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과 영향 요인

Title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과 영향 요인
Other Titles
Gender Egalitarianism and Impact of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Among Korean Men in Their Twenties
Authors
한유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egalitarianism in Korea men among their twenties. It is called ‘The Phenomenon of Male in their 20s’ which is about the young men who are taking a distinct step from men of other generations and having trouble with women in their ages. Recently, questions have been continuously posed about how to interpret the tendency of conservatism and backlash of men in their twenties and it becomes prominent issue in Korean society. Rising of neo-conservatism and anti-feminism among young generations which are reaction to affirmative actions are happen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Previous studies on gender egalitarianism attempt to explain gender inequality and gender conflict based on gender egalitarianism. However, existing studies that mainly attempt to compare between genders or generations do not fully explain serious gender conflicts in young generation. The fact that men in their twenties have a higher positiv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han other age groups a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ir twenties i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makes the current phenomenon of men in their twenties seem to be an illusion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spark of gender conflict does not die down and the logic that men are being reversely discriminated is used as a political pledge in the public arena. Therefor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of Male in their 20s’ and to extent gender egalitarianism, in-depth research is needed. This study is using the concept of equality of opportunity and outcome to analyzes in detail how young men understand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and how their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differ by area.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traditional masculine norms accepted by Korea men in their twenties and masculinity or meritocr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ender egalitarianism in terms of sociology. Traditional masculine norms can sufficiently explain gender egalitarianism or perceptions of women in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tendency among young generation only with the effect of masculinity. Therefore, a new approach is needed to analyze interactions with other mechanisms such as merit system.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gender egalitarianism that is perceived by men in their twenties, exploring the meaning factors that influences gender egalitarianism and finding which parts relate to gender conflict will be the fundamental approach for identifying the gender issue in Korea and be the key to defuse the conflict. The method of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quant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complements with the contents gathered through 1:1 interview. The differences between areas within gender egalitarianism were analyzed specifically by using survey results. Also, the influence and interaction effects of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a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SPSS 28 and SPSS PROCESS macro. To enrich the discussion, qualitative data are used for explaining how masculinity norms and merit system are distinguished or combined and how men in their twenties perceive specific gender issues or social structure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egalitarianism of Korea men in their twenties is developing disproportionately only focusing on equality of opportunity and that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erception. First, areas of opportunity and sexual harassment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the areas of policy and social structure in gender egalitarianis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gree on equality of opportunities in education and occupation, but it showed an unfriendly attitude towards affirmative action or equality of outcome such as controlling the ratio of recruitment even within the same public domain. Like the argument that pointed out the status of traditional masculine norms is shaking the degree of consent for traditional masculinity was not high, but it stil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ender egalitarianism among men in their twentie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 more agreed with the traditional masculine norms, the lower the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areas of opportunity, social structure, and sexual harassment, but the higher it was in the policy area. In addition, the stronger the meritocracy was, the higher the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areas of opportunity and sexual harassment, but the gender egalitarianism in policy and social structure decrea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eritocracy, it showed a moderating effect to allev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areas of opportunity, policy, and sexual harassment. These results tell that the combination of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can creates a new effect and the absence of traditional masculinity can be replaced with new factor such as meritocracy. Merit system seems to play a positive role in preventing traditional masculinity from worsening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area of opportunity, but meritocracy is used as a logic for rationalizing inequality in the perception of policy which does not consider equality of outcome. Finally, interview showed that men in their twenties do not easily deviate from traditional masculinity especially the norms of ability and success. However, household labor tends to replace gender norms with individual choices and characteristics. Also, statements about women’s rights and backlash show that young men easily recognize that giving same opportunity despite of the gender a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realizing equality. Therefore, inequality that occurs thereafter is viewed a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ndividually without government’s hel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The Phenomenon of Male in their 20s’ and how young people in the period of neo-liberalism mean gender equality. It also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gender egalitarianism and figures out that the awareness is not simply derived from gender norms but is strengthened when merit system operates in a way that rationalizes or validates inequality of structure. To realize gender equality and solve gender conflicts within the younger generation,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to recognize the unreasonable and negative power of values that are emphasized in modern society and the government should focuses on the project that can spread the positive awareness of the equality of outcome. Therefore, it is time to make new policy suggestions that consider the concept of equality and an unbalanced development of gender egalitarianism rather than emphasizing and inciting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by using gender egalitarianism only as a tool. ;20대 남성이 또래 여성 집단과의 갈등 속에서 다른 세대의 남성들과 구별되는 행보를 걷고 있다는 것은 일명 ‘20대 남자 현상’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 두드러지는 20대 남성의 보수화와 역차별 담론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은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는 비단 한국 사회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며 불평등 해결을 위한 정책이나 평등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젊은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신보수주의(neo-conervatism)나 반페미니즘(anti-feminism)이 강화되는 현상에서도 목격되는 중요한 흐름이다. 성평등과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는 성평등인식을 토대로 성불평등과 젠더 갈등 현상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하지만 주로 성별 간의 격차 또는 세대 간의 비교를 시도하는 기존의 성평등인식 연구에서는 20대의 심각한 젠더 갈등을 온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이 타 연령 집단에 비해 오히려 높다는 점과 20대 내의 성별 간 차이가 다른 세대의 성별 차이와 비교하여 유의미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은 현재 한국 사회의 20대 남자 현상이 허상에 불과한 것처럼 여겨지게 한다. 하지만 젠더 갈등의 불씨는 사그라지지 않고 남성이 역차별 받고 있다는 논리가 공적인 장에서 정치적 공약으로까지 활용되기에 이른다. 따라서 20대 남자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고 진정한 성평등주의에 다가서기 위해서는 성평등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기회와 결과의 평등이라는 개념적 정의에 주목하여 젊은 청년들이 성평등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있는지,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이 영역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더 나아가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젊은 남성이 수용하는 전통적 남성성 규범과 자원의 공정한 배분과 맞닿아 있는 능력주의가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의 여러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전통적 남성성 규범이 기존 세대 남성의 성평등인식 또는 여성에 대한 인식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기제였던 것과 달리 청년 세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시대적 배경과 전통적 남성성 규범의 영향력의 한계 등을 고려하여 능력주의와 같은 다른 기제들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20대 남성이 인식하는 성평등의 개념이 무엇이고, 그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또 성평등의 어떤 영역이 젠더 갈등으로 연결되는지 파악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성불평등의 본질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갈등을 완화하는 데 밑바탕이 될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설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양적 데이터가 주가 되고, 1:1 인터뷰로 수집한 내용을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양적 연구를 통해 설문 결과를 토대로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 내에서의 영역별 차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남성성 규범과 능력주의의 영향과 상호작용 효과를 SPSS 28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질적 연구를 활용하여 남성성 규범과 능력주의가 구분되고 결합하는 방식, 20대 남성이 구체적인 성평등 이슈들을 인식하는 양상, 경험을 토대로 한 사회 구조 인식 등 양적 연구로는 온전히 설명되기 어려운 부분들을 보충하여 해당 논의를 풍부하게 진행시키고자 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은 기회의 평등에 치중하여 불균형하게 발달하고 있다는 것과 남성성 규범과 능력주의가 성평등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기회와 성희롱 영역의 성평등인식이 정책과 사회구조 영역에 성평등인식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적 영역 내에서도 교육, 직업에서의 기회의 평등에 대하여는 쉽게 합의가 가능하지만 채용 성비 조절 등의 결과적 평등을 실현하려는 정책에 대하여는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전통적 남성성 규범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처럼 20대 남성들의 전통적 남성성 규범 동의 정도는 높지 않았지만 여전히 성평등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회귀분석 결과 전통적 남성성 규범에 동의할수록 기회, 사회구조, 성희롱 영역에서 성평등인식이 낮아졌으며, 정책 영역에서는 높아졌다. 또, 능력주의를 강하게 내재할수록 기회, 성희롱 영역에서의 성평등인식을 증가시켰지만, 정책과 사회구조의 성평등인식은 낮아졌다. 능력주의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회, 정책, 성희롱 영역에서 남성성 규범과 성평등인식 간의 관계를 완화하는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남성성 규범과 능력주의가 결합하여 새로운 효과를 발생하고 있으며, 전통적 남성성의 부재를 능력주의가 대체하는 방식으로까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기회적 평등 영역에서 능력주의는 전통적 남성성 규범이 성평등인식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해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책 영역에서는 능력주의가 구조적 불평등을 개인의 문제로 환원시키고 결과적 평등은 고려하지 않는 불평등의 합리화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인터뷰를 통해 20대 남성들이 능력과 성공과 같은 전통적 남성성 규범에서는 쉽게 벗어나지 못하지만 가사 노동 등은 개인의 선택과 특성으로 성규범을 대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 권리 향상과 역차별에 대한 진술을 통해 기회적 평등이 평등 실현의 필요충분조건이라고 인식하는 입장에서는 동등한 기회만 보장된다면 그 이후에 발생하는 불평등은 개인의 능력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보고 있다는 것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대 남자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신자유주의 시대의 젊은 청년들이 성평등을 어떻게 의미화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성평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들의 성평등인식이 단순히 성규범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강조되는 능력주의가 불평등을 합리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때 더욱 강화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성평등주의의 본질적 실현과 젊은 세대 내에서의 젠더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결과적 평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현대 사회에서 강조되는 가치들의 불합리한 영향력에 대해서 개인이 인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평등인식의 성별, 세대 간 격차를 강조하여 갈등을 조장하는 것보다 성평등의 개념적 정의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불균형하게 발전하고 있는 성평등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이 필요한 시점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