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서영인-
dc.creator서영인-
dc.date.accessioned2022-08-04T16:32:47Z-
dc.date.available2022-08-04T16:32:47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OAK-000000192148-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9214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213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웹소설의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성장에 대해서 문화사회학적으로 다각도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문화의 다이아몬드 이론 및 보완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이론, 부르디외의 장이론 문학장이론 그리고 문화자본론 및 피터슨의 옴니보어론을 이론을 탐구하였다. 또한, 웹소설의 특징을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기존 문학작품과 웹소설의 차이점에 중점을 두고 탐구하였다. 그리고 웹소설에 대해 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문헌고찰을 먼저 한 뒤,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설문 조사를 하고 그 후에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다각도로 웹소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은 만 25세~ 35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밝힌 바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웹소설은 문학장에 큰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특히 가장 큰 변화는 웹소설이 기존 문학의 생산 시스템 자체를 무효화하며 자신들만의 개방적인 시스템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 기존 문학작품과 웹소설의 소비자인 독 자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졌다. 하지만 이것을 단순히 ‘기존 문학작품 독자와 웹소설 독자가 서로 다르다.’라고 이야기하긴 어렵다는 것이 밝혀졌다. 옴니보어 독자 집단의 존재나 각 집단 내의 독자들의 또 다른 특성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세 번째, 분배의 측면에서 웹소설만이 가지는 특이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배는 기존의 문학작품에서는 없었던 부분이다. 기존 문학작품에서는 생산자와 소비자 다시 말해 작가와 독자가 철저히 분리되어있었고 작가의 말을 독자가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식이었다. 하지만 웹소설에 와서 플랫폼과 SNS를 통해서 작가와 독자가 상호 소통을 하고 영향을 받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학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분야인 문학을 대상으로 웹소설이라는 새로운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에 문학 혹은 미디어 분야에서만 다루어졌던 주제를 사회학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하나의 문화적 대상을 생산과 소비 및 분배 차원에서 다루는 다각적인 시각을 제공하여 앞으로의 연구에서도 다면적인 견해를 끌어낸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growth from the beginning of web novels to the present from a cultur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diamond theory of culture, the diamond theory of complemented culture, the field theory of Bourdieu, the literary field theory, the cultural capital theory, and Peterson's omnivore theory.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more clearly, we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ry works and web novels. In addition,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web novel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irst, and the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n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we tried to grasp web novels from various angles. The subjects are 25 years old It was targeted at men and women aged 35.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b novels have made a big difference in the literary arena. In particular, the biggest change is that web novels have created their own open system, nullifying the existing production system of literature itself. Second, readers who are consumers of existing literary works and web novel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However, it turns out that it is difficult to simply say that 'the readers of existing literature and web novels ar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existence of Omnivore readers' group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readers within each group were revealed. Third, in terms of distribution, we tried to find out the peculiarity of only web novels. This distribution is a part that did not exist in existing literary works. In existing literary works, producers and consumers, in other words, writers and readers were thoroughly separated, and readers accepted the writer's words unilaterally. However, it became possible for writers and readers to communicate and be influenced by each other through platforms and SNS after coming to web nove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new topic called web novels for literature, which is a field not well dealt with in existing sociology,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a subject only in literature or med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문제제기 1 B. 논문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4 A. 문화 다이아몬드, 보완된 문화 다이아몬드 이론을 통해 본 기존 문학 작품과 웹소설 4 B. 기존 문학작품과 웹소설의 생산의 차이: 부르디외 장이론과 문학장 이론을 중심으로 10 1. 부르디외 장이론 10 2. 문학장 12 C. 기존 문학작품과 웹소설의 소비의 차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과 피터슨의 옴니보어론을 중심으로 15 1.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과 독자 15 2. 피터슨의 옴니보어론과 독자 22 D. 웹소설에서 분배가 가지는 의의 28 Ⅲ.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30 A. 연구방법 30 1. 문헌연구 30 2. 구조화된 질문지 31 3. 심층면접 32 B. 연구대상자 33 Ⅳ. 생산의 측면에서 비교한 기존 문학작품과 웹소설 35 A. 기존 문학 작품의 문학장과 독점적 생산 시스템 35 B. 웹소설이 불러일으킨 문학장의 변화와 개방적 생산 시스템 39 1. 문학장의 변화 39 2. 변화된 생산 시스템 42 3. 웹소설의 장에서 변화된 텍스트 47 Ⅴ. 소비의 측면에서 비교한 기존 문학작품과 웹소설 50 A. 당신은 무엇을 읽고 계십니까?: 옴니보어 독자 집단과 상위·하위 유니보어 독자 집단의 소비 특성 비교 52 B. 당신은 정말 웹소설을 싫어하세요?: 옴니보어 독자 집단 및 상위· 하위 유니보어 집단 내 독자 소비 특성 비교 58 1. 상위 유니보어 집단 내의 웹소설을 소비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차이 58 2. 옴니보어 독자 집단의 장르 선호에 따른 상징적 배제 61 Ⅵ. 웹소설의 플랫폼 및 SNS를 통한 분배 64 A. 플랫폼에서의 분배를 중심으로: 비평가이자 창작자이기도 한 독자 64 B. SNS에서의 분배를 중심으로: 디지털 팬덤을 형성하는 독자 71 Ⅶ. 결론 75 참고문헌 78 부록 86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24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웹소설의 문화다이아몬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문학장과 독자 특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ultural Diamond of Web Novel : Based on the Literary Field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ader-
dc.creator.othernameSeo, Young In-
dc.format.pageiv,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2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