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2 Download: 0

학령초기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Title
학령초기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Other Titles
Grounded theory study of early school-age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Authors
김태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초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존경-자녀존중(이하, 부존자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을 탐색하고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여 참가자들의 다양한 역동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통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학령초기 자녀를 둔 10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과 부모교육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3회에 걸친 개인별 사전, 사후 및 추후 면접과 8회기로 구성된 부존자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개인별로 매 회기 수집된 참가자, 강사 및 관찰자 저널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단계/국면을 갖는 과정/행동에 초점을 두고, 이론의 생성/발견을 목적으로 하는 Strauss와 Corbin(2005)의 근거이론 연구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 코딩, 축 코딩 및 선택 코딩의 과정을 거쳐 상황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범주화되어 조직화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 코딩의 단계에서 학령초기 부존자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 관련 개념 및 범주를 분석한 결과, 총 98개의 개념과 44개의 하위 범주, 2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된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양육의 어려움’,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 ‘부모교육을 통한 배움과 성장에 대한 요구’로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은 ‘부모교육의 중요성 확인하기’, ‘긍정적인 변화를 향한 결심’, ‘학령초기 자녀의 부모되기’로 도출되었다. 중심 현상은 ‘변화와 성장의 부모교육 참가경험’으로 나타났고, 중재적 조건으로는 ‘양육지식 학습하기’, ‘양육기술 경험하기’, ‘부모그룹에서의 공감과 위로 경험하기’, ‘가족의 협조와 지지 경험하기’로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적극적인 배움과 적용’, ‘지지그룹으로서의 부모그룹’, ‘서로 존중하며 변화하는 가족’이 나타났으며, 마지막 결과에서는 ‘유아기 부모에서 학령기 부모로의 발돋움하기’, ‘능동적 학습자로의 변화’, ‘부모, 자녀 및 가정에서의 긍정적인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와 기회의 발견’이 도출되었다. 둘째, 축 코딩 단계에서 학령초기 부존자존 부모교육 참가경험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단계로 명명하였다. 인과적 조건에서의 다양한 어려움으로 인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면서 낯선 상황에 적응하고 탐색하면서 부모그룹 간 유대감을 쌓아나가는‘형성기' 단계를 시작으로 이후에는 주로 양육신념,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해나가는 데 주력하는 ‘학습기' 단계를 거쳤다. 이어서 참가자들은 부모그룹과 가족체계 간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습득한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는 ‘수행기'의 단계로 나아갔다. 마지막으로는 ‘종료기'의 단계로 부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마무리 과정과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단계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분석을 통하여 참가자들의 부존자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택 코딩의 단계에서 본 연구의 핵심 범주는 '변화와 성장의 부모교육 참가경험’으로 도출되었고, 이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을 전개하여 다른 범주들을 통합시키고 정교화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 참가자들을 양육신념, 지식 및 기술의 습득과 함께 이루어지는 실행력의 차이에 따라 ‘성취형’, ‘노력형’, ‘혼란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변화와 성장의 부모됨’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중심 현상에서 드러난 바를 토대로 각 차원의 요인들, 즉 개인, 부모그룹 및 가족체계와 사회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한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학령초기 부존자존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과 맥락들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예방적 차원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일반 어머니들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으므로 상담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요인이나 조건 및 작용들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코로나19 라는 특수한 상황에 따라 예상치 못했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 부존자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이들은 강사와 부모그룹의 공감과 위로, 가족체계에서의 협조와 지지를 통해 이를 타개해 나갔으며, 학령초기 자녀의 부모역할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하면서 어머니의 자기 돌봄 활동을 지속하며 변화와 성장의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부존자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학령초기 자녀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이후의 학령후기 및 청소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부모-자녀 간 갈등을 줄이고, 보다 건강한 관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념, 범주 및 유형들은 학령초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과 부모-자녀 간 건강한 적응과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RPRC)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of early school-age and to analyze them through grounded theory to understand the various dynam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experiences by changes over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parenting education on 10 mothers with early school-age children residing in Seoul. Specifically, in the course of the 3 individual pre, post and follow-up interviews, the 8-session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and participant, instructor, and observer journal data collected each time on an individual basis were analyzed. This was don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research of the underlying theories of Strauss and Corbin (2005), which focuses on the process of having stages that occur over time, and aims to generate theories.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and organized by presenting a conditional matrix through the process of open-coding, axial-coding, and selective-cod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concepts and categorie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early school-age RPRC parenting education program at the stage of open-coding, a total of 98 concepts, 44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erived. Analysis of analyzed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is as follows: Causal conditions included ‘Parenting difficulties’, ‘Difficulties due to COVID-19’ and ‘Demands for learning and growth through parenting education’. And contextual conditions were derived to ‘Affirming the importance of parenting education’, ‘Determination to make positive changes’, and ‘Becoming a parent of children in early school-age’. The central phenomenon was appeared a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arenting education of change and growth’, and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derived from ‘Learning parenting knowledge’, ‘Experiencing parenting skills’, ‘Experiencing empathy and comfort in the parent group’, and ‘Experiencing family cooperation and support’.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clude ‘Active learning and application’, ‘Parent group as a support group’, and ‘Families that respect each other and change’. And the results included ‘Moving from early childhood parents to school-Age parents’, ‘Transition to active learners’, ‘Positive changes in parents, children and families’, and ‘Discovering crisis and opportunity due to COVID-19’. Second, in the axial coding stag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n the early stages of school-age was named as four stages: Due to various difficulties in causal conditions, it began the ‘Forming’ stage of participating in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o build bonds between parent group while adapting to and navigating unfamiliar situations, and then the ‘Learning’ stage, which focused primarily on acquiring parenting beliefs, knowledge and skills. In addition, participants then proceeded to the stage of ‘Performing’ who practiced the ongoing interaction between the parent group and the family system and the knowledge they had acquired. Finally, they experienced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program, which can be called the stage of the ‘Closing’, and the stage of preparing for a new beginning. Through this process analys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PRC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hanged over time. Finally, at the stage of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ies of this study were derived as ‘Parenting educ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change and growth’, and the story outlines were developed around this core category to consolidate and refine the other categories. Through thi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hievement type’, ‘Effort type’ and ‘Disorganized type'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execution that accompany the acquisition of nurturing beliefs, knowledge and skills, and analyzed the type of ‘Parenthood of change and growth’. In addition, based on what has been revealed in the central phenomenon, it proposed a conditional matrix that has been analyzed by dividing the factors of each dimension, namely, the individual, parent group, family system, and social dimensio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examined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PRC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n early school- age and identifie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and context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and outcomes of applying a preventiv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o the general population, so that no serious factors, conditions, or actions requiring counseling and treatment were foun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experiencing unexpected difficulties due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COVID-19. Those who participated in RPRC parenting education program overcame various difficulties this through the empathy and comfort of the instructors and the parent group, the cooperation and support of the family system. And the experience of change and growth while continuing the mother's self-care activities while renewing the definition of parenthood of the children in the early stages of school-age. This study tried to reduce parent-child conflicts that can be experienced in later school-age and adolescence by maintain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early school age through the application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healthier relationships. The concepts, categories, and type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school-age and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healthy adaptation and developmen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