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0 Download: 0

동편제 '춘향가' 중 <십장가> 비교연구

Title
동편제 '춘향가' 중 <십장가>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among Dongpyeonje ‘Chunhyangga’ - Focused on Park Bong Sul and Cho Sang Hyun's Songs -
Authors
강수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is is a study of that captures the image of Chunhyang that holds fast to the incision even in the extreme conditions among Dongpyeonje Chunhyangga. Focusing on the song of Park Bong-sul based on the badi of Song Man-Gap and the song of Cho Sang Hyun based on the badi of Kim Se-j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hang-jas by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editorial, editorial buchimsae, melody, etc.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ong of Park Bong-sul, which is based on the Song Man-Gap's badi, in which orthodoxy is intrinsic, and the song of Cho Sang Hyun, which is based on the badi of Kim Se-jong, which is called the Boseong-sori.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ies of the Dongpyeonje Chunhyangga were summarized, and the lives and art worlds of the two chang-jas were summarized to understand their musical capabilities. I compared the editorial and the editorial buchimsae of with reference to the sound source and the original, and compared the melody based on the sheet music that I had written by myself after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The conten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of Dongpyeonje Chunhyangga through the above study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editorial comparison was divided into 3 paragraphs, and the editorial comparison by rhytme was further carried out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same, similar, and different into editorials. The overall content of the editorial is similar, but differs in composition, and if we look at the distribution of the editorials except for Aniri and Changjo, it consists of 14 parts of the same editorial (14.141%), 39 parts of the similar-editorial (39.394%), and 46 parts of the different editorial (46.465%). The fact that Park Bong-sul mentions chapter 15 further, and that Cho Sang Hyun finishes in chapter 10 and that the "Namwongol Oibjaeng-i" appears only in Pak Bong-sul's editorial, is the biggest difference seen in the editorial. Second, the editorial buchimsae comparison was analyzed using the jeongganbo. Both chang-jas made the most use of the 'Daemadi- daejangdan', one of the universal features of the Dongpyeonje, and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use of Eosbutim. The Eosbutim that the two chang-jas have in common are 'Goedaejug', 'Wanjageol-i' and 'Doseob', while the Park Bong-sul used 'Mitbutim' and 'Juseobutim' in addition, and the Cho Sang Hyun made additionally utilized 'Dang-gyeobut-im'. Of the total 119 chapters, Park Bong Sul used 88% of the Daemadi- daejangdan and 12% of the Eosbutim, and of the total 100 Chapters, Cho Sang Hyun used 90% of the Daemadi- daejangdan and 10% of the Eosbutim.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e of Eosbutim was higher in Park Bong Sul than that of the Cho Sang Hyun. Third, in the melodic comparison, the chulhyeon-eum and musical range used in the 'Shipjangga' were examined through the sheet music that was written in the actual notes, and the overall flow was grasped, and the melodic features were examined by modulating them in C-major for the convenience of comparison. Based on the same editorials and similar editorials, it was divided into 4 paragraphs and the starting tone, the end note, and the direction of the melodic progression were grasped. In 'Jibjangsaryeong', both chang-jas form melodious with the C-boncheong ouzo, and the Park Bong Sul uses a wide range of notes to perform dynamic sonic progression, while Cho Sang Hyun mainly performs homophonic and sequential progression. Park Bong-sul extended the editorial and composed it into two jangdans, while the Cho Sang Hyun consisted of a single jangdan. In 'Chapters 1-5', Park Bong-sul showed the progression of the D-boncheong gyemyeon→ A-boncheong gyemyeon, and the Cho Sang Hyun showed the progress of the A-boncheong gyemyeon → the D-boncheong gyemyeon → the A-boncheong gyemyeon. In the case of the Cho Sang Hyun, Boncheong, Kkeonun uitcheong, and Eotcheong were used to construct the melody. For each chapter, Park Bong Sul gave change to form a colorful melody, but the Cho Sang Hyun showed a similar rhythm and melodic progression. ‘In 6-10’chapters, both chang-jas showed a lot of progression at the base of A-boncheong gyemyeon. For each chapter, Park Bong Sul uses a variety of notes and musical range to make changes, while the Cho Sang Hyun makes a change in the rhythm of the 'Ddak' editorial and a change in the starting note in chapter 10. In the 'Eopjyeossdeon Hyeongbang', both chang-jas retained the A-boncheong gyemyeonjo, and the half cadence melody first appeared, and a similar melody was also seen in the cadence section. Park Bong Sul composed melodies in the bass range compared to the Cho Sang Hyun, and differed from the Cho Sang Hyun, Park utilized musical range of more than octaves. In melody, the Park Bong Sul used a wide variety of notes and used colorful melody forms through embellishments and sonic differentiation, but the Cho Sang Hyun mainly used homophonic progression or sequential progression and used melody in a relatively simple form.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chang-ja by comparing the passages of the of Dongpyeonje Chunhyangga from the sound of the Park Bong Sul and Cho Sang Hyun. We look forward to the study of the sound of Dongpyeonje system, including the study of the present book, to be more active, and to see the re-establishment of the Chunhyanga tradition of Park bong-sul with its high-quality properties.;본 고는 동편제 춘향가 중 극한의 상황 속에서도 절개를 지키며 꿋꿋하게 버티는 춘향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는 <십장가> 대목에 대한 연구이다. 송만갑 바디를 기반으로 하는 박봉술의 소리와 김세종 바디를 기반으로 하는 조상현의 소리를 중심으로 사설, 사설 붙임새, 선율 등의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두 창자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정통성이 내재되어 있는 송만갑 바디를 기반으로 하는 박봉술의 소리와 보성소리로 불리는 김세종 바디를 기반으로 하는 조상현의 소리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편제 춘향가의 특징과 계보를 정리하였고, 두 창자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정리하여 음악적 역량에 대해 파악하였다. <십장가> 음원과 창본을 참고하여 사설과 사설 붙임새를 비교하였으며, 음원을 듣고 필자가 직접 채보한 악보를 토대로 선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동편제 춘향가 중 <십장가>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 비교는 3개의 단락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장단별 사설 비교를 추가로 진행하여 동일·유사·상이 사설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사설의 내용은 유사하나 구성에서 차이를 보이고, 아니리와 창조를 제외한 사설의 분포도를 보면 동일사설 14부분(14.141%), 유사사설 39부분(39.394%), 상이사설 46부분(46.465%)로 구성된다. 박봉술은 15장을 추가로 언급하고, 조상현은 10장에서 마무리하는 점과 박봉술의 사설에서만‘남원골 오입쟁이’가 등장하는 점이 사설에서 보이는 가장 큰 차이점이다. 둘째, 사설 붙임새 비교는 정간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창자 모두 동편제의 보편적인 특징 중 하나인 ‘대마디 대장단’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엇붙임의 활용에서는 조금의 차이를 보였다. 두 창자가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엇붙임은 ‘괴대죽’, ‘완자걸이’, ‘도섭’이고, 박봉술은 ‘밑붙임’과 ‘주서붙임’ 을 추가로 활용하였으며, 조상현은 ‘당겨붙임’을 추가로 활용하였다. 박봉술은 총 119장단 중 대마디 대장단을 88%, 엇붙임을 12% 사용하였고, 조상현은 총 100장단 중 대마디 대장단을 90%, 엇붙임을 10%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박봉술이 조상현보다 상대적으로 엇불임의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선율 비교에서는 ‘십장가’에서 사용된 출현음과 음역을 실음 채보한 악보를 통해 살펴보며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였고, 비교의 편의를 위해 다장조로 변조하여 선율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동일·유사사설을 기준으로 크게 4단락으로 나누고 시작음, 종지음, 음의 진행 방향 등을 파악하였다. ‘집장사령’에서 두 창자 모두 c본청 우조로 선율을 이루고 있고, 박봉술은 음폭을 넓게 활용하여 역동적인 음의 진행을 구사하였고, 조상현은 주로 동음진행과 순차적인 진행을 하였다. 박봉술은 사설을 늘여 두 장단으로 구성한 반면, 조상현은 하나의 장단으로 구성하였다. ‘1-5장’에서 박봉술은 d본청 계면 → a본청 계면의 진행을 보이고, 조상현은 a본청 계면 → d본청 계면 → a본청 계면의 진행을 보였다. 조상현의 경우 본청, 꺾는윗청, 엇청을 사용하여 선율을 구성하기도 하였다. 각 장별로 박봉술은 변화를 주어 선율을 다채롭게 구성하였으나 조상현은 유사한 리듬과 선율 진행을 보였다. ‘6-10’장에서 두 창자 모두 a본청 계면의 진행이 많이 보였다. 각 장별로 박봉술은 다양한 음과 음역을 활용하여 변화를 주고, 조상현은 ‘딱’사설의 리듬 변화와 10장에서 시작음의 변화를 주었다. ‘엎졌던 형방’에서 두 창자 모두 a본청 계면조를 유지하였고, 반종지 선율이 처음 등장하였으며 종지부분에서 유사한 선율을 보이기도 했다. 박봉술은 조상현에 비해 저음역대에서 선율을 구성하였고, 옥타브 이상의 음역을 활용하며 조상현과 차이를 보였다. 선율에서 박봉술은 다양한 음폭을 넓게 사용하고 꾸밈음과 음의 분화를 통해 화려한 선율의 형태를 구사하였으나 조상현은 동음진행이나 순차적인 진행을 주로 하며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선율을 구사한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본 연구는 박봉술과 조상현의 소리를 중심으로 동편제 춘향가 중 <십장가> 대목을 비교 분석하여 각 창자 별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의 연구를 비롯하여 동편제 계통의 소리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 길 기대하고, 고제 특성을 지닌 박봉술의 춘향가 전승이 다시 이루어지길 고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