드러운 테리 소재로 된 어미에게 강한 안정감을 느낀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원숭이 애착 실험을 통해 포근한 털 인형을 통해 안정감이 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대상을 통해 느꼈던 감정을 감성적으로 표현하고자 심리학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에서도 알아보았다. 감성은 오감 중 감각기능으로 지각되는 것으로 어떠한 대상을 인지함으로써 기억과 경험 속에서 심리적 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명확한 형태를 띠고 있지는 않는다. 이때문에 대상에 대한 표현은 외부적으로 받은 감각을 통해 감성적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감성이 예술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표현되는지 고흐, 칸딘스키, 마티스의 작품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로는 선을 이용한 추상 표현 및 중첩과 색채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개인의 주관이 반영되어 구체적으로 기억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형태는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는 예술의 기본 요소이다. 이러한 점에서 형태인 선을 이용해 기억과 장소를 다시 되새기고 색의 사용을 통해 감성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중첩을 통해 반복되는 직선형의 안정적인 선들은 차분함과 편안함을 주어 작품에 좀 더 깊이있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다양한 색으로 겹쳐진 선들은 단계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추상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데,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색면추상의 대표 작가 마크 로스코의 작품을 제시하면서 추상표현주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로스코가 궁극적으로 특정한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색을 사용했다는 점은 본인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색채는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성을 표현하기에 매우 적절하다. 이를 토대로 색채체계, 중성색, 색채의 의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주제에 대한 표현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작품 제작을 위해 먼저 반투명한 특징을 가진 실크 오간자를 선택하고 색의 배합을 구상하였는데 사각형의 캔버스 위에 다양한 톤의 색 띠를 중첩하는 작업은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어 감성적 표현을 하는데 매우 적절했다. 오간자의 절단 면을 하나하나 풀어 생긴 질감은 대상을 통해 느꼈던 포근함을 연상케 하였다. 이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연결되어 느낀 감정, 기억, 경험을 보여주기에 적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유년 시절부터 현재 성인이 되어서까지 함께 한 애착대상을 통해 기억과 경험으로 인해 나온 감정을 심리적, 조형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돌아봄으로써 내면의 중심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또한 선과 색채 그리고 재료의 특성을 살린 표현이 감성적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