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2 Download: 0

무용창작작품 「My own muse」 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창작작품 「My own muse」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ance work 「My own muse」
Authors
하유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본 논문은 2021년 12월 2일 이화여자대학교 체육관 홀 1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졸업 무용창작작품 「My own muse」 의 구상, 안무, 연습 및 공연까지의 과정을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품「My own muse」의 창작 과정과 작품을 분석하여 안무 의도가 공연된 작품에 드러났는지 연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자는 화가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1954)가 자신을 작품의 주된 주제와 근원으로 삼은 것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 「My own muse」 을 안무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신이 작품의 주제가 되어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작품의 영감을 본인에게서 꺼내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 이하 PBR)을 활용하였다. PBR은 창작자가 본인 작품의 구상, 창작, 연습,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연구하는 방법이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무용창작작품 「My own muse」 의 안무 의도가 공연된 작품에 드러났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My own muse」의 각 장마다의 내용과 무용수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무용창작작품 「My own muse」는 총 3장으로 이루어졌다. 본 안무자는 창작의 영감을 찾으며 방황하던 자신의 고민을 토대로 작품 내용을 구성하였다. 1장 <나를 숨기다> 는 무용수가 춤에서 자신을 숨기며 본인이 창작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있는 내용이다. 2장 <언제나 뮤즈를 갈망하다> 는 무용수가 창작의 뮤즈를 동경하고 갈망하는 내용이다. 3장 <나는 나의 뮤즈다> 는 무용수 자신을 창작의 뮤즈로 인식해나가는 내용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작품에서 안무자의 안무 의도는 무용수의 움직임, 시선, 동선을 통해 드러났다. 동시에 안무 의도가 다소 부족하게 드러난 부분 또한 함께 파악하였다. 1장에서는 춤에서 자신을 숨기며 느낀 좌절감을 표현하고자 했던 안무자의 의도가 바닥을 향하는 무용수의 시선과 무대 정면을 등진 몸 방향을 통해 드러났다. 그러나 무용수의 동선 이동이 없었다는 점, 조명의 종류가 한 가지만 사용되었다는 점, 무용수의 동작이 상체 움직임에 국한되었다는 점은 1장의 구성이 단조롭게 전개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2장에서는 오브제를 향한 무용수의 소유욕과 동경의 감정이 아래 네 가지 부분을 통해 전달되었다. 첫째, 오브제에 고정된 무용수의 시선. 둘째, 오브제를 향해 이동하는 무용수의 동선. 셋째, 오브제를 향해 강하게 뻗는 무용수의 팔다리. 넷째, 오브제를 무용수 몸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이다. 그러나 오브제를 이용하여 무용수와 뮤즈 간의 관계를 드러내는 것에 구성이 다소 치중되어, 무용수의 움직임이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장에서 본 안무자는 춤의 영감을 자신에게서 얻고자 하는 무용수의 의지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러한 안무자의 의도는 무대 정면을 응시하는 무용수의 시선, 무대 전체를 사용하는 무용수의 동선, 확장된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드러났다. 다만, 풍선이 터진 후 무용수가 자신의 지난 고민과 삶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짧게 연출되었다. 이에 무용수가 자신을 뮤즈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충분하게 설명되지 않았음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는 안무 의도를 작품에 드러내기 위해 자신의 안무 방식을 어떤 방향으로 수정하고 구축해나가야 하는지 파악하였다. 또한 작품 창작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함으로써 본 안무자의 작품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자가 무용수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얻었다. 작품 「My own muse」 는 프리다 칼로의 사례를 본 연구자만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만들어낸 새로운 창작물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자는 프리다 칼로의 창작 세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고민을 무용으로 표현하며, 칼로와는 다른 본 연구자만의 서사를 만들어나갔다. 그리하여 본 연구 과정 자체는 본 연구자 자신을 창작의 뮤즈로 인식하여 춤에 대한 자신감과 의지를 회복하고자 하는 일종의 자기 극복 과정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본 안무자가 자신의 작품에서 일정 부분 소외되어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안무자 스스로 작품의 주제가 되는 시도를 해보았고, 창작활동에 자신을 담아내는 자신감을 얻었다. 이에 본 연구가 자신의 춤과 몸에서 소외된 후배 무용인들에게 하나의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the process of planning, choreography, practice, and performance of Ewha Womans University's master's graduation dance work 「My own muse」 which performed at Gymnasium Hall 1 of Ewha Womans University on December 2, 2021, by this resear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whether the choreography intention was revealed in the performed work by analyzing the creation process and work of the work 「My own muse」. This researcher choreographed 「My own muse」, inspired by the painter Frida Kahlo (1907-1954) who took herself as the main subject and source of her work. This researcher took out the inspiration of the work from myself with the intention of becoming the subject of the work. Practice Based Research (PBR)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PBR is a method in which creators study the entire process of conceiving, creating, practicing, and performing their works. Based on this, in this paper,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choreography intention of the dance work「My own muse」was revealed in the performed work. To this end,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of 「My own muse」 and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The dance creation work 「My own muse」 consisted of a total of three chapters. This choreographer composed the contents of the work based on own concerns that wandering in search of inspiration for creation. Chapter 1 is about a dancer hiding herself from dance and not being the subject of creation. Chapter 2 is the content of the dancer's longing for the muse of creation. Chapter 3, is about the dancer herself becoming the subject of creation.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is work,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intention was revealed through the dancer's movements, gaze, and spacing. However, the part where the choreography intention was somewhat insufficient was also identified. In Chapter 1, the choreographer's intention to express the frustration she felt while hiding herself in the dance was revealed through the dancer's gaze toward the floor and the direction of his body not facing the front of the stage. However, the fact that there was no spacing of the dancer's movement, that only one type of lighting was used, and that the dancer's motion was limited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affected the monotonous development of Chapter 1. In Chapter 2, the dancer's desire for ownership and longing for the object were conveyed through the following four parts. First, the dancer's gaze fixed on the object. Second, the dancer's movement toward the object. Third, the dancer's arms and legs that stretch strongly toward the object. Fourth, it is a movement that pulls the object toward the dancer's body while looking at the floating object from below. However, the composition was somewhat focused on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cer and the muse using the object, so the dancer's movements did not appear in various ways. In Chapter 3, this choreographer tried to express the dancer's willingness to get inspiration from herself. This choreographer's intention was revealed through the dancer's gaze at the front of the stage, the dancer's spacing using the entire stage, and the extended dancer's movement. However, after the balloon burst, the time for the dancer to look back on his past concerns and lives was short.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opportunity for the dancer to recognize herself as a muse was not sufficiently explained. As a result, this researcher identified how to modify and construct own choreography method in order to reveal the choreography intention in the work. In addition, by organizing the work creation process step by step, a wide understanding of the choreographer's work was possible. Furthermore, it helped build a self-identity as a dancer. The work 「My own muse」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new creation created by interpreting the case of Frida Carlo in this researcher own way. This researcher expressed her concern in dance without being bound by Frida Kahlo's creative world and created her own narrative that was different from Kahlo. Therefore, this research process was a kind of self-overcoming process to restore confidence and will for dance by recognizing the researcher herself as a muse of creation. Finally,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er recognized that the choreographer was partially alienated from own work and dance. The choreographer herself tried to become the subject of the work, and gained confidence in expressing herself in creative activities. Therefore,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junior dancers who are alienated from their dances and bodies like choreograp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