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3 Download: 0

매끄러운 존재들을 통한 삶에 대한 사유

Title
매끄러운 존재들을 통한 삶에 대한 사유
Other Titles
Thoughts about Life through Smooth Things -Focused on My Paintings -
Authors
최지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경원
Abstract
본 논문은 매끄러운 존재들을 통해 삶을 반추하고, 이를 현시대의 삶에 대한 이해로 확장하여 표현한 본인 작품을 서술한 연구이다. 매끄러운 존재들은 본인의 작업에 등장하는 대상으로서, 매끄러운 표면을 지닌 ‘도자기 인형’을 의미한다. 본인에게 매끄러운 표면은 아름답지만 불안한 감정으로 발현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삶이 양가적인 모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모습을 바라보고 파악하고자 한다. 21세기의 현대인들은 완벽한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자신을 스스로 착취한다. 오로지 결과만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사회의 분위기는 현시대의 사람들에게 큰 무게감을 안겨 준다. 견딜 수 없을 때까지 극단적으로 스스로를 착취하다 보면, 결국 한 개인은 무력함에 빠지게 된다. 더불어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며 미디어에 둘러싸여 수많은 정보와 이미지들에 강제적으로 노출되는 상황은 개개인을 더욱 무감각하게 만든다. 전 세계적으로 찾아온 코로나19는 개인을 고립시켜 단절감이 가중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본인은 이와 같은 사회에 내재된 개인의 무감각하고 고립된 정서를 포착하고 이러한 정서를 매끄러운 존재인 도자기 인형에게 투영하여 작품으로 표현한다. 도자기 인형은 속이 텅 빈 공허함을 덮어 내기 위해서 겉으로만 살아 있는 척하는 껍데기로서 완벽하게 기능한다. 본 논문은 크게 작업의 동기와 이론적 토대가 되는 틀로 구성되며, 작품 분석으로 이어진다. Ⅱ장의 A절에서는 ‘촉각적 시각성’을 중심으로 본인이 대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본인에게 회화 충동이 일어나는 순간은 매끄러운 표면을 바라볼 때이다. 두 눈을 통해 대상의 매끄러운 표면을 촉각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본인 작업에 중요한 시발점이 된다. B절은 매끄러운 표면이 가지는 미학과 더불어 바니타스 정물에 내재한 죽음의 기표들을 연구한다. 본인이 도자기 인형에 매료된 계기를 함께 서술하며, 아름답고 화려하지만 그 속은 텅 비어 있어 쉽게 깨질 것만 같은 매끄러운 표면의 이중적인 특징을 살피고, 이것이 우리 삶의 모습과 겹쳐 보임을 밝힌다. 이는 매끄러운 표면 이면의 공허함을 화려함으로 채우려는 우리의 욕망을 반영한다. 또한 본인 작품에 등장하는 도자기 인형을 비롯한 다양한 소재들을 삶의 덧없음을 의미하는 바니타스의 개념과 함께 분석한다. 이를 통해 17세기 바니타스 정물에 내재한 죽음의 기표들을 분석하면서 이를 현재의 시점과 교차시켜 비교한다. C절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작품들을 예시로 제시하여 이를 본인 작품과 비교 분석한다.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 즉 익숙한 낯섦을 유발하는 작품들과 본인 작품사이의 유사점을 찾는 동시에 또한 본인 작품 속 살아 있음과 죽음 사이의 간극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본인이 도자기 인형을 어떤 태도로 바라보고 있는지 서술한다. 더불어 형식적 측면에서 미장센의 연출 방식이 본인 작품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본인은 도자기 인형을 통해 이 시대에 내재된 정서와 삶의 모습을 바라본다. 본 논문은 현시대의 정서를 나타낸 작품을 논의한 것이며, 지금의 이야기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개인적인 기억과 경험의 편린들을 모으고 확장하여 이 시대의 정서를 담아낼 수 있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계에 대한 이해와 공감, 상상의 장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life of smooth things and study the expanded world through the process. "Smooth Things" are 'Porcelain dolls' with smooth surfaces which appear in my work. To me, the smooth surface was beautiful, but it was also expressed as an unstable feeling. This shows that life consists of ambivalent aspects, and through this concept, we try to view and understand the aspect of life. Modern people in the 21st century exploit themselves to achieve perfect results. The atmosphere of the society where people live solely on results burdens its contemporaries. Exploitation to the point where everything becomes intolerable will eventually lead to individuals falling into powerlessness. Moreover, the current social trend of being involuntarily exposed to numerous information and images surrounded by media along with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makes individuals more insensitive. COVID-19, which impacted all around the world, has isolated individuals and made them feel disconnected. I captured the individual's insensitive and isolated emotions inherent in such society, and projected it onto Porcelain dolls, smooth things, and expressed it as a work of art. It functions as a perfect shell that pretends to be alive, but only on the outside to cover up the hollow emptiness within. This study mainly consists of a framework that serves as the motivation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work and continues with the analysis of the work. In Section A of the main text, the way of looking at objects is developed focusing on 'Haptic Visuality'. The moment when the impulse to painting arises in me is when I look at the smooth, haptic surface. Hapticly looking at the surface of an object through both ey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arting point of one's work. Section B studies the aesthetics of the smooth surface and the signifier of death inherent in Still Life. I describe the reason why am I became fascinated with porcelain dolls and reveals that the smooth surface is beautiful and gorgeous, but the inside is empty and easily broken through the dual characteristics which overlap with our lives. This reflects our desire to fill the empty void behind the smooth surface with a gorgeous exterior. In addition, various materials, including porcelain dolls appearing in my work, are analyzed along with the concept of Vanitas, meaning the ephemeral nature of life. Through this, we look at the signifier of death in the 17th century Still Life and compare them with the present perspective. Section C compares and analyzes works in which life and death coexist. Through Sigmund Freud's concept of The Uncanny, that is, works that induce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look for similarities within the art works, examines the gap between life and death expressed in detail of the work and how you view the dolls. In addition, I analyze the role of Mise-en-Scène's directing method in my work in terms of formality. Through Porcelain dolls, I looked at life with the emotions inherent in this era. This thesis is a study of works which express contemporary emotions. I intend to capture the story of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I want to collect and expand fragments of personal memories and experiences to create works which will capture the emotions of this era. This will open the door to understanding, empathy, and imagination about the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