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부부의 복합적 성역할태도와 결혼 만족 및 가정 스트레스

Title
부부의 복합적 성역할태도와 결혼 만족 및 가정 스트레스
Other Titles
The complex gender role attitudes of married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ss :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pproach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성역할태도는 시간이 흐르고 세대가 바뀜에 따라 점차 전통적 태도에서 평등적 태도로 변화하지 않고, 설사 변하더라도 정체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Cotter, Hermsen, & Vanneman, 2011; Hochschild & Machung, 2012). 가사 및 돌봄과 같은 사적 영역과 유급 노동이나 사회 활동과 같은 공적 영역에서 여성과 남성이 성별에 따라 다른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고 믿는 정도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Brinton & Lee, 2016; Knight & Brinton, 2017). 이 같은 복합적인 성역할태도 양상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거의 유럽이나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Grunow, Begall, & Buchler, 2018; Knight & Brinton, 2017; Scarborough, Sin, & Risman, 2019; Sjöberg, 2010), 연구 대상에 한국이 포함된 연구는 Brinton과 Lee(2016)의 연구가 거의 유일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의 복합적 성역할태도의 양상을 밝히고 이러한 성역할태도의 서로 다른 양상에 대해 공변인으로 설명을 시도하며,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과 결혼 만족 및 가정 스트레스의 횡단적 관계, 그리고 10년간의 결혼 만족 및 가정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1은 한국복지패널 3차 조사에 참여한 40세 이하 기혼 부부를 선별하여 이들의 성역할태도 5개 개별 문항 응답 점수에 대해 부부단위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부부의 평균연령, 연령 차, 아내와 남편의 교육수준, 아내와 남편의 근로시간, 가구소득, 미취학 자녀 수, 대도시 거주 여부를 공변인으로 투입하여 각 성역할태도 잠재계층으로 분류된 부부들을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설명을 시도하였다. 이어서 부부의 결혼 만족과 가정 스트레스를 결과 변수로 투입하여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2는 같은 연구 대상에 대해 한국복지패널 3차(2008년)부터 13차(2018년)까지 10년간 종단 추적한 자료를 바탕으로 결혼 만족과 가정 스트레스의 종단적 선형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선형 변화가 연구 1의 결과인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 부부의 성역할태도 잠재계층의 수는 4개가 적절하였고, 각각 아내 우세형 전통적 부부(wTRAD), 남편 우세형 전통적 부부(hTRAD), 복합적 태도 부부(COMP),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EGAL)라고 이름 붙였다. 첫 번째 유형인 아내 우세형 전통적 부부는 전체의 18.8%를 차지하였고, 사적 영역에서 전통적 성별 분업을 지지하면서 남편보다 아내가 더 강하게 지지하였으며, 공적 영역의 성별 분업은 다른 유형에 비해 반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두 번째 유형인 남편 우세형 전통적 부부는 전체의 18.0%를 차지하였다. 첫 번째 유형과 마찬가지로 부부가 모두 사적 영역에서 전통적 성별 분업을 지지하면서도 남편의 지지가 더 강하였고, 남편은 공적 영역에서의 성별 분업 규범인 남성 생계부양 사상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과 두 번째 유형은 전통적 부부라는 특징을 공유하면서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에 비해 연령이 많고, 미취학 자녀 수가 많으며, 남편의 근로시간이 더 길며, 주거 지역은 서울이나 광역시로 대도시일 확률이 높았다. 반면, 아내 우세형 전통적 부부는 아내가 시간제나 단축 근로 등으로 일할 가능성이 높고 남편 우세형 전통적 부부는 아내가 전업 주부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유형은 복합적 태도 부부로 전체의 44.0%를 차지하였다. 이 유형은 아내와 남편이 사적 영역에서 여성이 가사 및 돌봄을 맡아야 한다는 전통적 성별 분업 규범을 온건하게 지지하였고, 남성 생계부양 사상에 대해서 차이를 보였다. 아내는 남성 생계부양 사상에 반대하였으나 남편은 부부 모두 가구소득에 기여해야 하나 주된 생계부양자는 남성이어야 한다고 믿는 것으로 보였다. 이 유형은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보다 연령이 많고 전통적 부부보다 미취학 자녀 수가 적거나 자녀가 이미 취학했을 확률이 높았다.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보다 남편은 더 길게 일하고 아내는 더 짧은 시간 일할 것으로 나타나, 파트타임이나 프리랜서로 시간 사용에 자유로운 근무를 할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 유형은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로 전체의 19.2%를 차지하였다. 이들은 집중 모성 규범에 강하게 반대하지는 않았으나 나머지 세 부부 유형보다 반대할 확률이 높았고, 남성 생계부양 사상에 대해서는 높은 확률로 반대하여 집중 모성이 강조되는 사회의 현실을 수용한 평등주의적 태도이다. 이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더 젊고 “Dual Income No Kids”(DINK) 로 불리는 자녀가 없는 전일제 맞벌이 부부일 확률이 높았다.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에 따라 부부 결혼 관계의 질에 해당하는 결혼 만족 및 가정 스트레스 차이가 있는지 횡단 및 종단적 접근으로 분석한 결과, 단기적으로 남편 우세형 전통적 부부는 배우자와 관계에 더 만족하고 가족 내 맡은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해 느끼는 부담이 덜 하였다. 반면, 복합적 태도의 부부는 배우자와 관계에 덜 만족하고 가정에서의 역할로 인한 부담을 더 많이 느꼈다. 또, 아내 우세형 전통적 부부 중 아내는 배우자와의 관계에 덜 만족하였고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 중 아내는 가정 내에서 부담을 덜 느꼈다.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의 종단 변화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복합적 태도의 부부 아내와 남편 모두 결혼 만족이 10년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남편 우세형 전통적 부부의 남편이나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의 남편도 10년간 결혼 만족이 감소하였으나, 횡단 연구에서도 결혼 만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복합적 태도의 부부가 장기적으로도 점차 배우자와 관계에 덜 만족하게 된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결혼 만족에 미치는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의 영향이 시간이 흘러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달리, 가정 스트레스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에 따른 차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아내의 경우, 초기에 가정 스트레스가 높았던 복합적 태도 부부나 아내 우세형 전통적 부부의 경우 10년간 점차 감소하였고, 남편 우세형 전통적 부부와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는 그대로 유지하여 10년 뒤에 아내 가정 스트레스의 유형간 차이가 점차 사라졌다.남편은 부부 성역할태도 유형 사이에 가정 스트레스의 초기값의 차이가 없었고, 변화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먼저, 복합적 성역할태도가 한국 사회에 보편적으로 공유되고 있다는 선행 연구 결과(Brinton & Lee, 2016)를 부부를 대상으로 반복 검증하였다. 여성의 교육 수준은 향상되지만 결혼과 출산 이후에도 일을 병행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충분하지 않은 사회일수록 성역할태도의 복합적 또는 양가적 특성이 더 두드러질 수 있다(Sjöberg, 2010). 이러한 특징이 뚜렷한 한국 사회, 그 중에서도 40세 이하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복합적 성역할태도 양상이 널리 공유되고 있음을 밝혀 경험적 근거를 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연구 결과 국내 거주 40세 이하 부부들은 비교적 동질적으로 폭넓게 일 지향 보수주의 성역할태도를 공유하고 있었고, 세부적인 강도의 차이, 아내와 남편의 상대적 강도 차이 등으로 유형이 구별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두드러진 차이는 현실 타협형 평등적 부부로 이들은 다른 유형에 비해 비교적 나이가 젊은 특징이 있으므로, 미래에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에 남성 생계부양 및 집중 모성사상을 덜 지지하는 유형이 더 두드러지고 더 많은 비율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부부의 성역할태도 잠재계층을 밝히는데 그치지 않고 결혼 만족, 가정 스트레스에 미치는 단기적, 장기적 영향을 밝혔다. 그 결과, 부부의 성역할태도 유형은 가정 스트레스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결혼 만족에는 단기적 시점의 영향이 10년이라는 시간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에서도 부부가 복합적 태도를 지녔을 때 부부의 결혼 만족이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결혼 만족의 단기적, 장기적 영향 요인 중 하나로 복합적 성역할태도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는 경험적 근거가 더해졌고, 결혼에 불만족을 경험하는 부부를 위한 개입을 할 때 부부간 역할 분담 행동 뿐 아니라 집중 모성이나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과 같이 사회화를 통해 내면화된 가치와 태도를 고려해야 하는 필요를 주장할 수 있다. 거시적으로도 사회 구성원인 부부의 행복을 위해 부부의 복합적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 제도 및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할 수 있다. ;Gender role attitudes do not gradually change from traditional to egalitarian as time goes on; generations change, and even if they do, they seem to be stagnant (Cotter et al., 2011; Hochschild & Machung, 2012). There are complex patterns of belief that women and men should share roles according to gender, both in the private sphere, such as housework and childcare, and in the public sphere, such as paid work (Brinton & Lee, 2016; Knight & Brinton, 2017). Prior research on this complex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has been conducted almost exclusively in Europe or the United States (Grunow et al., 2018; Knight & Brinton, 2017; Scarborough et al., 2019; Sjöberg, 2010); Brinton and Lee (2016) appears to be the only study that included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cover aspects of the complex gender role attitudes of married couples, explain the different aspects of these gender role attitudes with covariates, and investigate how the profiles of gender role attitudes of married couples predict their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ss concurrently and their longitudinal changes in 10 years. Study 1 selected married couples under the age of 40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and conducted a dyadic latent class analysis with 10 items on gender role attitudes including 5 items each for wives and husbands. In addition, the couple’s average age; the age gap, which means how much older a husband is than a wife; the education level of the wife and husband; the working hours of the wife and husband; the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preschoolers; and the residency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used as covariates to expla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uples in each latent class of gender role attitudes. We then put th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ss as outcome variables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files of th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s. With the same couples in study 1, study 2 examined longitudinal changes in th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ss by latent growth model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3rd wave (2008) to the 13th wave (2018) of the KoWePS and examined how these longitudinal changes differed depending on the profiles of couples’ gender role attitudes.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In study 1, the appropriate number of latent classes of couples’ gender role attitudes was four, each named the wife-dominant traditional couple (wTRAD), the husband-dominant traditional couple (hTRAD), the complex-attitude couple (COMP), and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 (EGAL). First, the wife-dominant traditional couple accounted for 18.8% of the total, and both couples supported the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private sphere with stronger support by the wife, and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were opposed to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public spher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other profiles. The second profile, the husband-dominant traditional couple, accounted for 18.0% of the total. Like the first profile, both couples supported the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private sphere, but their husbands’ support appeared stronger. The husbands also conformed to the male breadwinner model, which is the norm of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public sphere. The first two profiles as traditional couples shared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more likely to be older than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 having more children in preschool, with husbands spending more time in paid work, and being more likely to live in Seoul or a metropolitan city. On the other hand, the wife-dominant traditional couple differed in that the wife was more likely to have part-time or short-term work, and the husband-dominant traditional couple was more likely to have a full-time housewife. The third profile was a complex-attitude couple, accounting for 44.0% of the total. The wife and husband of this profile both moderately supported the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norms that women should take over the housework and childcare in the private sphere, but they appeared to disagree with respect to the male breadwinner model. The wife opposed the male breadwinner model, but the husband seemed to believe that both couples should contribute to household income but that the primary breadwinner should be male. This profile was more likely to be older than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 have fewer children in preschool than the two traditional profiles, or have had children already schooled. Husbands were more likely to work longer hours, while wives as part-time employees or freelancers were more likely to work shorter hours than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s, which means that wives could have more free time to use for other than paid work. The last profile was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 accounting for 19.2% of the total. They were more likely to oppose the male breadwinner model and were more likely to oppose the norms of intensive motherhood than the other three profiles but still moderately believe that intensive mothering is desirable. Therefore, they appeared to hold an egalitarian attitude that embraced the reality of a society in which intensive mothering was emphasized. This profile was more likely to be younger than the other and be a full-time dual earner with no children, called “dual income no kids” (DINK).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pproach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file of th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would predict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ss showed that, in the short term, the husband-dominated traditional couple was more satisfied with their spouses and felt less of a burden to fulfill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family. On the other hand, couples with complex attitude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spouses and felt more burdened by their role in the family. The wives of the wife-dominant traditional couple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s, and the wives of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s felt less burdened in the family. A prominent feature in the longitudinal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is that both the wives and husbands of couples with complex attitudes have seen a significant decline in marital satisfaction over a 10-year period. Although husbands of the husband-dominant traditional couples or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s also experienced a decline in marital satisfaction over 10 years, it is notable that the couples with complex attitudes showed relatively low marital satisfaction in the cross-sectional study and became gradually less satisfied with their spouses and relationships in the longitudinal study. Unlike the effects of the profiles of gender role attitudes on marital satisfaction that persist over time, family stress has changed so that differences in the profiles of couples’ gender role attitudes have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complex-attitude couples or wife-dominated traditional couples, the wives initially had high family stress and gradually declined over 10 years, while in the case of husband-dominant traditional couples and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s, the wives’ family stress remained the same, so those gaps among the profiles gradually disappeared after 10 years. Husbands found no differences in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family stress among the profiles of the couples’ gender roles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we repeatedly verifi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fact that complex gender role attitudes are widely shared in Korean society with married couples (Brinton & Lee, 2016). In a society where women’s education levels improve without sufficient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the complex or ambivalent nature of gender role attitudes would be more prominent (Sjöberg, 2010). It is important in that it added empirical evidence to Korean society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mentioned, especially for couples under the age of 40, by revealing that complex gender role attitudes are widely shared. Next, the study found that couples under the age of 40 in South Korea shared gender role attitudes as pro-work conservatism in a broad sense homogeneously and that the subtypes were distinguished by differences in attitude strength and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ntensity between wives and husbands. The most noticeable subtype is the reality-compromised egalitarian couples, who are characterized by being younger compared with the other profiles, so in the future, the profiles of couples’ gender role attitudes that are less supportive to the male breadwinner model and intensive mothering may appear in a more prominent and larger proportion. Finally, the study revealed not only the latent classes of couples’ gender role attitudes but also the short- and long-term effects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s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profiles of th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only affected family stress in the short term, the short-term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persisted over 10 years in that complex-attitude couples experienced a negative effect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is adds to the empirical evidence that the profile of complex gender role attitud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short- and long-term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when creating interventions for couples who are dis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role-sharing behavior between the couples but also the values and attitudes internalized through socialization, such as the idea of intensive motherhood or the idea of male breadwinning.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put in place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can influence the couple’s complex gender role attitudes for the well-being of married couples who are members of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