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2 Download: 0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사회적기업에 대한 언론기사 분석

Title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사회적기업에 대한 언론기사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media articles on social enterprises through text mining
Authors
여미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이권
Abstract
Amid the growing interest in corporate social value pursuits around the world, social enterprises that pursue both economic and social goal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organizational form that can overcome the evils of capitalism.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and started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in Korea in earnest. Social enterprises reach 3,142 locations in 2021, contributing to job cre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creating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and social value, but at the same time,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their performance. Along with concerns about social enterprises' excessive dependence on the government and negative views on the certification system, above all, it is pointed out that the public's awareness of social enterprises is still low. The low awareness of social enterprises by citizens who should be consumers of social enterprises and supporters of social values is a fundamental threat to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short term and to the survival of the enterprises in the long term. The media has consistently reported on social enterprises since they were introduced and nurtured by the government as a representative medium that reflects the flow of social awareness. The media has a major influence on society's understanding of and awareness of the issues through articles by repeatedly exposing specific issues or interpreting and viewing issues through a unique frame of the press. Also regarding social enterprises, the media articles formed the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our socie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investigate social perception by analyzing articles on how the media have viewed social enterpris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Plan for Social Enterprise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image of social enterprises in our society today by identifying keywords and main topics of media articles and analyzing the flow. To this end, we added the period 5 years before the start of the basic plan for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as a control group, and collected articl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from 11 central daily newspapers from 2003 to 2021, when the 3rd master plan is in progress, and conducted text mining. Analysis was performed in each period - the 0th period (2003~2007), the 1st period (2008~2012), the 2nd period (2013~2017), the 3rd period (2018~2021) referring to the basic plan for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First, it was checked the number of articles that occurred in each period. After that the frequency of the most mentioned words for each period was calculated, and 30 words with high frequency for each peri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30 top TF-IDF words by peri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words used throughout the document. Finally, in order to examine which topics the articles were written on over the entire period, the topic was analyzed through the LDA method of topic modeling. After that the LDA method of topic modeling was applied to each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opic flow for each period in detail. Python 3.9 was used for article collection, and Python 3.7 was used for word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increased sharply right after the government's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was enforced and during the first period when the first Basic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lan was launched. After that even when the government enacted laws, such as the enforcement of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and the proposal of the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and the Basic Plan for Promotion in the 2nd and 3rd periods, a large number of articles were still generated. In the results of word frequency analysis, the frequency of words related to government policy and law enforcement was high throughout the perio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efforts to create an eco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various ecosystem actors such as companies, citizens,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representatives, and schools appeared in the latter stages, and it is noteworthy that SK continued to appear in the high rankings. ‘Cooperatives’ in the second period, ‘startup’, and ‘youth’ in the third period recorded high frequencies as words that were consistent with the government’s enactment of laws and the basic plan for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during that period. Specific words appeared in the results of TF-IDF analysis. In the first period, when the government's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was centered on the underprivileged, words such as 'refugee', 'voucher', and 'homeless' recorded a high TF-IDF. Words such as 'banner', 'bee', 'haenyeo', and 'Koryoin' recorded high TF-IDF according to policy changes to solve the social and evironmental problem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basic development plan. Or it could be because the number of companies focused on social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the region has increased in number, or because the media has taken an interest in these companies. The most notable result of the TF-IDF analysis is that many companies have collaborated with celebriti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a consensus on social value has already been created in our society, and in the case of a company that communicates with i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pport base. Conglomerates are also increasingly seeking to collaborate with social enterprises supported by the public. Media covered those kinds of issues so that it influenced in the direction of further strengthening awareness. In the topic modeling analysis, there were 8 topics that penetrated the entire period. Among them,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preneurs’ were topics that established their own domain regardless of other topics. Although the top words constituting the topic for each specific period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licy direction, the government was also analy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and it can be expected that it will still hav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in forming awareness about social enterprises in the future. Traditional enterprises are also emerging as important members of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nd their roles are expanding from initial social contribution to social enterprise support and collaboration, and furthermore, to emphasize social value. These changes in companies are a result of the spread of positive perceptions about social values in society, which is a change in the socio-cultural discourse surrounding companies and suggests that their role can be emphasized in the futur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For entrepreneur topic, it is understood that this is because it is in the form of an article that can easily unravel a social enterprise as a moving story in which social value is added to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entrepreneurship, as well as the personal story. In addition, 'experience' and 'product' were reported as major topics, and they were established as an axis of public interest. In the topic 'jobs', which is also the reason for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the connection with the vulnerable in the early stage was emphasized. From the old to the lat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s was linked with the youth and the region. This c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social enterprises were perceived as preferred jobs by youth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bove articles, it is evaluated that the government had the most major influence on the reporting on social enterprises. Along with the government policy directions, the industry representing social enterprises expands from the vulnerable class to social enterprises that try to solve environmental, social, and local problems. It is realized that social enterprises, which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subjects of solving social problems, form a consensus among civil society on social values, and social enterprises of experience are attracting attention. It seems that the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a 'success model' among social enterprises is also being 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d the change in the role of traditional enterprises as a member of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oday's social enterprises have begun to take root in the reality by increasing local cohes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of social enterprises' civic communication strategies can be obtained. Firs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clearly communicate the social values and visions of each company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s and support for social values.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broaden contact points and increase trust in the organization by informing and implementing what problems in citizens' lives are solved. Secon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ncreasing contact points such as experiences with citizens, and suggests considering citizens who have experience in donations and volunteer work as targets for this purpose. Third, management innovation and establishment of horizontal governance are preemptively required to position social enterprises as better jobs for youth and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in order to increase policy effectiveness and improve citizenship, the government can take on eyes on those strategies. - First, strengthening the ecosystem and support of the local community, second, expanding and establishing the roles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s, third, fostering programs for educating citizens of all ages other than graduate schools, fourth, social Reinforcement of detailed customized support for corporate management, fifth, long-term vision and strategy for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existing traditional enterprises, and finally, resetting the goals of fostering and supporting social enterprises based on social values are requir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social perceptions by analyzing media articles by period since the basic plan for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in our society. In addition, it has a differentiating point in that it is a text mining study through unstructured data such as media articles. However, it i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that the public opinion generated through SNS other than recent media articles could not be analyzed together. In addition, it could have been detailed analysis if the article had analyzed by the tone of individual media companies. Also if analyzing had been done about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social economy, it could have given comprehensive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economy by forming awareness, and examining the huge flow of perception that encompasses the overall social economy. These limitations are left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전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가치 추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는 가운데, 경제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이 자본주의 폐해를 극복할 조직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정부는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을 제정하며 본격 적으로 한국에서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기 시작하여 사회적기업육성법과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법적, 규범적, 사회문화적 기반을 조성해 왔다. 사회적기업은 2021년 3,142개소에 이르며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괄목할만한 양적 성장과 사회적가치를 창출해왔지만 동시에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지나친 정부 의존성에 대한 우려, 인증제에 대한 부정적 견해 등과 더불어 무엇보다도 시민들에게 여전히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점이 지적된다. 사회적기업의 소비자이자 사회적가치의 지지자여야 할 시민이 사회적기업에 대해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장기적으로는 기업 생존에 근본적인 위협이다. 언론은 사회 인식의 흐름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매개체로 사회적기업이 정부에 의해 도입, 육성된 이래 꾸준히 사회적기업에 대해 보도해왔다. 언론은 특정한 이슈를 반복적으로 노출함으로써 또는 언론 고유의 틀을 통해 이슈를 해석하고 바라보게 하여 기사를 통해 사회가 해당 이슈를 이해하고 인식을 형성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기업에 대해서도 언론기사는 우리 사회 내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이 시행된 이래 언론에서 사회 적기업을 어떻게 바라보아 왔는지 기사를 분석하여 사회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언론기사의 키워드와 주요하게 언급되는 주제들을 파악하고 흐름을 분석하여 오늘날 우리 사회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상(像)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이 시작되기 5년 전의 기간을 대조군으로 추가하여 2003년부터 제3차 기본계획이 진행 중인 2021년까지의 기간 동안 중앙 일간지 11곳의 사회적기업 관련 기사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기는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을 참고하여 0차 시기(2003년~2007년), 1차 시기(2008년~2012년), 2차 시기(2013년~2017년), 3차 시기(2018년~2021년)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발생한 기사 수를 먼저 확인하였다. 이후 각 시기별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들의 빈도수를 계산하여 시기별 높은 빈도를 보인 단어 30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단어가 문서 전체에서 쓰인 중요도를 고려하기 위해 시기별 상위 TF-IDF 단어 30개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 시기에 걸쳐 기사가 어떤 주제를 중심으로 작성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토픽 모델링의 LDA방법을 통해 주제를 분석해보았 다. 이후 세부적으로 각 시기별 주제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로도 토픽 모델링의 LDA방법을 적용했다. 기사 수집에는 Python 3.9를, 단어 빈도 분석과 TF-IDF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에는 Python 3.7을 사용하였다. 기사 수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사회적기업육성법 시행 직후이자 제1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이 시작된 1차 시기에 기사수가 급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사회적경제기본법 발의 등 정부의 법 제정과 2차·3차 시기의 육성 기본계획이 이어진 때에도 여전히 많은 양의 기사가 생성되었다. 단어 빈도 분석 결과에서도 정부의 정책 및 법 시행과 관련된 단어들의 빈도가 전 시기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 노력에 따라 후기로 갈수록 기업, 시민, 중간지원조직, 대표, 학교 등 다양한 생태계 주체들이 등장하였으며 SK가 지속적으로 높은 순위에 등장한 것이 눈에 띈다. 2차 시기의 ‘협 동조합’, 3차 시기의 ‘창업’, ‘청년’등은 해당 시기 정부의 법 제정 및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과 일치하는 단어들로 높은 빈도수를 기록했다. TF-IDF 분석 결과에서는 구체적인 단어들이 등장했다. 정부의 사회적기업 육성이 취약계층 중심이었던 1차 시기에는 ‘새터민’, ‘바우처’, ‘노숙인’등의 단어가 높은 TF-IDF를 기록했으며 2차, 3차 시기로 갈수록 환경과 지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정책 변화에 따라 ‘현수막’, ‘꿀벌’, ‘해녀’, ‘고려인’ 등의 단어들이 높은 TF-IDF를 기록했다. 이는 정부의 육성 기본계획의 방향과 일치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는 환경과 지역 등의 사회 문제에 집중한 기업들이 수적으로 더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거나 언론이 이같은 기업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일 수도 있다. TF-IDF 분석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결과는 유명인과 협업을 진행한 기업들이 다수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미 우리 사회에 사회적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생성되어 이와 소통하는 기업의 경우 지지기반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기업 역시 대중에게 지지를 받은 사회적기업과 협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가 늘어났으며 언론은 시민사회의 변화와 대기업 및 유명인 등의 트렌드를 주시하며, 주목받는 사회적기업을 자주 언급하게 되어 사회에 이들의 인지도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토픽 모델링 분석에서는 전 시기를 관통하는 주제가 8개로 나타났다. 그중 ‘정부’와 ‘기업’, ‘창업가’는 다른 토픽과 관계없이 독자적 영역을 구축한 토픽이었다. 비록 정책 방향의 변화에 따라 세부 시기별로 토픽을 구성하는 상위 단어는 달라지지만 정부는 역시 가장 중요한 토픽 중 하나로 분석되었으며 앞으로도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여전히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전통적 기업 역시 중요한 사회적기업 생태계 구성원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초기 사회공헌에서 사회적기업 지원과 협업, 더 나아가 사회적가치를 강조하는 데까지 역할이 확장되고 있었다. 이같은 기업의 변화는 사회 내 사회적가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된 결과로 기업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담론 변화이자 향후 사회적기업 생태계에 이들의 역할이 강조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창업가는 창업 배경 및 목적과 개인의 이야기에 사회적가치가 더해진 감동적인 이야기로써 사회적기업을 쉽게 풀어낼 수 있는 기사 형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 외에도 ‘경험’과 ‘제품’에 대한 토픽이 주요하게 보도되며 대중이 관심있어 하는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었고, 사회적기업의 육성 이유이기도 한 토픽인 ‘일자리’는 초창기 취약계층과의 연계가 강조되던 것에서 후기로 갈수록 청년 및 지역과 연계되어 보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청년과 지역에서 사회적기업이 선호되는 일자리로 인식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위 기사 분석을 바탕으로 볼 때 사회적기업에 대한 보도에 정부는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정부 정책 방향과 함께 사회적기업을 대표하는 업종이 취약계층 중심에서 환경, 사회,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기업으로까지 확장,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이동하며 사회적기업은 사회 문제해결의 주체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처럼 사회 문제 해결의 주체로 자리잡은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가치에 대한 시민사회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체험과 경험의 사회적기업이 주목되고 있는 바, 사회적기업 중 ‘성공모델’이 등장할 기반도 형성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더불어 사회적기업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전통적 기업의 역할 변화를 읽을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오늘날 사회적기업은 지역 밀착도를 높이며 현실에 뿌리내리기 시작했음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회적기업의 시민 소통 전략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사회적가치에 대한 환경 변화와 지지를 바탕으로 각 기업의 사회적가치와 비전을 명확히 전달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시민 삶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지 알리고 실행함으로써 접점을 넓히고 조직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 둘째, 시민과의 체험 등 접점을 늘리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우선적으로 기부 및 자원봉사 등의 경험이 있는 시민 등을 이를 위한 대상으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기업이 청년과 지역에 더 나은 일자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경영 혁신 및 수평적 거버넌스 확립이 선제적으로 요청된다. 더불어 정부 역시 정책 실효성 증대와 시민성 향상을 위해 첫째, 지역 사회 생태계 및 지원 강화, 둘째, 중간지원조직 및 지자체 역할 확대 및 정립, 셋째, 대학원 이외의 전연령의 시민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육성, 넷째, 사회적기업의 경영에 대한 세부 맞춤 지원 강화, 다섯째, 사회적기업 및 기존 전통 기업 간 협 업을 위한 장기적 비전과 전략, 마지막으로 사회적가치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기업 육성과 지원 목표에 대한 재설정 등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 이후 최근까지의 언론기사를 시기별로 분석, 사회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언론기사라는 비정형 데이터를 통해 본 텍스트마이닝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다만 최근 언론기사 외 SNS를 통해 조성된 여론을 함께 분석하지 못한 점이 한계로 지적되며 향후 이 둘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면 더욱 깊이있는 사회 인식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11개 중앙 일간지 간의 논조 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않고 하나로 통합하여 본 점, 사회적기업만이 아닌 사회적경제의 다양한 조직에 대한 기사를 분석하지 못한 점 등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개별 언론사의 논조 분석과 인식형성 및 사회적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거대한 인식 흐름을 살피는 연구로 사회적기업 및 사회적경제를 둘러싼 세밀하고 포괄적인 분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은 한계와 아쉬움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남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적경제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