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6 Download: 0

이소향의 가야금병창 단가<호접몽(胡蝶夢)> 연구

Title
이소향의 가야금병창 단가<호접몽(胡蝶夢)> 연구
Other Titles
Danga Hojeopmong for Gayageum Byeongchang by Lee So-hyang
Authors
김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영석
Abstract
본 논문은 1936년 녹음된 가야금병창 단가<호접몽(胡蝶夢)>의 연구를 통해 이소향의 음악적 특징을 살피는 것이다. 첫 번째로 소리선율의 사설, 리듬, 선율, 종지의 분석을 하고, 두 번째로 반주악기인 가야금, 대금, 해금의 선율과 종지음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병창 단가<호접몽(胡蝶夢)>의 사설은 총 63장단으로 구성되었다. 사설은 어절 단위로 구분한 결과 1장단 안에 3자/4자, 5자/4자, 4자/4자, 3자/2자, 2자/3자/4자, 4자/3자, 2자/2자/4자, 4자/2자, 2자, 3자/3자, 3자/2자/2자, 2자/1자/2자/2자, 3자/6자, 5자/2자/2자, 3자/3자/4자, 3자/4자/3자/4자, 2자/4자/2자/2자/2자 등 총 17가지 형태로 구분되었다. 총 63장단 중 2개의 어절로 구성된 장단은 51개, 3개의 어절로 구성된 장단은 8개, 4개의 어절로 구성된 장단은 2개, 1개의 어절 또는 5개의 어절로 구성된 장단은 각각 1개씩 나타났다. 리듬의 유형은 ‘3+3+3+3’유형, ‘8+4’유형, ‘6+6’유형, ‘4+4+4’유형의 4가지로 구분되었다. ‘3+3+3+3’유형은 종지 선율을 이루는 장단에서 주로 나타났다. ‘8+4’유형은 한음을 길게 뻗거나, 소리가 쉴 때 9박에서 사설이 시작할 때 주로 나타났다. ‘6+6’유형은 장단이 시작되거나 연결 장단 또는 종지 하는 장단에서 모두 나타났다. ‘4+4+4’유형은 장단이 종지하지 않고 다음 장단으로 연결되는 형태에서 나타났다. 단가<호접몽(胡蝶夢)>의 소리 청은 D♭이 본청이다. 선율은 대부분 평조선법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D♭본청 평조길에서 D♭본청 우조길로 변조되었다가 다시 D♭본청 평조길로 돌아와서 선율이 진행된다. 그 외에 D♭본청 평조길에서 E♭본청 계면길로 변조되고, D♭본청 평조길에서 G♭본청 우조길로, D♭본청 평조길에서 A♭본청 평조길로 변조되기도 하였다. 소리선율의 종지형은 총 26장단에서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종지음은 D♭본청 평조길에서는 d♭과 A♭이며, 예외적으로 E♭에서 1회 나타났다. D♭본청 우조길에서는 A♭와 d♭으로 종지한다. G♭본청 우조길에서는 d♭과 g♭으로 종지하였다. 둘째, 반주악기인 가야금, 대금, 해금의 선율을 분석하였다. 가야금병창에서 가야금 이외에 대금과 해금의 선율이 함께 연주된 점은 다른 가야금병창 연주방식과 차별화되었다. 가야금은 반주악기 중 소리의 선율과 가장 유사하게 선율을 진행하였다. 주로 소리의 선율을 따라 연주하고 있으며, 소리가 쉬는 동안 뜯고, 튕기며 소리를 효과적으로 돋보이게 하고 있다. 또한, 장단의 매듭을 짓는 부분에서는 소리가 10박에서 음을 마치면 가야금은 10박부터 12박까지 장단을 마무리하고 있다. 가야금 반주는 동일선율, 유사선율, 혼합선율, 상이선율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선법은 소리와 같이 평조와 우조선법으로 진행되었다. 대금은 반주악기 중 가장 다양한 선법으로 선율을 이어가고 있었다. 소리보다 한 옥타브 위에서 소리의 선법과 같은 음계로 선율을 자유롭게 따라가면서 진행되었다. 대금 반주의 특징은 제14장단에서와 같이 A♭본청 평조길로 소리선율과 변조하면서 선율과 리듬이 나타나지만, D♭본청 평조길에서는 소리의 음계에 따라 대금 선율이 진행되기도 하고, D♭본청 평조길에서 D♭본청 우조길로 진행되기도 한다. 해금의 선율은 전체적으로 D♭본청 평조길로만 구성되었다. 소리의 선율은 D♭본청 평조길을 중심으로 진행하면서 D♭본청 우조길, E♭본청 계면길, G♭본청 우조길, A♭본청 평조길 등 다양하게 변조되었지만, 해금의 선율은 D♭본청 평조길 음조직 안에서 자유롭게 선율을 진행하였다. 해금과 소리의 음정은 해금이 소리보다 단3도, 완전4도, 완전5도, 완전8도, 장2도(장9도) 높은 음으로 진행하지만 일정한 원칙은 없었다. 또한, 소리가 상청으로 상행할 때는 부분적으로 장2도, 완전4도, 단3도 낮은음으로 선율이 진행되었다. 반주악기의 종지는 가야금, 대금, 해금이 모두 같은 음으로 종지 하거나 다른 음으로 종지 하는 2가지 형태로 구분되었다. 가야금, 대금, 해금이 모두 d♭음으로 종지 하는 경우는 3장단, 4장단, 8장단, 11장단, 13장단, 32장단, 40장단, 48장단, 50장단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g♭음으로 동일하게 종지하는 장단은 54장단에서 나타났으며, 다른 음으로 종지하는 장단은 6장단. 8장단, 10장단, 15장단, 17장단, 19장단, 22장단, 26장단, 27장단, 30장단, 38장단, 43장단, 46장단, 51장단, 55장단, 56장단, 64장단, 67장단에서 나타났다. 이소향은 1930년대를 가야금병창을 대표하는 명인이다. 단가<호접몽(胡蝶夢)>의 분석을 통해 이소향은 D♭(C#)청으로 꾸밈음 없이 단백하게 연주한 명인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가<호접몽(胡蝶夢)>은 <단가>의 음악적 특징인 중모리장단에 꾸밈이 적고 화평하고 우직한 평조와 우조선법으로 구성된 가야금병창 곡이다. 또한, 당시 가야금병창에 대금과 해금의 반주를 곁들어 새로운 연주방식을 시도하는 모습을 통해 이소향은 가야금병창의 활성화를 위해 연구하는 연주자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This paper is a study of Lee So-hyang’s music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her danga hojeopmong (dream of the butterfly) for gayageum byeongchang (singing a vocal song playing gayageum at the same time) recorded in the year of 1936. Firstly, I analyzed lyrics, rhythm, melody and cadance of the song. Secondly, I analyzed the melodies and cadence of the musical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12 stringed zither), daegeum (large transverse flute) and haegeum (2 stringed fiddl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danga hojeopmong for gayageum byeongchang consists of 63 jangdan (rhythmic cycle). The word segment is classified into 17 types in which there are 3/4, 5/4, 4/4, 3/2, 2/3/4, 4/3, 2/2/4, 4/2, 2, 3/3, 3/2/2, 2/1/2/2, 3/6, 5/2/2, 3/3/4, 3/4/3/4, 2/4/2/2/2 syllables in one jangdan. Among 63 jangdan, 51 jangdan have 2, 8 jangdan have 3, 2 jangdan have 4 syllables, and 1 jangdan has 1 or 5 syllables. There are four types of rhythm: 3+3+3+3, 8+4, 6+6, and 4+4+4. The type of 3+3+3+3 is often employed in the jangdan for cadence. The type of 8+4 is often used when one tone is stretched for long, when there is a rest, and when the lyrics starts on the 9th beat. The type of 6+6 is used all in starting, connecting or ending jangdan. The type of 4+4+4 is used when a jangdan does not end but is connected into next jangdan. The central tone of the song of danga hojeopmong is D♭. The melody is mainly in the pyeongjo mode. However, pyeongjo with D♭ as a central tone is changed into ujo with D♭ as a central tone, then comes back to pyeongjo with the same D♭ as a central tone. Sometimes, pyeongjo with D♭ as a central tone is changed into gyemyeon with E♭ as a central tone, or ujo with G♭ as a central tone, or pyeongjo with A♭ as a central tone. There are 5 types of cadence in 26 jangdan of the song. In pyeongjo with D♭ as a central tone, the ending tone is d♭ and A♭ with one exception of E♭. In ujo with D♭ as a central tone, the melody ends on A♭ and d♭. In ujo with G♭ as a central tone, the melody ends on d♭ and g♭. Secondly, the result of analysis of melodies of the accompanying instruments, gayageum, dageum and haegeum, shows that the gayageum byeongchang by Lee So-hyang is played on gayageum together with daegeum and haegeum, different from other styles of gayageum byeongchang. The melody of gayageum is the most similar to the vocal line. Gayageum is played along with the melody of the song. It is sometimes plucked and played when the voice rests. In this way, it effectively makes the song clear. For example, if in the closing part of jandan, the song ends on the 10th beat, gayageum makes a close by playing from the 10th to 12th beat. There are 7 types of gayageum accompaniment. Daegeum is played in the most diverse modes among all accompanying instruments. It is played one octave higher than the voice, freely along with its melody in the same mode (as one of the song). The characteristics of daegeum’s melody is that there is a melodic change into pyeongjo with A♭ as a central tone together with the voice as in the 14th jangdan, which leads to a complete unity of melody and rhythm. But, in pyeongjo with D♭ as a central tone, daegeum follows the mode of the voice or the melody proceeds from pyeongjo with D♭ as a central tone to ujo with the same tone as a central tone. The melody of accompaniment by haegeum follows the voice, generally in pyeongjo with D♭ as a central tone. While the melody of voice is basically in pyeongjo with D♭ as a central tone with various transpositions into ujo with D♭as a central tone, gyemyeon with E♭ as a central tone, ujo with G♭ as a central tone and, pyeongjo with A♭ as a central tone, the one of haegeum freely proceeds within pyeongjo with D♭ a central tone. Haegeum is a minor third, a perfect fourth, fifth, and eighth and a major second (minor ninth) higher than the voice. However, there are not regular rules. Also, when the voice goes up to a high range, the haegeum partly is a major second, a perfect fourth and a minor third lower than the voice. All three accompanying instruments, gayageum, daegeum and haegeum, end on the same tone or on the different tones from each other. They end on the same d♭ in the 3rd, 4th, 8th, 11th, 13th, 32nd, 40th, 48th, and 50th jangdan. They all end on g♭ in the 54th jangdan. They end on the different tones from each other in the 6th, 8th, 10th, 15th, 17th, 19th, 22nd, 26th, 27th, 30th, 38th, 43rd, 46th, 51st, 55th, 56th, 64th, and 67th jangdan. Lee So-hyang is a representative master artist in gayageum byeongchang in the 1930s. The analysis of her danga hojeopmong shows that she was a good singer who sang without too many ornaments and she had a serious attitude towards her music, trying a new performance style by adding daegeum and haegeum to gayageum byeongcha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