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무용작품「Concept」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작품「Concept」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ance Work 「Concept」 : Focusing on the Dépaysement techniqu
Authors
신숙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본 논문은 무용작품「Concept」을 구성, 안무, 공연하는 전 단계에서 설정한 핵심 주제인 ‘컨셉’ 과 ‘데페이즈망’ 기법이 작품에서 어떻게 표현이 되었는지 연구한 것이다. ‘컨셉’은 안무자가 의도한 ‘주제’ 이자 작품의 ‘제목’ 이고 ‘데페이즈망’은 본 안무자가 움직임을 안무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의 표현적 특징, 사유, 작품의도 그리고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표현기법 데페이즈망이 어떤 과정으로 무용작품 「Concept」에 반영되고 드러났는지를 작품 창작과정의 단계별로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무용작품「Concept」의 창작의 전 과정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실기기반연구법’ 이다. 이를 위해 연구절차 1단계에서는 작품의 주제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데페이즈망의 유형들을 이해하고 그 움직임을 표현할 때 각각의 안무자와 작품의도와 무용수가 가지고 있는 내면의 본질에 집중하여 구상하였다. 2단계에서는 데페이즈망 유형별로 정리된 핵심개념을 활용하여 장별로 무대를 작품의 주제에 맞게 안무·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실기박사 프로포절 공연>에서 공연된 무용작품「Concept」을 분석하였다. 무용작품「Concept」은 움직임의 성격에 따라 <무용수 움직임의 착시 현상>, <움직임의 변화에 따른 구성 변형>, <오브제와 무용수의 조화로운 결합>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장 《기억의 겹》의 주제를 표현하고자 데페이즈망의 기법에서 ‘고립’, ‘역설’, ‘시각적 형태로서의 이중적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무용수 움직임의 착시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겹겹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시각적인 연출을 하고자 하는데 적절했다. 둘째, 2장 《마음의 결》의 주제를 표현하고자 데페이즈망 기법에서 ‘개념의 양극성’, ‘변형’, ‘합성’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움직임의 변화에 따른 구성 변형>은 새로운 공간구성의 원리와 움직임이 많은 동작구들이 결, 즉 모양에 따라 변화되는 움직임으로 표현되었다. 셋째, 3장 《거리의 격》의 주제를 표현하고자 데페이즈망 기법에서 ‘크기의 변화’와 ‘우연한 만남의 계기’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오브제와 무용수의 조화로운 결합>이 연출되었다. 무용수 속성과 특질을 오브제로 전환하고, 오브제와 실제 오브제의 ‘크기의 변화’로 인해 신비감과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본 연구는 미술유형 중에서 데페이즈망 기법을 무용안무에 적용한 드문 사례를 남겼다. 이는 막연하게 미술에서 영감을 받아서 무용을 창작한 차원을 넘어서 무용 창작의 새로운 도전이자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미술기법으로 통해 무용 움직임을 계발하는 참고자료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 더 나아가 무용예술의 발전과 새로움을 추구하는 안무가들에게 본 논문이 새로운 영감과 예술적 통찰을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ve process and the dance work 「Concept」 planned, choreographed and performed by the resear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dance work, 「Concept」, which is a core theme in all stages of composing, choreographing, and performing the work’, was expressed and how the ‘dépaysement’ technique was used. The 「Concept」 is the ‘subject’ intended by the choreographer and the ‘title’ of the work. Also, dépaysement technique is a method in which the choreographer choreographs mov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thought, work intention, and dephasing technique were reflected and revealed in each stage of the work creation process. The research method is a ‘Practice-Based Research method’ exploring and analyzing the entire process of 「Concept」creation. In the first stage of the research procedure, the subject of the work and types of dépaysement were explained. And when expressing the movement, it was conceived by focusing on the inner essence of each dancer. In the second stage, the stage movement was choreographed and compose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work by state using the core concepts organized by type of dépaysement. In the third stage, the dance work 「Concept」, performed in ,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ovement, the dance work 「Concept」 resulted in , , and .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hapter 1 《The Layers of Memory》, to express the theme, ‘isolation’, ‘paradox’, and ‘image as a visual form’ of dépaysement technique were used. Through this, was expressed, which was appropriate to create a fantastic atmosphere to express the layers of memories. Second, to express the theme of 《The Texture of Mind》, in Chaptor 2, ‘polarity of concept’, ‘transformation’, and ‘synthesis’ were used in the dépaysement technique. Through this, the < Configuration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movement> was expressed as a new principle of spatial composition and movement in which the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texture, in other words, the shape. Third, in order to express the theme of Chapter 3, 《The Distance of the Street》, 'change in size' and 'a chance of an accidental meeting' were used in the dépaysement. Through this, was derived. The object converted into a dancer and the actual object, ‘changed in size,’ were given to create a mysterious and fantastic atmosphere. This study is a rare case of applying the dépaysement technique to dance choreography among art techniques. This can be said to be a new challenge and attempt beyond the dimension of dance creation inspired by art.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rovide new inspiration and artistic insight to choreographers who pursue the development and novelty of dance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