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6 Download: 0

한국 전통 창살의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한국 전통 창살의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Lattices : Focusing on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
Authors
이혜령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Korean Wave, which is attracting global attention, is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cluding our own identity through creative designs that apply Korea's unique traditional culture. In this respect, the traditional Korean lattice has a formative feature that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designs as well as the unique beauty of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image of line among the images of traditional Korean lattice in a contemporary design using code embroidery effectively. It is to seek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fashion design through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aesthetics and fashion desig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oduction of work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oncept and transition process of traditional Korean lattice, and types of traditional Korean lattice, are examined, and the image of lattice is analyzed based on this. Also,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xamples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o which the image of lattice is applied, practical application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s considered. In order to examine the code embroidery as a production technique, the concept of code embroidery will be examined, and the prod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code embroidery will be considered along with examples. Also,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pplication cases of code embroidery that appear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contemporary expression method of code embroidery is explor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ve, we will produce 4 pieces of works that apply the image of a traditional Korean lattice to fashion design using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ncept of a lattice, it was found that the lattice exists in the window, and the lattice composing these windows plays a symbolic role as well as a decorative and functional rol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grate developed through the times, and that most of the types of lattice remaining today originated from the Joseon Dynasty. Secon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types of lattice, we selected and looked at the 9 representative types. The shape of each lattice and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hird, the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lattice could be derived according to the line, face and shape, sense of space, texture and color. In the line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lattice, the composition by the intersection of geometric straight lines occupied an important part, and the geometrical face was formed as a result of the intersection of straight lines in the face and shape image of the lattice. The spatial sense of the lattice was formed by the function of the window to which the lattice belongs and the visual illusion through overlapping. Lastly, in the texture and color image, the natural texture and color felt by the raw material wood were characteristic. Fourth, the concept of code embroidery could be summarized in the meaning of fixing and sewing the code by stitching it on the base cloth using different threads. The types of code embroidery could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code embroidery. Accordingly, by subdividing into 6 stitch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itches applied to code embroidery, the types of stitche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In the use of code embroid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 is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each of the four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in which the code embroidery is utilized. Fifth, by examining the case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de embroidery creates a creative effect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ion by expressing various expression objects without restrictions. Nex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production of the work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Korean lattice forms geometric face and shapes through the intersection and arrangement of lines, and the patterns thus formed are equally arranged vertically, horizontally, horizontally, and have the meaning of balanced proportions. By applying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 to express the line structure of such a lattice,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express the image of a Korean traditional lattice in the work. Second, in the production of works in this study, unlike previous studies on fashion design related to lattice, the image of traditional Korean lattice is three-dimensionally expressed using code embroidery techniques and overlapping method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find new possibilities in the expression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lattice an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code embroidery as a technique to express traditional patterns. Third, Korean traditional lattice was expressed with lines using the cords used in Western embroidery, and the changhoji was expressed using nobang fabrics used in hanbok, thereby realizing the convergence of tradition and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Fourth, simple A-line and H-line were applied to the silhouette, and in terms of material and color, a black code was used on a white nobang fabric to maximize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lattice through a strong contrast effect, and the traditional image of the nobang was contemporar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expressed by fusion into one image. Fifth, a new visual effect could be obtained by overlapping patterns of different sizes in the expression of the lattice pattern. In addition, the functional aspects of windows could be expressed by designing each piece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windows. In this study, only one type of code was used to apply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 to the fashion design for the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lattice, but in the subsequent study, various codes were used to express the unique image of the Korean traditional lattice more creatively. It is presumed that it will be possible As such, it is hoped that active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new attempts will be continuously made to contribute to the update of traditional beauty. 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 in Korea yet, I hope that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on the code embroidery technique.;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류는 한국의 고유한 전통 문화를 응용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통해서 우리만의 정체성을 비롯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 전통 창살은 한국 고유의 미와 동시에 현대적인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조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한국의 전통적인 창살의 이미지 중 선적 구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코드자수 기법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에 간결하고 단순한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적용함으로써, 한국 전통 창살의 현대적 디자인 활용을 도모하고 전통적 조형미와 패션디자인 분야의 융합을 통해 패션디자인 영역의 확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크게 이론적 고찰과 작품 제작으로 구성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 창살의 개념과 변천과정, 한국 전통 창살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창살의 이미지를 분석한다. 또한 창살의 이미지가 응용된 현대 패션디자인의 사례를 수집∙분석함으로서 현대 패션디자인에서의 실제적인 활용에 대해 고찰한다. 작품의 제작기법으로서 코드자수에 대한 고찰을 위해 코드자수의 개념을 살펴보고, 코드자수의 제작방법과 활용에 대해 사례와 함께 고찰한다. 또한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난 코드자수의 응용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코드자수의 현대적인 표현방법에 대해 모색한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한국 전통 창살의 이미지를 코드자수 기법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에 적용한 작품을 4벌 제작한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살의 개념에 대해 창살은 창호 안에 존재하며, 이러한 창호를 구성하는 창살은 장식적인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살의 변천과정에 대해 시대를 거치며 발전을 이루었고 현재 남아있는 창살의 종류가 거의 조선시대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살의 종류에 대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용자살, 띠살, 정자살, 빗살, 아자살, 완자살, 숫대살, 귀갑살, 귀자살의 대적인 9가지 종류를 선정하고 살펴봄으로서 각 창살이 갖는 형태와 특징에 대해 확인하였다. 셋째, 한국 전통 창살의 이미지를 선, 면과 형, 공간감, 질감과 색에 따라 도출할 수 있었다. 한국 전통 창살의 선 이미지는 기하학적 직선의 교차에 의한 구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으며, 창살의 면과 형 이미지는 직선의 교차에 의한 결과로서 기하학적 형의 면이 형성되었다. 창살의 공간감은 창살이 속한 창호의 기능과 중첩을 통한 시각적 환영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질감과 색 이미지에서는 원재료인 목재에 의해 느껴지는 자연 그대로의 질감과 색이 특징적이었다. 넷째, 코드자수의 개념을 코드를 바탕천의 위에 다른 실을 사용하여 스티치하여 고정 및 봉제한다는 의미로 정리할 수 있었다. 코드자수의 종류에 대해서는 코드자수의 제작방법과 활용에 따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에 코드자수에 적용되는 스티치의 종류에 따라 6가지 스티치로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서 본 연구의 작품 제작에 있어 적합한 스티치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코드자수의 활용에 있어서는 코드자수가 활용되는 방법에 따라 4가지 유형에 따라 각각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코드자수 기법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코드자수 기법을 응용한 현대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코드자수는 다양한 표현 대상을 제약 없이 나타냄으로서 디자인 의도에 따라 독창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 창살은 선의 교차와 배열을 통해 기하학적 면과 형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문양이 상하좌우로 동일하게 배열되어 균형 있는 비례의 미를 가지고 있다. 코드자수 기법을 응용하여 이러한 창살의 선적 구조를 표현함으로써 작품에 한국 전통 창살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의 작품 제작에서는 기존 창살 관련 패션디자인 선행연구와 달리 한국 전통 창살의 이미지를 코드자수 기법과 중첩의 방식을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창살의 표현 방법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전통문양을 표현하는 기법으로써 코드자수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 전통 창호의 창살은 서양 자수에서 사용되는 코드를 사용하여 선으로 표현하고, 창호지는 한복에 사용되는 노방 원단을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인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실현할 수 있었다. 넷째, 실루엣에 있어서는 단순한 A라인과 H라인을 적용했으며, 소재와 색상에 있어서는 흰색 노방 원단에 검은색의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강한 대비효과를 통해 창살의 시각적 표현을 극대화하고, 창살의 전통적인 이미지가 모던한 이미지로 융합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창살 문양의 표현에 있어 크기가 다른 문양을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각 작품마다 서로 다른 창호의 특징을 반영하여 디자인함으로써 창호의 기능적인 측면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창살의 이미지를 패션디자인에 코드자수 기법을 적용하는 것에 있어 한 가지 종류의 코드만을 사용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한국 전통 창살이 지닌 고유한 이미지를 더욱 독창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와 새로운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통적인 미의 현대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또한 국내에는 아직까지 코드자수 기법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므로 코드자수 기법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